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안녕하세요 2cpu 회원님들, 최근 가상화 어플라이언스의 이전 관련하여 HA 구성 및 vMotion, vSAN을 통해,
물리적인 서버의 Out 상황에서도 별도의 사람의 개입없이 vMotion 및 HA 세팅을 통해
별도의 플랫폼개발을 하지않고 자동으로 Failover 되는 기능을 이용해보고자 합니다.
최근 VMWare가 Broadcom으로 넘어가면서 영구라이센스가 사라지고 구독제 (1년, 3년) 으로 바뀌게 된것을 보고
라이센싱을 보던중, Cloud Foundation과 Foundation 요금제가 vSAN (각각 Core당 1TiB, 100GiB), vSphere Enterprise Plus, vCenter Standard 를 포함하는것을 봤습니다.
이 vSAN의 경우 사용가능한, 그러니까 FTT2 세팅, FTT1 세팅 및 내부 RAID방식에 따라 감소된 실 사용 공간을 따라가는것인지, 실제 연결된 물리스토리지 용량을 따라가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vSAN, vMotion, HA를 이용할때에, 가상머신의 외부네트워크를 위해 vDS용 NIC 1포트, vMotion/vSAN/Sub-MGMT용 10G+ NIC 1포트, MGMT용 NIC 1포트, 도합 3개의 NIC Port가 준비되면
HA를 통해 클러스터중 물리적으로 오류가 발생해 Offline된 가상머신들을 다른 Online 상태의 클러스터내 서버들이 HA에 의해서 자동으로 VM 복구 및 시동까지 수행하는대에 무리가 없을까요?
HA를 위해서는 MGMT가 2포트 필요하다하여 vMotion/vSan용 NIC에 역할을 추가 부여 할 예정입니다.
Raid ϴ .
vSAN 丮 ִ VM A, B ؼ
մϴ.
ҿ A 뿡 Ǹ. ÿ B ؼ .
vSAN Ʈѷ ȭ Ǿ ־. ӹȣ 2 Դϴ.
A 2, B ΰ..
̰ ָ غϴ Դϴ.
Ʈ ִ ٸ ̱.
2. ۿ , MGMT Ʈũ ߰ϴ ٴ isolation address ߰ϴ ϴ. heartbeat Ʈũ ϴ Դϴ.
vSAN ǰ θ Ͻô° õ帳ϴ.
ұԸ 쿡 ߴٰ, Ready Node / δ㽺ϴ 찡 ֽ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