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270 |
25 |
2015-12
179327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240 |
0 |
2014-05
5268240
1 정은준1
|
110495 |
아이온 같은 mmorpg 그래픽 카드로 어떤게 좋을까요? (중고) (6) |
무아 |
2016-04 |
4289 |
0 |
2016-04
4289
1 무아
|
110494 |
NAS 본딩 질문합니다. (23) |
HEJYS |
2024-01 |
2420 |
0 |
2024-01
2420
1 HEJYS
|
110493 |
차량의 안전밸트 와 같은 형태의 낙하 방지용 와이어 롤 ? 같은게 있을까요? (11) |
신은왜 |
2019-08 |
3327 |
0 |
2019-08
3327
1 신은왜
|
110492 |
U+ 구형 셋톱박스 활용, 개조, 루팅 문의... (4) |
리장님 |
2022-05 |
7435 |
0 |
2022-05
7435
1 리장님
|
110491 |
컴팩435 센스r20 둘중 뭐가 나을까요? (1) |
우뭉 |
2022-06 |
1878 |
0 |
2022-06
1878
1 우뭉
|
110490 |
HP스위치 어떤지 궁금합니다. (3) |
김동민 |
2011-03 |
6533 |
0 |
2011-03
6533
1 김동민
|
110489 |
070 전화 (인터넷 전화) (6) |
나파이강승훈 |
2016-05 |
4508 |
0 |
2016-05
4508
1 나파이강승훈
|
110488 |
P410 펌에따라 전송속도가 많이 달라지나요? |
명성호 |
2013-10 |
4565 |
0 |
2013-10
4565
1 명성호
|
110487 |
윈도우방화벽이랑 다른 소프트웨어방화벽들이랑 차이가 많이날까요? (3) |
keige369 |
2022-06 |
1668 |
0 |
2022-06
1668
1 keige369
|
110486 |
2.4g RF 신호 학습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 유닛 혹시 있을까요? |
미수맨 |
2022-06 |
2479 |
0 |
2022-06
2479
1 미수맨
|
110485 |
ap중 가장 작은사이즈는 어떤게 있을까요? (7) |
로그아웃 |
2011-04 |
10255 |
0 |
2011-04
10255
1 로그아웃
|
110484 |
ubuntu설치되어있는 노트북에 윈도우 부팅 usb로 윈도우설치가 안되네요. (5) |
gilbbang |
2018-07 |
4303 |
0 |
2018-07
4303
1 gilbbang
|
110483 |
블루투스+무선랜콤보타입카드에 대해서 조언부탁드립니다. |
김건우 |
2016-05 |
4431 |
0 |
2016-05
4431
1 김건우
|
110482 |
비디오 카드 성능대비 저전력 (9) |
이정근 |
2011-04 |
7799 |
0 |
2011-04
7799
1 이정근
|
110481 |
중국앱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1) |
미수맨 |
2024-02 |
1607 |
0 |
2024-02
1607
1 미수맨
|
110480 |
ESXi 5.1 라이센스 질문 드립니다. (2) |
미나리나물 |
2016-05 |
4250 |
0 |
2016-05
4250
1 미나리나물
|
110479 |
기가급 디도스 방어 장비 써보신분 계신가요? (5) |
뉴비덕후 |
2024-02 |
1827 |
0 |
2024-02
1827
1 뉴비덕후
|
110478 |
욕실세면대밑에 온/냉수 호스를 Y 로 만들어서 수전(수도꼭지)와 샤워기를 하나 더 … (5) |
김건우 |
2017-04 |
8740 |
0 |
2017-04
8740
1 김건우
|
110477 |
HP장비에 붙어있는 MADE IN TOKYO 스티커.. (7) |
김덕영 |
2013-11 |
10663 |
0 |
2013-11
10663
1 김덕영
|
110476 |
컴퓨터로 들어간 전력의 몇 %가 열로 변환이 될까요? (14) |
정무현 |
2024-02 |
1931 |
0 |
2024-02
1931
1 정무현
|
확장 작업 도중이라면 작업 중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레이드 풀고 다시 묶어도 하루 이상 단위의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참고로 SSD 케쉬 있으니까 그정도지 없으면 더 느립니다
참고로 저런것 진절머리나면 그냥 올 플레쉬로 가면 엄청난 차이를 보여줍니다 (4k성능 비례하는지라 남은 시간 0 개수가 줄어듭니다)
심지어는 QLC조차 하드에 비하면 엄청나게 빠르게 리빌드합니다
1% 이전부터 구성해서 사용은 가능합니다
이 과정에서 문제있는 디스크는 걸러주는 거라서 하시는게 나아요
묶여있는 상태에서 추가하면 시놀로지든 다른로지든 raid 자체가 확장작업이 원래 오래 걸리고요.
딱 하나 겁나 빠른거 경험한게 하나 있습니다.
그건 바로 윈도우 저장소!
디스크 종류 안가리고 용량 안가리고 온라인 용량 확장 빠르고 심지어 축소도 됩니다.!!
데이터 활용률도 이전까진 SHR이 제일 좋은줄 알았는데 윈도우 저장소는 그것보다도 많이 쓰게 해주더라고요.
다만 속도는 조금 느립니다만 glusterfs 같은 애들보다는 빠릅니다;
SATA HDD 4~5개 꼽으면 속도가 들쭉날쭉하긴 해도 100~300 M/s 정도는 나와주더라고요.
문제는 제가 윈도우를 안써서 폐기했지만 한 3년정도 장애없이 3차 백업으로 짜투리 hdd 보아서 잘 사용했었습니다.
아 마이그레이션도 기가 막히더라고요. 윈도우 저장소로 사용했던 hdd 들을 다른 윈도우 pc에 꼽아서 부팅하니깐 그대로 올라와요;;
윈도우 버전이 달라도요. 단 상위로 가는것만 해보고 하위로는 안해봤습니다.
RoC (RAID 연산 칩)가 달린 HW RAID에서도 8TB면 15시간 전후가 걸립니다.
윈도우 동적디스크 레이드는 하드웨어 레이드처럼 블럭방식이고 나머지는 전부 데이터 리빌드나 검증이지 하드웨어 레이드처럼 오래걸리지 않습니다.
시놀로지는 소프트레이드이면서 블럭방식으로 레이드를 구성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요즘 소프트레이드(윈도우저장소 및 ZFS)는 데이터 저장된 사이즈에 따라 속도가 정해집니다. 데이터 10G도 없다 하면 5분도 안걸리고 리빌딩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