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dro RTX5000 보조전원 연결 질문드립니다.

SLALqHD   
   조회 2250   추천 0    

Quadro RTX5000 카드가 하나 생겼습니다. 이거로 일반 데스크탑PC 하나 만들려고 하는데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 때문에

일단 정지 상태입니다. 조언을 구하고자 질문 남깁니다. 

구성하려는 PC 스펙은 다음과 같습니다. 

i7-14700K / GIGABYTE Z790 AERO G D5 / SKhynix DDR5 128GB(32GB x 4) / 970 EVO PLUS 4EA/ WD Red plus 14TB 2EA / RTX 5000

SuperFlower SF-750F14HG LEADEX III GOLD

아무생각없이 부품 주문해서 만들려다가 RTX5000 전력사용량이 궁금해 찾아보다가 우연히 보조 전원 주의 사항이 적힌 문구를 봤습니다. 

일단 실물을 확인해도 그렇고 일반적인 Geforce 시리즈 그래픽카드랑 8핀 보조전원 커넥터 모양이 다릅니다.

CPU 8핀 보조전원 커넥터랑 모양이 같아보입니다. 

RTX5000 번들 8pin to Dual 6pin Y 스플리터 케이블은 없습니다. 

RTX5000 피크 전력이 265W로 되어있는데-이게 제품 정보 상 수치랑 Nvidia의 쿼드로 파워 가이드 라인에 나오는 수치랑 30W 정도 차이가 나네요.-

메뉴얼 상의 보조전원 커넥터와 케이블 관련 안내에서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Use the 8-pin to dual 6-pin auxiliary cable if the power supply does not have a 6-pin auxiliary cable. Connecting a single 8-pin or 6-pin

auxiliary cable directly to the graphics card is not recommended. 라고 되어있고 RTX5000은 8핀+6핀 보조전원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문자그대로 해석하면 파워에 6핀 보조전원 케이블이 없으면 8핀 to 듀얼 6핀 보조전원케이블을 사용하고 8핀 한개 또는 6핀 한 개의 보조전원

케이블을 직접 그래픽 카드에 연결하는 건 권장하지 않는다인데 마지막 8핀 한개 6핀 한개 보조전원 케이블을 직접 연결하지 마라에서

헷갈립니다. 

이게 8핀 또는 6핀 한개만 꽂으면 전력이 부족하니 8핀과 6핀 둘 다 꽂으라는 말인지 파워 6핀 보조 전원이 없으면 8핀 to 듀얼 6핀 보조 전원

케이블 하나로 8핀에 2핀이 모자라도 연결하고 6핀에도 연결 하라는 뜻인지(이건 자의적 해석입니다.) 그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요즘 파워는 6+2핀+ 8핀단독 구성이 대부분이라서 6핀이 없는 경우는 없다고 보는데 굳이 이렇게 안내를 했을까 싶기도 하고요.

간혹 케이블 하나에서 분기되는 6+2핀+8핀의 경우 전력량 문제로 케이블 하나로 6핀 8핀을 모두 연결 하지마라는 얘기는 들어봤는데

이 안내도 그런 경우 때문인걸까요?

번들 보조 전원 케이블을 구한다고 해도 연결 시 고민입니다. ^^;;

일단은 해당 파워의 경우 CPU 보조전원 케이블이 4+4 8핀 케이블이 두개제공되기에 보드에는 8핀 하나만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를 

그래픽 카드에 연결 할까 생각 중이었는데 이 문구가 고민을 하게 만드네요. 

제가 혼자서 너무 상상의 나래를 펼쳐서 뭔가 착각하고 있는 걸까요?

저의 무지를 좀 깨우쳐 주십시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4-02
300W 전원을 넣어 주라는 말입니다

8핀 + 8핀 이나
8핀 + 6핀 이나 이렇게 300w를

6핀을 다이렉트로 꽂으면 75W밖에 않들어가니

변조해서 150W가 들어가도록 권장한다는
     
SLALqHD 2024-02
네, 답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2
     
SLALqHD 2024-02
답변 감사합니다. 저도 가이드 라인 읽었는데 이해력이 부족하네요.  내용 중 power connectors 쪽을 보면 CPU 보조 8도 지원된다고
 되어있으니 전력 선, 신호감지선, 그라운드 선의 갯수와 배치에 상관 없이 CPU 보조 전원용 8핀 케이블 연결해도 된다
이렇게 이해하면 맞을까요?
박문형 2024-02
CPU 8핀과 GPU 8핀은 커넥터 호환이 되지 않지만 그보다 더 큰 차이는 +  - 극이 반대 입니다..

그래서 억지로 꼽아서 전기를 넣으면 파워랑 GPU카드가 데미지를 입습니다.. (터집니다.. 불 납니다..)

어떤 파워를 사용하는지 모르겠지만 보통 파워에서 나오는 커넥터로 연결하면 될텐데요??

파워에 GPU 8핀이 2개가 안되나요??

가이드에서 재일 중요한 것은 2페이지에 있는 각 GPU 모델에 대한 파워커넥터 스팩입니다..
     
SLALqHD 2024-02
1000W 일반 PC용 모듈러 파워 사용 예정입니다 . SF-1000F14XG VII GOLD ATX3.0 문제는 본문에도 얘기 했듯이
쿼드로 RTX 5000의 8핀 커넥터쪽이 일반 지포스용 8핀과 커넥터 구조가 다릅니다.
 6핀은 일반 그래픽 카드랑 동일한 모양이네요.
그래서 지포스용  8핀은 모양이 맞지 않아 결착이 안되기에 고민에 빠진 것입니다.
본문에 첨부된 주의사항 참고 이미지에서 보시듯이 같은 8핀 이지만 accepted와 x로 구분되어 설명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저도 가이드 라인 파워 커넥터 부분을 착각 하긴 했습니다.
rtx 5000은 튜링 기반이고 RTX A 시리즈 암페어 기반 카드들이 CPU 8핀 EPS-12V 구조를 채택 했다는 걸 알았습니다.
가이드 라인은 이를 두고 CPU 8-pin에 대해 설명 한 것인데 제가 pcie 8핀 대신 사용해도 된다고 착각 한 거였습니다.
결국 호환 되는 변환 케이블을 구해야 할 모양입니다.
다른 제품조립기 보면 일반 파워선 연결 한 걸로 보이는데 제가 뭘 단단히 잘못 오해하고있는지 혼란 스럽네요.
주말 늦은 시간에도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2
아시나 모르겠지만 옛날 제품인 K40 /k80 같은 엔비디아 테슬라카드도 CPU 8핀을 사용합니다..

심하게 말해 파워 커넥터는 엔비디아가 정하기 나름입니다..

RTX-5000은 실물을 만져보지 못해서 확답은 못 드리지만 스팩이나 메뉴얼상으로는 GPU 8핀 + GPU 6핀으로 판단 됩니다..

실물 놓고 꼽아보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파워 케이블쪽 젠더는 최대한 사용하지 마세요..

젠더 커넥션이 불안하거나 케이블이 싸구려인 경우 불 납니다..

보통 젠더도 카드제조사에서 악세사리로 나온 제품이 그럭저럭 믿을수 있고 사제 젠더는 믿으면 안됩니다..
     
SLALqHD 2024-02
저도 젠더는 사용 안하려고 합니다. SATA-IDE변환 케이블도 녹아내리는 걸 봤던지라... 답변 감사합니다.
 뜬구름 그만 잡고 허접한 파워라도 구해서 대조 해봐야겠습니다.
남은 주말 잘 보내세요~
     
SLALqHD 2024-02
제가 삽질한 게 맞았습니다. 하루 종일 뭐에 홀린듯 하네요.
일반 그래픽 카드랑 RTX 5000 실물 커넥터 사진 이미지 비교해보니 말씀대로 같은 모양이 맞습니다.
뭐때문에 하루종일  착각하고 삽질하고 있었던건지...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란 말이 새삼 와닿네요 ^^;;
여러모로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했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4-02
아무리 잘아는 사람도 아무리 많이 아는 사람도 실수할 때는 있습니다..

그런 실수를 최대한 줄일려면 교차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기 생각에는 다 맞았지만 실제 해보면 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자책하지는 마세요..

그리고 한가지 너무 몰두하다보면 옆의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럴 때는 그것을 다른 시점에서 바라보는 사람의 의견이 필요합니다..


QnA
제목Page 5276/5724
2015-12   1762154   백메가
2014-05   5236353   정은준1
2024-05   2248   supersuu
2022-10   2248   엄청난x
2023-06   2248   눌눌2
2023-11   2248   Sikieiki
2021-06   2247   반성만
2021-05   2247   김영기
2022-10   2247   나두련
2024-04   2247   Psychophysi…
2021-12   2247   봄붐봄
2024-03   2247   빅픽챠
2022-04   2247   GPGPU
2024-02   2247   미담
2023-04   2246   행복하세
2023-06   2246   dateno1
2024-05   2246   RHNS
2024-06   2246   개발네발
2022-08   2246   epowergate
2023-07   2246   류류류
2022-12   2246   워니님
2022-01   2246   mevie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