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도 질문 한번더 드립니다.

   조회 2014   추천 0    

안녕하세요

어제랑 같은 질문 드리는 것 같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2개 입니다.


1. 100메가 인터넷이라는것이 1초에 12.5MB의 전송양을 받을 수 있다는 인터넷이라는 뜻이 맞나요? 

* (신호손실/시간대/라우팅경로) 마다 다르단 말 안해주셔도 됩니다 전 이론만 궁금한거에요 수학으로 따지면 공식만 알고 싶은 겁니다. *

* 실제로 1초에 12.5MB 못받는다 그런 이야기 안해주셔두 됩니다.* 


2. 제가 fast.com에서 측정했을때 5.5Mbps가 나오는데 그럼 5.5Mbps * 8해서 40메가정도 인터넷 이라고 보면 될까요?

* 마찬가지로 (신호손실/시간대/라우팅경로)마다 다르고 사이트마다 속도 다르게 나온다는 이야기 안해주셔두 됩니다. 그냥 이론만 궁금한거에요 

* 절대값이 5.5Mbps 라고 생각해주세요 그냥 ㅠㅠ * 


어제 2가지 질문 드렸는데 제가 이해를 못하는건지 다 비트기준이다 사이트마다 다르다 전송 손실이 있을 수 있다 같은 이야기만 하셔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이준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2
현재 사용하는 인터넷이 어느회사 어떤 상품인가요??
     
넥웍연습 2024-02
제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Vpc라서 회선은 KT거 같긴한데
인터넷 측정법이 궁금해서 제 pc를 시험용으로 쓴거에요
박문형 2024-02
Vpc가 무엇인가요??

VPN 사용하시나요??
     
넥웍연습 2024-02
가상PC 입니다.
          
박문형 2024-02
가상PC 라면 중간에 가상화 OS가 있고 이것이 가상PC의 코어갯수,메모리용량,네트웍대역 등을 제어하고 있기에 속도가 느리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왜 5.5Mbps 인지는 저는 모릅니다..
dateno1 2024-02
어제도 애기했지만, bps=bit입니다
어른이 2024-02
질문내용이 뭔가 많이 이상한데 100Mbps회선 가입했는데 fast닷컴에서 측정한 값이 마음에 안든다는 내용인가요?
제대로된 테스트를 해보고 싶으시다면 가입되어있는 통신사의 SLA테스트를 해보시는게 가장 확실할듯 합니다.
     
넥웍연습 2024-02
아닙니다

100메가 인터넷은 그냥 예시로 든거구요
2번은 또 다른 질문이구요

100메가 인터넷이 중간 변수없이 느려진다는 가정 없이 12.5MB/s 가 맞는건지?
그럼 5.5Mbps 가 나오는 제 인터넷은 40메가 인터넷인건지? 

두개 입니다.
          
어른이 2024-02
5.5Mbps가 아니라 5.5MB/s 아닐까요..?
40메가 인터넷이면 40Mbps 의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겠죠...
               
넥웍연습 2024-02
아 5.5Mb/s 여야 40메가 인터넷인거군요

5.5Mbps 가 나오니까 5.5/8 Mb/s 가 맞는거네요

감사합니다
                    
아니요 5.5Mb(메가비트)와 5.5MB(메가바이트)는 다른겁니다
5.5Mb는 메가바이트로 환산시 0.6875MB입니다.

숫자만 놓고보면
Mb=Mbps
MB=MBps 입니다.
                         
넥웍연습 2024-02
넵 그래서 5.5 나누기 8 이라구 했는데 / 표시가 헷갈리셨나보네용

5.5 나누기 8하기 귀찮아서 / 표시루 한건뎅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4-02
100메가 12.5 안 나옵니다

오버헤드 고려시 11후반대가 한계입니다
1번 질문의 100‘메가’는 메가비트로 쓰신 것 같고 2번 질문의 40‘메가’는 메가바이트라는 의미로 쓰셨네요 통일하시는게 좋겠습니다.
 
1. 100메가(M) 인터넷을 100Mb(메가비트) 의미로 쓰신거라면 네

2. fast.com에 대해서는 5.5Mbps /8 =0.6875MBps(메가바이트) 속도를 내어주는 100Mb(메가비트) 인터넷인거죠 100Mb인터넷이라고 답변드리는 것은 속도측정 기준이 fast.com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찌되었던 8bit/sec는 1byte/sec로 이론적 공식만 요구하신다면이건 그냥 단위 환산 문제입니다.

구글에다 그냥 5.5 Mbps to MBps 검색하시면 계산해주네요(대소문자 구분안하는 검색엔진이라더니 이건 구분하나봅니다..)
     
넥웍연습 2024-02
보통 인터넷 단위 계약할때 일반 사람들은 메가라고 하면 MB라고 생각한다고 하는데

ISP에서 말하는 메가 단위는 Mbps 메가비트 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래서 100메가 인터넷에 가입해서 중간에 손실없이 보낼 수 있다면 1초에 12.5MB를 보낼 수 있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리고 2번 항목이 잘 이해가 안가는게 5.5Mbps가 나오는데 그러면 제 인터넷은 5메가 인터넷이고 5.5Mbps / 8  0.6875MB/s 가 맞다는 말씀이신거죠?

아 그리고 1번이랑 2번은 다른 질문입니다 100메가 인터넷은 가정이구 5.5Mbps 라는 수치랑은 관련 없습니다.
          
네 5.5Mbps (초당 5.5메가비트 전송)은 초당 0.6875MBps (초당 0.6875메가바이트 전송)와 같은 말입니다.
보통 ISP는 MBps 가 아닌 Mbps 기준이죠
               
넥웍연습 2024-02
감사합니다.

제가 원하던 궁금증이 풀렸네요
               
넥웍연습 2024-02
아 혹시 추가로 궁금한게 있는데

그럼 전용회선 같은걸 사용하면 64K 128K 256K 이런식으로 단위가 있는데

64Kbps 인건가요? 초당 64kb를 보낸다는건가요?
                    
박문형 2024-02


말이 축약되어 그런 것입니다..

64키로 비트 퍼 세크  입니다..
앤디캔디 2024-02
100 Mbps ÷ 8 = 12.5 MBps
위 속도는 ISP 노드에서 측정하면 그렇게 나올거구요
그러니까 12.5 는 이론적 최대값이고, ISP 에서는 그렇게 보내주고 있는데 받는 쪽에서 중간 변수때문에 느려지기때문에 아무리 테스트를 해도 이론적 최대값이 안나오는겁니다
실제 테스트해서 5.5 나와도 40메가 이런게 아니라 100으로 표기되는 것은 틀리지 않습니다

좋은 질문에서 좋은 답변이 나옵니다
     
넥웍연습 2024-02
1번이랑 2번은 다른 질문입니다.

2번에 5.5는 100메가 인터넷을 말하는게 아니구요

앤디님 말씀은 100메가 인터넷을 ISP노드에서 측정하면 12.5MB가 나온단 말씀이시니까
변수없이 느려진다는 가정이 없다면 100메가 인터넷은 12.5MB/s 가 맞는거네요?
          
앤디캔디 2024-02
님이 생각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박문형 2024-02
제가 어제 질문에 대한 댓글에 b와 B는 틀리다라고 이야기한 것이 있는데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셔서 오늘 질문이 나온 듯 합니다..

인터넷 통신사들이 자기 인터넷 상품 이야기할 때 기가빗 인터넷 /기가비트인터넷 /반기가 인터넷 /500매가 인터넷 이런 용어들을 사용하는데

이것들의 단위는 다 bps (비트 퍼 세크) 입니다..

네트워크의 세계에서는 거의 모두 비트 단위로 이야기 합니다..

그리고 좀 보기 힘들수 있지만 bpm 이라는 단위도 사용될수 있는데 이것은 비트 퍼 미닛 이고 분당 몇비트냐 라는 이야기 입니다..
     
넥웍연습 2024-02
어제 말씀하신건 이해 했습니다!
근데 확실하게 1번이 100Mbps면 12.5MB
2번이 5.5Mbps면 0.6875MB 인거를 말해주는 사람이 없어서 다시 질문하게 된겁니다.

모든 네트워크에서 bit 단위로 이야기 하는거랑 경로상의 손실이 잃어난다던가 라우팅 값마다 경로가 다를 수 있다
네트워크가 몰리는 시간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이야기만 하시는게 좀 답답해서요 제 질문의 요지가 계속 글에 써져 있는거랑 다른 대답만 해주셔서 

네트워크 초보인 저를 설명해주시고 이해시키려는 글들은 감사한데 제가 궁금했던게 그냥 공식같은거라
속도가 몇이 나오고 이런게 중요한게 아니라서 5.5Mbps 라는건 그냥 가상Vpc망의 속도가 나와서 예시로 든거고 이게 사실 왜 느리고 이런건 관심없습니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많이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전김형운 2024-02
1번은 100Mbps = 12.5MB/s 맞구요.
2번은 5.5Mbps = 0.6875MB/s 입니다.

1번을 100메가 인터넷이라고 말한다면
2번은 5메가 인터넷이라고 말해야 하지 않을까요...???
일단 이 부분에서 회원님들이 '갸우뚱?' 할 것 같습니다. 질문에 일관성이 없으니까요.
1Byte = 8bit 인데, 이 기준에 비추어보면 확실이 2번 질문은 이상합니다.

게다가 Vpc라면 클라우드 환경일텐데,
이 경우는 클라우드 벤더 회사의 서비스 &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소의 인터넷 환경에 따라 속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PC와는 환경 자체가 아예 달라서 "이게 몇메가 인터넷 서비스다."라고 딱 잘라 말하기는 곤란합니다.
     
넥웍연습 2024-02
아 넵 감사합니다 어제도 비슷한 질문 올렸는데 제가 듣고 싶은 이야기는 딱 위에 두줄인데 딱 얘기해주시는분들이 없어서
다 실무적인 관점에서나 손실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몰리는 시간대에는 그 속도가 안나온다
사이트마다 측정하는 속도가 다르다 이런 말씀만 해주셔서요 ㅠㅠ
piloteer 2024-02
뭐 찾으시는 답은
1. 12.5MByte/s 맞습니다.
2. 5.5메가면 5.5메가입니다. 비트가 기본이므로 8은 안 곱합니다.

이거고요.

근데 "전 이론만 궁금한거에요" -> 그 디테일들도 다 이론입니다. 네트워크 이론 중 통신 속도에 대한 이론은 원래부터가 각종 오버헤드를 따져서 upper bound를 계산하고 환경을 랜덤 프로세스로 모델링하거나 해서 analytical하거나 numerical하게 분석하거나 뭐 그런 것이고, 이 중 몇 가지는 엄밀한 수학적 분석도 가능하고요... 바이트<->비트 변환과 단위에 대한 이해는 그냥 그렇게 깊이 들어가기 전에 이해해야 하는 기초 산수일 뿐입니다.

전 글에 달린 답변들은 뭐 그걸 자세히 수학으로 설명하진 않고 실무적인 관점에서 말한 답이 많은 것 같긴 한데.. 뭐 몇백장짜리 교과서 이론을 댓글로 적을 순 없으니 당연한 것이기도 합니다. 사실 이론 베이스를 아예 빼놓고  진짜 현실적인 기준으로 답하면.. "100메가 인터넷"의 뜻은 "해당 인터넷 계약서에 정의되어 있다". 가 진짜 현실 관점에서의 답입니다.
     
넥웍연습 2024-02
감사합니다. 선배님들도 저를 원초적으로 이해 시키려고 하신거 같은데 전 Mbps MB/s 에 대해서는 이해 했고
수학문제처럼 풀었을때 그럼 이게 맞는걸까 가 궁금했던거라
네트워크가 당연히 몰리면 그 속도가 안나오고 측정 사이트마다 상이할 수 있고 이런 댓글만 있어서요 ㅎㅎ....계속 같은 이야기 듣구 있으니까 넘 답답했네요
          
앤디캔디 2024-02
약간 사족이라..쓸데없는 내용이긴 한데요
질문내용이 명확하지 않긴 했습니다
이론적으론 이게 맞나요? 라고 물어봐도 답변이 이론적인게 안나왔던 이유는..질문의 전제 자체가 틀렸기 때문입니다
Piloteer 님이 답변다신 내용의 맥락처럼 질문하셨으면 원하는 답변을 빨리 얻으셨을거같습니다
멀린 2024-02
보통 전송속도를 얘기할때는 bit, 전송량을 이야기할때는 Byte

bit/8= Byte
김준연 2024-02
네트워크 연습을 한다는 분이 단순한 비트 환산이 아닌 실제 신호 손실이나 흐름 제어 비트를 전부 무시한다는 그 자체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만...

계속 적지만 모든 네트워크의 속도 표기 기준은 bps입니다. byte/s이 아닙니다. 그리고 bps를 byte/s으로 변환하는 것은 8로 나누면 그만인 산수의 영역이며 네트워크 학습의 영역조차 아닙니다. 또한 저 표기 기준은 유선 인터넷도, 폐쇄망도, 무선도 전부 공통입니다.(즉 LTE나 5G조차 bps 규격으로 속도를 표기합니다.) 네트워크의 네 자도 모르는 사람들은 byte/s으로 착각을 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를 공부한다는 분이 이렇게 생각하시면 그걸 옆에서 보는 사람들은 속이 뒤집어지는 수준이 됩니다.

............

1. 숫자적인 '이론'만으로는 저게 맞습니다. 하지만, 실상으로 들어가서 저렇다고 주장하면 선임에게 뒤통수 맞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가장 위에 적은 흐름 제어 비트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며, 그래서 교과서적인 이론이 아니라 현실에서의 최대값을 따질 때는 8이 아닌 10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교과서적으로는 8로 나눈다로 알아두는 것도 나름 필요하지만 그 교과서를 실제 세상에 들이대는 순간 이론과 현실의 괴리를 마주하기에 실상 네트워크 성능 계산 시에는 10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절대 부인해서는 안 됩니다.

2. 5.5Mbps는 5.5Mbps이며 8로 나누는 이론값으로는 704KiB/s입니다.(단위가 왜 KB/s가 아닌 KiB/s인지는 별도로 적지 아니합니다.) 단위를 정확히 적는 것은 모든 것의 시작이며 알아서 다들 내 마음을 알고 해석해 줄것이라 믿어서는 안 되는 사항입니다. 이 부분을 잘못 적으면 미국조차 인공위성을 날려먹습니다.

추신: 현재 적어주신 내용으로 추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련 지식 수준으로 볼 때 지금으로서는 제대로 목표를 정하고 제대로 된 방법으로 네트워크 공부를 하시는게 낫습니다.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취득을 목표로 교재를 사서 공부를 해보시면 사실 조금만 내용을 읽어도 왜 다들 저렇게 이야기를 했는지 이해가 가실 것입니다.
     
구차니 2024-02
추신 + 1

bps와 Bps도 구분 안하면 네트워크를 잘못공부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대역폭 테스트 한다고 해서 항상 그 속도가 모든 서버에서 나올수 있는게 아닙니다.
지구 반대편 서버나, 가까운 일본 서버일수도 있지만 ISP나 경로나 서버 혼잡등의 이유로 대역폭 테스트에서 최대 대역폭이 나왔다고 항상 그 속도가 나온다는걸 보장할수 없습니다.
          
넥웍연습 2024-02
네 구차니님
질문 드린건 단순히 계산법 질문을 드린거구요
질문을 읽고 글을 달아주세요 제가 구분을 해서 이런 질문을 드린겁니다.

네 그리고 밑에 모든 서버에서 나올 수 있다는 말은 본문에도 있듯이 그저 계산법이 궁금해서 저는 인터넷의 흐름제어 마다 다르다던가 서버가 가깝고 멀고 틀리다 사용량 마다 틀리다 이런말이 궁금했던 게 아닙니다 저도 어느정도 인지하고 있어요 근데 산수할때 아침엔 4Mbps 점심엔 5Mbps 저녁엔 6Mbps 의 속도치는 얼마인가요 묻진 않잖아요 ㅎㅎ...그래서 그냥 고정이라구 생각하고 계산법을 질문드린겁니다.
               
구차니 2024-02
이더넷이(ethernet) 4B/5B(맨체스터 코딩)를 하기 때문에 물리계층 전송 대역의 100Mbps 가 100Mbps 이더라도 실제 전송어야 하는 데이터는 적지 않을까 합니다.
단순하게 b->B는 시리얼 처럼 한 바이트 에 start / end bit가 붙는게 아니라면 8로 나누는게 맞긴 합니다.
그렇다면 OS에서 출력되는 숫자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MB로 환산한 것일뿐 실제 데이터가 이동되는 속도를 의미하는게 아니라는건데
게다가 ethernet에서는 header가 붙습니다. 크기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MTU 1500을 기준으로 못해도 10~20byte의 헤더가 붙어서 실제 전송되는 크기 한 패킷의 페이로드는 그거보다 적을 겁니다.

일단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8bit가 1byte 입니다. byte는 B로 표기하고, bit는 b로 축약합니다.
KiB는 키비바이트라고 해서 1024가 1K를 의미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키비바이트
SI 단위에서 K는 1000 입니다.
컴퓨터는 2진수로 계산해서 1000에 근접한 숫자를 K로 씁니다. 그게 1024 입니다.
하드의 크기는 1000을 1k로 씁니다. 그래서 실제 하드 용량은 우리가 계산해보면 적게 나옵니다.

위의 내용들을 적절하게 적용해서 해석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반지식이 있으셔야 합니다.

+
baud도 추가해드리지요 ㅎㅎ
baudrate는 멀까요?
               
구차니 2024-02
순수하게(?) 질문만 답변해드리자면

1. 100메가 인터넷이라는것이 1초에 12.5MB의 전송양을 받을 수 있다는 인터넷이라는 뜻이 맞나요?
>> 1byte를 8bit로 정의 한다면 1초에 12.5MB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다만 12.5MB는 물리적으로 전송되는 패킷의 총 량이고, 패킷은 계층별 헤더가 붙으므로
실제 전송되는 진짜 파일의 용량은 12.5MB/s 보다 낮을수 있습니다.


2. 제가 fast.com에서 측정했을때 5.5Mbps가 나오는데 그럼 5.5Mbps * 8해서 40메가정도 인터넷 이라고 보면 될까요?
>> 아니오
100Mbps 회선이라도 fast.com이라는 사이트의 위치나 ISP 대역폭 등, fast.com 사이트의 혼잡도 등의 문제로
그렇게 나오는 값이 현재 사용중인 인터넷 상품의 최대속도라고 해석할 순 없습니다.
굳이 해야 한다면, ISP(인터넷 회사) 자사에서 제공하는 속도 측정을 사용해야 합니다.
     
넥웍연습 2024-02
속도 표기 기준이 bps 라는 말씀은 알겠습니다!
그럼 보통 100메가 인터넷의 속도 최대는 12800KB/s 라고 보는게 맞겠네요
아 그리고 밑에 적으신 KiB 와 KB/s 차이점이 있을까요?....

밑에 말씀은 감사합니다만
그래서 제가 위에도 말씀드렸다싶이 저는 계산법 자체를 알고싶어 했던건데 자꾸 최대속도 안나온다는 똑같은 말을하셔서 말씀 드린겁니다.
표기 기준을 몰라서 제가 byte로 표시해서 100메가 인터넷을 12.5MB 로 표시 한건 제 잘못입니다. 그래서 많은분들이 오해 하셨던 것 같습니다.
 1번에 지적해주신 건 저도 답답하네요.....계속 들었던 이야기라서 충분히 이해 했습니다 준연님 다만 제가 궁금했던건 메가비트를 bit/s로 변환하는 과정이 이게 맞나 싶은 궁금증입니다 그 단순한 산수의 영역이 궁금했던 것 입니다! 그러니까 실상은 다르다던가 흐름제어 네트워크 트래픽 이런 말씀은 이제 그만 해주셔도 됩니다 ㅠㅠ 알고있습니다..
          
박문형 2024-02
그럼 보통 100메가 인터넷의 속도 최대는 12800KB/s 라고 보는게 맞겠네요

==> 계산적으로는 맞지만 100매가비트 인터넷이란 용어가 거의 정형화되어 있기에 12800 킬로바이트 인터넷이란 말을 하면

      이상하다, 처음 듣는다, 계산해봐야 되네, 외국인, 외X인 이런 생각이 들게 됩니다.. (똑같은 것이지만 표현의 차이가 큽니다..)



아 그리고 밑에 적으신 KiB 와 KB/s 차이점이 있을까요?....

==>

https://ko.wikipedia.org/wiki/%ED%82%A4%EB%B9%84%EB%B0%94%EC%9D%B4%ED%8A%B8

링크를 확인하세요..
          
구차니 2024-02
100Mbps면 100,000 Kbps 이고
8로 나누면 125가 나와야하지 않나요? 128이 나올리가 없을...텐데요?
               
박문형 2024-02
12,800KB/s 가 아니고 12,500KB/s 가 맞네요..
넥웍연습 2024-02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선배님들

일단 제가 100Mbps를 12.5MB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준연님 말처럼 표기 기준이 bit/s 인걸 몰라서 12.5MB(byte)로 변환한 건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근데 속도가 계속 일정하지 않고 더 적을수도 있다는 말은 알고 있습니다 ㅠㅠ 이제 그만 댓글 달아주셔도 됩니다.
제가 속도를 고정해서 말씀드린 이유는 단순히 계산하는방법이 궁금해서 입니다.
100메가비트를 bit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나누기 8만 하면 된다고 했는데 그 단순한걸 하고싶어서 여쭤본겁니다.
너무 단순한걸 물어봐서 선배님들이 실무적인거나 추가적으로 알려주려고 하신 거 같은데 너무 많이 들어서 이제 댓글 안달아주셔도 됩니다....
그 외에 네트워크 표기기준이 bit/s 라는 말씀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숙지하겠습니다.

제가 질문을 할때 혼동을 많이 드린 거 같은데 그냥 100Mbps를 bit/s로 계산 어떻게 하냐고 물어볼걸 그랬네용

나머지 본문에 어긋난 글들은 작성좀 자제해주세요


QnA
제목Page 194/5730
2015-12   1791818   백메가
2014-05   5266891   정은준1
2023-08   1729   한중일
2024-07   1729   기린98
2022-11   1729   허밍버드
2024-04   1729   Software1995
2024-08   1729   Sakura24
2024-03   1730   미도리
2021-12   1730   앤드유저
2022-01   1730   리카라바
2024-01   1730   SOGm
2021-04   1730   수촌마을
2024-06   1731   박문형
2024-07   1731   박상범
2024-08   1731   블루영상
2023-05   1731   담장
2022-08   1731   미수맨
2022-11   1731   Noman
2023-01   1731   Uinx
2022-05   1731   ocarina
2024-06   1732   불멸의샌디…
2023-08   1732   명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