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ᆢ 선배님들 ~^^
이번에 설 쉬고 나서 CPU(코인 채굴용)를 변경을 할까하는데,
조언이 될만한 정보를 검색하다가 딱히 원하는 정보가 없어
질문글 올립니다. 질문은 총 3가지 입니다.
그밖에 제가 놓치고 있는부분이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른 이더리움 채굴기나 비트코인 채굴기 처럼
저도 코인 채굴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 PC 가 있는데 스펙은 44c 88t
HP사 Z840 인텔 듀얼 제온 E5-2696 V4
램 삼성 ECC 2400클럭 64Gb
제가 필요로 하는 컴은 CPU 연산만 필요한 부분인데ᆢ
그래픽 GPU 연산 1도 없이,
CPU 연산만 필요 하므로 코어갯수와 쓰레드갯수가
최대한 많을수록 유리하답니다.
따로 손대는거 없이 방치해두면 보상점수를 최대치로 얻어서 코어 갯수가 많을수록 노드 점수를 받는데 그만큼 코인을 더 많이 모을수 있게 되는 구조 입니다.
그냥 사용할 포트 10개만 열어놓고, 외부에서 제컴으로 NODE IP들이 동시에 수시로 접속해 있다 머무르다 나갑니다.
PC에서 수시로 네트웍 패킷을 주고 받고를 반복하고 있고요ᆢ메인 OS는 호스트에 윈도우10 Pro만 사용 합니다.
사용중인 프로그램은
도커(Docker)컨테이너 한개와 추가로 재단 홈피에서
배포한 프로그램도 하나 사용중 이구요ᆢ
추가로 배포된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용 유저용이고,
배포된걸 프로세스에 올려서 도커(Docker)와 같이 연동해서 쓰고 있고, 코인 재단에서 공식적으로 멀티 쓰레딩을 지원 하는게 이 프로그램의 특징입니다. 코어갯수가 몇개까지
인식한다는 정보는 없습니다. (어차피 윈도우10Pro에서
작업관리자 CPU탭에 128쓰레드 유저가
도커정보에서 docker info 명령어로 64개 쓰레드까지만 인식이 잡히고, 64개 이상 인식되는 경우는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ㅡㅡㅡ
요 바로 윗부분 도커인포 명령어는 내용 추가좀 합니다.
도커 인포 명령어를 사용한 호스트의 OS가 문형님이 예기하신 윈도우 서버군 OS에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언급한 내용대로라면 도커도 윈도우계열이니 64쓰레드이상 정상적으로 표기는 될수도 있겠네요ᆢ문제는 도커(Docker)에서
64쓰이상 불러오는 정보도 실제로 업데이트가 되었는지도 도커측에 문의 해바야 겠습니다.
추가로 현재는 얼마전 이곳에 문의글 올린적이 있었는데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도커인포명령어를 사용한건 아니고 Vmware에서 리눅스 커널안에서 해봤을때 64쓰이상 인식이 안된분이 계셨습니다.호스트에 실제 128쓰레드 유저분임ᆢ
ㅡㅡㅡ
배포용 UI는 네트워크 연결 현황 정도만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애라 딱히 특별한 기능은 없습니다.
PC에 CPU 코어와 쓰레드 갯수가
많을수록 최종적으로 코인을 많이 받을수 있고요ᆢ
여기에 최적화된 CPU를 선택할때 어떤점을 유심히 바야 할까요? 지금 사용중인 듀얼제온은 보상 점수 주는게
저조한편입니다.
CPU 클럭은 터보 부스트 꺼놓고 기본클럭으로만 돌고있습니다. 클럭이 높거나 낮을때 모두 보상 점수가 1년이상 큰차이가 없이 비슷하구요ᆢ
제가 생각한 거라고는 듀얼 제온 CPU 보다는ᆢ
L1캐시 메모리가 1MB 라도 더 높을때 높을수록
그만큼 보상이 크게 꾸준히 지속적으로 들어오는거 같은데 말입니다ᆢ
보상은 갑자기 하루아침에 크게 주는건 아니고 몇개월정도 지나서 과거에 돌린 시간을 종합해서 점수를 산정해서 매일 하루 한번씩 들어오는데 고점이 일정하게 상승해서 안들어오고 불규칙적으로 저점으로 떨어져서 점수가 들어 오는 현상이 빈번합니다.
CPU가 좋을수록 고점이 지속적으로 꾸준히 매일 조금씩 상승해서 들어와야 되거든요ᆢ
암튼 L1캐시 메모리가 높은게 머가 있나 아 보니
EPYC CPU 라인이 전체적으로 다 높은거 같네요ᆢ
워낙 고가라 에픽 쓰레드리퍼나 9천번대 4세대는 힘들고,
7000번대 1세대나 2세대로 넘어가려는데 이게 도대체
의미가 있을까요? L1캐시는 확신이 서질 않네요ᆢ
일단 현재 2696 V4 제온은 보드(PCIe 3.0대역폭)에 M.2 Nvme슬롯이 없기에 Epyc보드(PCIe 4.0 ~ 5.0대역폭)로 넘어가는게 이론상 맞고요ᆢCPU랑 SSD가 직결로 대역폭이 들어가니까요ᆢ앞서 예기한 제온은 PCI타입의 컨버터를
경유해서 CPU로 들어가다보니 저장시 딜레이가 있을거 같구요ᆢ
하루기준 트래픽 사용률은 100기가 미만 이고
하루기준 SSD에 저장되는 용량은 거의 없습니다.
두번째로ᆢ 고민하고 있는 부분은ᆢ
듀얼 2소켓 CPU 보다 1소켓 단일 CPU가 더 빠르게 연산을 할까요?
아니면. 반대로
단일 1소켓 CPU 보다 듀얼 2소켓 CPU가 더 빠르게 연산을 할까요?
세번째는ᆢ
PC랜잭을
통신사 모뎀에서 스위치로 빼서 스위치에서 꼽고
(모뎀-스위치-PC 연결)
QOS트래픽 우선순위를 지정해주면 트래픽 딜레이 없이
인터넷이 더 안정적일까요??
스위치는 8포트짜리 관리형 스위치 입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적어놓은 리소스 점유율은 제컴뿐만 아니라 모든 PC들이 다 저렇게 점유율이 저조한 편입니다.
코인 재단에서 CPU사용률은 10프로 미만으로 사용되게 할거라고 공지가 있긴 합니다. 그래서 배포한 프로그램은 그렇게 맞게 코딩해 놓은거 같구요ᆢ 근데 이게 이런식으로 제한을 두면
1억 짜리 CPU를 사용한다 처도 보상점수는 노트북에서 돌리는 점수랑 똑같지 않을까요?? CPU가 연산을 더 하고싶어도 제한이 되어 있는 상태니까요ᆢ
한가지 특이점은
AMD Ryzen 9 5950X
싱글 소켓 16c 32t / L1: 1MB L2: 8MB L3: 64M
이모델로 노드 가동시 보상점수가 전날과 다음날 사이에
보상점수 폭이 다른 CPU들과 다르게
점수가 많이 줄땐 5배 이상 더 많습니다.
이렇게 점수를 주는 빈도수가 많습니다.
하루치 보상점수가 다른 CPU의 4일이상치 보상을 한번에 받고 있는데ᆢ
이모델이 L1캐시가 고작 1메가이지만 보드에 SSD슬롯이 따로 있고 PCIe 4.0지원 인거 말고는 왜 인텔 제온 CPU들
보다 점수를 높게 주는지 모르겠습니다.
5950x CPU 사용자가 카페에 10명 정도 되는데
해당 인원들은 전부다 점수가 꾸준하게 높게 들어갑니다.
1. CPU 사용률은 하루중 최대 10% 미만으로 유지
(평소 5% ~ 10%로 거의 idle 수준이라 조용합니다.)
2. SSD 사용률은 최대 0%~ 3% 미만 유지
평소 0%에서 거의 수초간격으로 최대 3% 미만으로 사용됨
3. 평소 네트워크 패킷 사용률 (윈도우 작업관리자)
ㅡ보내기는 평균 최대 1M byte 이하 수준
ㅡ받기는 평균 최소 100 kbyte ~ 최대 800 kbyte 수준
4. SSD는 C드라이에만 사용중이고 보드자체적으로 PCIe 3.0을 지원하는데 보드자체에 SSD 슬롯은 따로 없어 직구로 구입한 PCI 슬롯에 M.2 Nvme 컨버터블 카드 사서 거기에 SSD껴서 사용하기에 CPU간에 대역폭 속도가 딜레이가 생기기 때문에??
AMD EPYC 보드에 PCIe 4.0으로 넘어갈까 합니다.
5. 램 사용율은 특정 프로세스만 유독 잡아먹는데
도커(Docker)쪽 Vmmem 프로세스만 높게 올라가 있습니다. 64기가 일때 시스템쪽 포함 10기가정도 물고 있고
램 32기가 일때 9기가정도 물고 있습니다.
추후 램은 일단 128 기가로 업그레이드 예정입니다.
글을 적다보니 스스로 공부가 되네요ᆢ
지금 사용중인 메인보드에 M.2 Nvme SSD 4.0 슬롯이 있냐 없냐에 따라 점수가 갈리고 있는것 아닐까요??
CPU 다이 자체적으로도 PCIe 4.0 대역폭을 지원하냐 안하냐 이부분이 핵심인거 같은데ᆢ
국내에 점수가 제일 높은 분의 스펙이
AMD EPYC 9454P 입니다.
SP5 1Socket 48c 96t / 3MB 48MB 256MB
단일 CPU이며 보드가 PCIe 5.0지원에 램은
DDR5 4800MT/s 이네요ᆢ
이분의 보드는 따로 알아봤는데ᆢ
PCIe 5.0지원은 그래픽 카드에나 5.0대역폭을 쓸수 있는것이고, SSD쪽은 M.2 Nvme PCIe 4.0 슬롯이 보드에
별도로 있는건가요?
이상입니다. 모두 설 잘 보내십시오ᆢ!!
답글은 미리 감사합니다. ~^^
https://learn.microsoft.com/ko-kr/troubleshoot/windows-server/deployment/windows-server-support-installation-for-amd-role-family-processor
윈도우즈 서버 OS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자잘자잘한 버그(?) 같은 것이 존재 하는가 봅니다..
A2 : 듀얼 2소켓 CPU 보다 1소켓 단일 CPU가 더 빠르게 연산을 할까요?
아니면. 반대로
단일 1소켓 CPU 보다 듀얼 2소켓 CPU가 더 빠르게 연산을 할까요?
연산의 종류에 따라 빠르게 연산한다는 것이 속도가 빠른지 일정 시간동안에 결과물이 더 많이 나오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단일 1소켓 시스템이
단일코어 연산일 경우 더 빠르게 연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듀얼 CPU 시스템은 CPU 간에 통신의 딜레이가 있고 서로 연산이 재대로 되는지 감시를 해야
하기에 단일 CPU 시스템이 동작이 일반적으로 더 빠릿빠릿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듀얼 CPU 시스템이나 멀티 CPU 시스템은 시스템 속도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대용량 매모리나 대용량 코어가 필요한 경우 사용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듀얼 CPU 시스템에서 첫번째 CPU가 두번째 CPU에 비하여 부하가 조금 더 높습니다..
마더보드 블럭다이어그램을 보아도 보통 첫번째 CPU에 더 많은 온보드 디바이스들이 달려 있습니다..
A3 : QOS트래픽 우선순위를 지정해주면 트래픽 딜레이 없이 인터넷이 더 안정적일까요?? ==> 이것은 잘 모르지만 QOS 때문에 인터넷이 더 안정적
이다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아직은 일반 PC용 GPU 카드에서 PCIe GEN 5.0을 지원하는 GPU 카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2 NVME 도 PCIe GEN 5.0은 나온지 얼마 안되어 모델이 몇 개 없고 가격이 꽤 나갈 것입니다.. 아직은 보편화가 되어 있지 않다고 봅니다..
저도 코인 채굴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워크스테이션 PC 가 있는데 스펙은 44c 88t
HP사 Z840 인텔 듀얼 제온 E5-2696 V4
램 삼성 ECC 2400클럭 64Gb
==> 아마도 이 시스템이 DDR4 메모리를 사용하는 첫번째 CPU를 사용한 시스템인데 Broadwell 이라서 인텔 PC용 CPU로 치면 인텔 5세대 제품입니다..
V3가 2014년, V4가 2016년도에 나왔네요.. 10년이 다되어 가는 시스템입니다..
https://ark.intel.com/content/www/us/en/ark/products/codename/38530/products-formerly-broadwell.html
현재 인텔 14세대 CPU 까지 나와 있고 AMD Ryzen 9 5950X 도 인텔과 비교하면 몇세대 급과 비교되어야 할지는 자세히 모르겠지만 인텔 5세대 CPU
보다는 상위일 것입니다..
서버/워크스테이션용 CPU는 안정성 확보 때문에 일반적으로 일반 PC CPU 보다는 세대가 느리며 이는 옛날 기술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최신 인텔 일반 PC용 시스템으로 시스템을 맞추는 것이 중고 옛날 듀얼 시스템으로 맞추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아 보입니다..
그리고 AMD 시스템 좋아하시면 쓰레드리퍼라는 선택지도 있기는 합니다..
CPU 코어와 메모리 용량만 늘리고 싶으시면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CPU 를 사용하는 시스템 중에서 8way 시스템이 있기는 합니다..
문제는 주문해서 생산하는 제품이고 가격이 사악합니다..
단일CPU가 빠르다는건 저도 인식은 했었는데 저랑 같은 생각이네요ᆢ CPU1슬롯쪽에 비중을 두게 설계가 되어 있나보네요ᆢ CPU2는 서브 개념인듯 하나 각 CPU다이 사이를 넘나들때 L1캐시 용량이 적을수록 둘간 딜레이는 더 늘어날거구요ᆢ보드자체어서 CPU1 위주로 의존을 하는게 맞는거 같습니다. 해외쪽 커뮤니티에 관련 용어를 찿아 공부하면 정확한 해답을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구형 제온과 인텔14세대간 비교하여 세대 속도개선 문제는 일반적으로 일반인들이 문형님처럼 예기하시는걸 자주 보는편입니다. 본문에 적었는데 PCIe 버전 레인과 CPU다이에서. 지원하는 버전이 통일되는지 여부가 확인되면
현재 기술로는 PCIe 4.0 슬롯이 탑재된 컴을 정확히 인지하고 사용하게 된다면 점수문제는 개선되리라 예상 하고 있습니다. 더나아가 CPU와 보드간 메모리 대역폭도 커야 되겠구요ᆢ L1캐시 용량이 워낙 적다보니 이문제를 의식하면 조금더 상쇄되겠네요ㆍAMD 에픽 기술중 3D-V 캐시 기술이 3세대 부턴가 기술이 투입됫던데ᆢ 이기술이 점수에 조금더 부각될거 같으나 L3 캐시용량만 뿔려서 다루는 기술이라 살짝 아쉽네요ᆢ
L1캐시가 제일 빠르니까요ᆢ 따지고보면 생산할때부터
애초에 다이내에 L3캐시 우선 사용에 포커스를 맞춘게 아닐까요ᆢ
이제 단일소켓CPU로 PCIe 4.0 슬롯이 달려있는 시스템에 CPU 다이내 메모리 대역폭이 조금더 높은걸로 알아바야겠습니다. L1캐시 용량은 제기준 최대 6메가선에 그치구요ᆢ
문형님의 댓글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ᆢ
댓글 감사합니다. 설 잘보내십시오^^~~
우선 최상급 PC CPU모델들은 풀로드 걸고 돌릴때 전기를 퍼먹는 문제가 있는데 이것을 해결해야 장시간 돌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모리가 DDR1에서 2/3/4/5 까지 오면서 속도는 빨라져 왔으나(성능은 좋아졌지만) 레이턴시(타이밍)가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PC라도 메모리를 옛날 보다는 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 어느 정도 상쇄됩니다..
DDR4 까지는 삼성메모리가 좋았는데 DDR5로 와서는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아마 현재 하이닉스 DDR5가 품질면에서는 삼성보다 더 인정 받을 겁니다..
그리고 일반 PC용 DDR5와 서버용 DDR5는 메모리 소켓이 다르게 생겨서 물리적으로 호환성이 없습니다..
제 개인적이라면 아직은 DDR4라도 충분하지만 DDR4는 몇 년 못가서 단종될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 Z270 칩셋 베이스 (인텔 7세대) 시스템을 사용중입니다만 다음에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게 되면 PC면 DDR5 서버면 DDR4
베이스가 될 것 같습니다..
현재 파이노드는 CPU로드율이 10퍼 미만 고정이고
디스크. 사용률도 평소 IDLE수준이라 조용해서
Ram슬롯의 램은 큰 기여를 못받고 있는 상황입니다ᆢ 상장후 정식노드로 전환시 그땐 전자가 맞겠네요ᆢ
그렇기에 현재는 테스트노드 단계다보니
cpu다이와 보드간 메모리 대역폭(
Per Socket Mem BW:)
을 우선 활용하는게 맞는거 같아욪
문제는 저 CPU가 너무 커서 듀얼시스템 만들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고 그나마 듀얼 시스템은 메모리 슬롯이 풀로 만들기 힘들고
최신형이니 가격도 장난이 아니라는 점이 있겠네요..
그리고 PC든 서버든 출시 이후 어느 정도 시간이(최소 6개월 내지 1년) 지나야 버그가 발견되고 픽스되면서 안정화가 된다는 점입니다..
사족 : AMD EPYC 8000 씨리즈는 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https://www.amd.com/en/products/specifications
AMD EPYC 9004 Series
3D V-Cache 기술 (인텔타겟L3캐시용량증설)
AMD Infinity Architecture 코어성능개선 인가요?
PCIe 5.0 x128 레인 지원
Socket Count: 1 or 2
CPU Socket SP5
Per Socket Mem BW: 460.80 GB/s
DDR5 UP to 4800MT/s
Memory Channels: 12
AMD EPYC 8004 Series
3D V-Cache 기술 지원 (인텔타겟L3캐시용량증설)
AMD Infinity Architecture (NUMA 코어성능개선 인가요?
PCIe 5.0 x96 레인 ㅋㅋ 지원 원가절감1
Socket Count: 1 단일 CPU 위주로 런칭
CPU Socket SP6
Per Socket Mem BW: 230.40 GB/s 흠ᆢ
DDR5 UP to 4800MT/s 굿
Memory Channels: 6 원가절감2
AMD EPYC 7003 Series
3D V-Cache 기술 처음 등장 (인텔타겟L3캐시용량증설)
AMD Infinity Architecture (NUMA 코어성능개선 인가요?)
PCIe 4.0 x128 레인 지원
Socket Count: 1개 ~ 2개
CPU Socket SP3
Per Socket Mem BW: 204.80 GB/s
DDR4 UP to 3200MT/s
Memory Channels: 8
AMD EPYC 7002 Series
AMD Infinity Architecture (NUMA 코어성능개선 인가요?)
PCIe 4.0 x128 레인 지원
Socket Count: 2개
CPU Socket SP3
Per Socket Mem BW: 204.80 GB/s
DDR4 UP to 3200MT/s
Memory Channels: 8
AMD EPYC 7001 Series
AMD Infinity Architecture (NUMA 코어성능개선 인가요?)
PCIe 3.0 x128 레인 지원
Socket Count: 2개
CPU Socket SP3
Per Socket Mem BW: 170.60 GB/s
DDR4 UP to 2666MT/s
Memory Channels: 8
AMD EPYC 9454P
SP5 1Socket 48c 96t / 3MB 48MB 256MB
이분 국내 노드점수 탑일듯
점수 37점 인데(다른사람들은 평균 20점대 육박) 가동시간 엄청나는데
개인적으로 눈여겨 보는 모델 입니다.
파이노드가 중국 베트남 한국 위주로 노드 가동자가 제일 많습니다. 아마 여기서 탑일듯요
SP3 2Socket 듀얼 64c 128t / 6MB 32MB 128MB
이분은 노드점수가 제온 2696 V4 나가는 점수로 고점이 힘들었던 모델 입니다.
CPU가 PCIe 3.0버전 지원이고
파워700와트껴서 컴이 셧다운이 잦았다는게 특이점이네요ᆢ
파이노드는 2소켓 기준 TDP가 높긴한데 100프로 쓰는게 아니어도ᆢ
CPU로드율이 저조해도ᆢ
기본 1000와트는
그것도 브랜드로 껴야 되는거 같네요ᆢ
평소 일안하고 노는 쓰레드가 60프로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해시연산이 강력한 ASIC으로 모두 넘어갔고, 현재는 CPU로 채굴하지 않습니다.
성능좋은 GPU채굴도 나왔는데
이제와서 궂이 CPU 채굴을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GPU 수요 부족으로 일부러 제한걸어서 일반 참여를 늘리는 방향으로
선회한 것도 있는 것 같은데,
결론은 전기세 낭비로 보입니다.
https://www.ddengle.com/ko/mining/14789412
https://www.ddengle.com/ko/mining/15382490
https://www.ddengle.com/?vid=ko&mid=mining&document_srl=14839676
https://www.ddengle.com/mining/19192599
시스템 구축은 가능한 예산 범위 내에서
CPU 멀티 성능이 좋은 순으로 찾아가시면 될 듯합니다.
https://www.cpubenchmark.net/high_end_cpus.html
관련 유투브 보시면 상장후 개당 4억초반대 예기들 할겁니다. 코인재단측에서 제시한 제시를 하면 안되죠ᆢ 상장도 안했는데ᆢ 재단에서 제시한 가격은 아니고 유투브에 근거없는 소문일뿐이며ᆢ 시세형성은 각자 개인이 생각해서 판단할 문제 입니다.
코인명은 파이 입니다.
채굴앱은 모바일로 별도로 있구요ᆢ 부가적으로 PC로 노드를 돌려서 점수를 얻는데 이 점수가 채굴앱과 연동되어 채굴속도를 올려줄뿐입니다. 이런 과정으로 채굴을 하고 있다 이해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PC로 노드에 참여하게 될경우 제온 2696 V4 듀얼 천와트로 한달 전기세 2만초중반대 납부 장담합니다.
현재 테스트노드라 평소 CPU 로드율이 최대 10프로 미만 입니다.
코어랑 쓰레드 갯수가 다다익선 이어야 되요ᆢ
쓰레드 갯수가 많아야 된다는데 결국 쓰레드는 물리코어 갯수 따라가는거라ᆢ
GPU연산은 생략 하고요ᆢ그래픽카드는 연산제외 입니다.
제온 2696 V4 듀얼 44코 88쓰로 노드 돌리시면
한달 전기세 제온분량만 거즘 2만초중반대 나옵니다.
CPU 사용률이 5프로라 로드율이 적어서 많이 안나와요ᆢ
cpu도 full로 과부하걸면 인간처럼 번아웃이 빨리 오니, cpu 사용량을 제한하는 툴도 있긴합니다.
[cpulimit]
https://www.joinc.co.kr/w/Site/System_management/Tool/cpulimit
cpu 마이닝의 장점은 gpu대비 전력효율일텐데 그런코인들이 살아남아 있긴하나보네요.
GPT한테 물어보니 대략 모네로?가 유력해보이는데요? ^^
현재 테스트 노드 서버라 CPU 로드율이 5%로 한자리수 대라 소음도 전기세도 막 나오지 않습니다.
꾸준히만 노트북으로도 돌리셔도 점수 그러저럭 나옵니다.
전세계적으로 전기를 많이 먹는 원흉둘이 데이터센터랑 채굴시스템인듯합니다.
데이터센터는 냉각방식을 수냉으로 가는것 같고, 채굴은 좀더 전력을 아주 적게 먹는 알고리즘을 쓰는 코인들이 사랑받겠네요 ^^
엘살바도르처럼 화산지열로 비트채굴하는 나라는 누워서 코푸는격이긴합니다.
채굴 자체가 생산적이지는 않지만, 국민들한테 인기있는거 보면 돈이 좋긴한것 같네요.
제온 터보 부스트 끄면 월 5천언정도 삭감 되실겁니다. 점수는 키나끄나 큰 변화 없는건 이미 기숙사에서 검증한 뒤 입니다. 전기세 들어가는걸 바로 확인할수 있는곳이 기숙사자나요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