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554 |
25 |
2015-12
179255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575 |
0 |
2014-05
5267575
1 정은준1
|
110762 |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dell windows 2008 이미지를 회원님들께 부탁드려도 되는지… (2) |
dreamer74 |
2018-08 |
3402 |
0 |
2018-08
3402
1 dreamer74
|
110761 |
Comet Lake 제온을 일반 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5) |
천번둥개 |
2024-03 |
2388 |
0 |
2024-03
2388
1 천번둥개
|
110760 |
[해결]윈도우 10프로 구입문의~ (5) |
lovemiai |
2017-05 |
4018 |
0 |
2017-05
4018
1 lovemiai
|
110759 |
초강력 비트 세트 메이커는 뭐가 있을까요? (4) |
가빠로구나 |
2011-07 |
6184 |
0 |
2011-07
6184
1 가빠로구나
|
110758 |
771 to 775 마이크로코드중에서 vt,sse4.1 까지 모두 인식가능하게하는 건 없나요? (1) |
catstyle |
2015-04 |
4397 |
0 |
2015-04
4397
1 catstyle
|
110757 |
CCTV 자가 설치하려고 합니다 (2) |
최도형 |
2016-06 |
4405 |
0 |
2016-06
4405
1 최도형
|
110756 |
제온에 스티커 작업은 소켓을 바꾸기 위함인가요? (5) |
민사장 |
2015-04 |
4171 |
0 |
2015-04
4171
1 민사장
|
110755 |
LG 스타일러나 삼성 에어드레서 쓰시는분들 계신가요? (9) |
빠시온 |
2019-10 |
3264 |
0 |
2019-10
3264
1 빠시온
|
110754 |
콘센트 호환 (6) |
미담 |
2024-04 |
1429 |
0 |
2024-04
1429
1 미담
|
110753 |
프로그램 개발 문의 (8) |
skzj |
2021-01 |
2501 |
0 |
2021-01
2501
1 skzj
|
110752 |
윈도우 10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서 언젠가부터 원격 오디오가 나오지 않네요 (4) |
VSPress |
2021-01 |
8746 |
0 |
2021-01
8746
1 VSPress
|
110751 |
웹 문서에 관해서 좀 잘아시는분? 질문좀 드립니다. (1) |
방o효o문 |
2011-07 |
6061 |
0 |
2011-07
6061
1 방o효o문
|
110750 |
E5450 장착한 GA-EP45-UD3R rev1.1 개조 바이오스가 필요합니다 (6) |
MMBehind |
2015-04 |
6188 |
0 |
2015-04
6188
1 MMBehind
|
110749 |
인텔 레퍼런스 보드 DG45ID 개조제온 바이오스 삽입 (3) |
루벤 |
2017-05 |
4076 |
0 |
2017-05
4076
1 루벤
|
110748 |
윈도우7 설치중에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2) |
에스프레소 |
2011-08 |
10165 |
0 |
2011-08
10165
1 에스프레소
|
110747 |
캐리어 에어콘 좋나요? (1) |
김건우 |
2017-05 |
4459 |
0 |
2017-05
4459
1 김건우
|
110746 |
한전 전기인입공사시 (17) |
이희주 |
2019-11 |
5496 |
0 |
2019-11
5496
1 이희주
|
110745 |
hpe ml310e gen8 v2도 nvme pci 어댑터를 통한 (5) |
허밍버드 |
2024-04 |
2563 |
0 |
2024-04
2563
1 허밍버드
|
110744 |
화일이 많이 들어있는 하드에 배드가 생겼는데요.. 어떤화일부분에 영향이 있는지 알… (8) |
김건우 |
2016-06 |
4434 |
0 |
2016-06
4434
1 김건우
|
110743 |
exe파일로 된 바이오스에서 롬바이오스만 뽑을수 있나요? (7) |
서울l강한모 |
2014-01 |
5763 |
0 |
2014-01
5763
1 서울l강한모
|
질문2) 다만 SFC500T 처리할 수 있는 대역폭이 중요합니다. 해당 스위치에서 처리하는 대역폭을 계산해서 그에 맞는 스위치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lacp를 구성하는 것도 좋지만 10g로 업그레이드가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만 공유기를 통해 나간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부 컴퓨터나 NAS간에 자료 전송시에보면..
자료를 주고받는 목적지의 주소를 192.168.0.~ 이렇게 입력해서 주고 받는데..
이 192.168.0.~ 내부 ip주소 할당하는 일을 공유기에서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내부네트워크내에서만 자료 전송시에도 공유기를 안거칠수가 있는가 궁금한데..
이런 걱정과 관련해서 한번만 더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래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스위치에 물린 단말들 간의 통신은 외부로 나가지 않습니다.
반대로 상단으로 넘어가면 뭔가 문제가 있다는 얘기죠.
스위치가 자체적으로 그런일을 하고 있었던거군요..?
스위치에 대해 너무 잘 모르고 있었던거 같아요..
스위치는 단순히 LAN선계(?)의 멀티탭처럼만 알고 사용하고 있었거든요..^^;;
답변주셔서 정말감사합니다~!
ㅎㅎ 말하자면 오래 전에 쓰이던 흔히 말하는 더미 허브들은 말씀하신 것처럼 단순히 연결만 해주는 식이었죠. 하지만 지금은 더미 허브는 오히려 찾아보기 거의 불가능할 정도고.. 이젠 대부분 [스위치]라, 불필요하게 패킷을 사방으로 날리지 않고 콕 찍어서 필요한 대상한테만 전송합니다.
예전엔 [더미 허브]와 구분을 지어 [스위칭 허브]라는 용어도 종종 들렸지만, 이젠 뭐 습관적으로 그냥 허브라고만 해도 대개 스위치를 가리키죠.
(이상, 네트워크 초짜의 댓글이었습니다. ㅎㅎㅎ)
2. 누가 DHCP하던 상관없습니다
LACP보단 SMB 멀티채널을 활용하는것이 효율적이고 OS나 프로토몰 이슈로 지원안되면 10G 를 쓰는게 효율적입니다.
LACP가 생각처럼 속도가 플러스 되는 그런게 아닙니다. 스위치도 지원해야되고 할게 많아져요.
2. 공유기와 이더넷 스위칭 허브 장비가 모두 1G 속도인데, 컴퓨터가 2.5G나 10G 인것은 소용없습니다.
낮은 속도인 1G에 맞춰지게 됩니다.
공유기나 이더넷 허브 및 컴퓨터까지 10G로 모두 바꾸는 것은 매우 비용이 높기 때문에 잘 생각해야 합니다.
이더넷 허브를 1G 48포트로 바꾸고, 여러개의 랜카드를 가진 NAS 혹은 컴퓨터를 티밍으로 연결하는게 현실적인 대안으로 생각됩니다.
https://www.tmon.co.kr/deal/1104648358?coupon_srl=3362334&utm_source=danawa&utm_medium=affiliate&utm_term=205009_%EB%8B%A4%EB%82%98%EC%99%80DB&utm_content=&utm_campaign=%EB%8B%A4%EB%82%98%EC%99%80
이 제품이 이더넷 스위칭 허브 일까요?
공유기 아래의 스위치나 NAS에서 1G 이상을 잘 지원해도..
공유기는 가정용 ipitme 공유기여서 1G이니..
내부 네트워크 전송시에 대역폭 확장이 안되는걸까요?
사용자들의 컴퓨터들 각각 최대 1G 이상의 속도가 나와주길 바라지 않습니다..
다만, NAS에 내부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때 느려지는걸..
서버측인 NAS의 대역폭을 확장해서.. 동시접속시의 느려지는 문제를 조금이라도 더 개선하고 싶을 뿐입니다.
동시에 접속해서 자료전송을 시작하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업무가 너무 더뎌요...ㅠ.ㅠ;
더미허브라고 불리는 것은 10/100M 허브에서나 볼 수 있는데 대략 20여년 전입니다..
스위치 허브라고 불리는 제품은 동작시 모든 랜포트에서 랜포트 대역폭만큼 속도가 나올 수 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1G 공유기를 10G 스위치 허브에 연결해도 10G 스위치에 10G로 연결된 여러기기들은 다 10G로 통신하고 공유기를 거쳐 나가야 하는 경우
1G로 통신합니다..
4포트 짜리 10G 포트를 업링크 용도가 아니라 일반용도로 쓸수 있다면,
그리고 NAS장비에 10G 포트가 있다면 광케이블을 써서 연결해보세요.
10G 속도를 쓰시려면..
NAS는 최신하드 6개를 Raid 5 로 걸어야 합니다.
네트워크 로딩시간을 줄여보려고 어떻게든 발버둥치고 있습니다..ㅠ.ㅠ;;
멀티채널 구성시엔 그만큼 속도가 빨라지구요.
1G x 2개면 거진 2배만큼 빨라집니다.
여러명이서 동시에 사용한다 해도...
해당 스위치에서 LACP 기능도 구현되고 대역폭도 다 지원해도
어차피 1G 속도로 움직일테고 이에 속도 증가는 0입니다.
멀티채널 구성이 동시 다수 사용자 입장에서
대역폭에서 손해는 볼 지언정, 전송속도 자체가 빠르고 체감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단일회사 장비끼리가 아니면 제대로 안되거나 오히려 단일 회선보다 더 불안정해 포기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차라리 이전 기술인 LAG(port trunking)가 좀더 확실하고 효과가 있는데
LAG는 대부분의 메니지먼트 허브에서 기본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 환경에는 간이 NAS로 버티기는 힘들어보이고 10G 기반의 U.2 화일서버는 있어야 원활해보입니다.
개별 데스크에 Cat6 회선이면 10G는 안되고 2.5G 까지는 무난합니다.
따라서 화일서버에 10G 2포트를 LAG 접속하고 각 데스크에 2,5G로 보네는 방안이 추천되며
시중에는(알리) 10G 업링크 2포트를 포함한 2.5G 메니지먼트 스위치가 염가에 시판중에 있습니다.
..
그리고 작업 컴퓨터가 몇 대나 되는지도 모르기에 대략 어디가 문제가 될지 짐작도 안갑니다..
현 상태에서는 NAS는 1G 4포트를 LACP로 묶던지 아니면 SMB3 로 셋팅하고 네트워크에 붙어있는 여러 컴퓨터들도 거기에 맞게 셋팅하여
사용해보는 경우가 다입니다.. 그렇게 해도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를 풀 10G로 하던지 다른 전문 영상편집용 솔루션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현상태의 네트워크 세팅 상태는 그냥 일반 사무용 정도의 네트워크 셋팅입니다..
https://kb.synology.com/ko-kr/DSM/tutorial/smb3_multichannel_link_aggregation
https://www.2cpu.co.kr/network/11061?&sfl=wr_name%2C1&stx=MikroTik%C0%CC%C1%F8&sop=and
좀 오래된 장비이지만 아직 판매하고 있고 많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는 제품입니다..
이더넷은 아니고요..
https://www.youtube.com/watch?app=desktop&v=BZe25SSFb5M
구글에서 시놀로지 영상편집 이란 단어로 검색하여 이미지 찾아 보면 몇가지 구축사례가 나옵니다..
스위치/NAS/PC 를 모두 10G 또는 2.5G 로 구성하면 간단하게 해결 가능할 것 같습니다.
100G 로 하시죠.. 않되면 40G 라도...
10G는 별로에요.
SSD 속도를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초당 3~7기가 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