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망을 10기가로 만들었을때 체감이 얼마나 나나요?

   조회 2698   추천 0    

1기가, 2.5기가, 10기가로 내부망을 만들었을때

각각 차이가 체감되는 편인가요?


나스끼리 대량의 데이터 전송말고는 큰 체감은 안되는건 알고있습니다 이건 맞나요?

서버 만들고픈 뉴비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옮기는 파일이 크고 빈번할수록 체감이 크지않을까요? 다만 sata3 hdd로만 구성한다면 10기가는 체감이 비교적 적습니다
     
이매망량2 2024-02
감사합니다
김동혁1 2024-02
체감 많이 되죠.
10g는 진짜 만족스럽습니다. 시쳇말로 개쩝니다. 물론 10g 속도를 만족시킬만한 인프라가 구축된다면요
     
이매망량2 2024-02
랜선, 랜카드도 10기가를 지원하도록 하면 되겠죠?
          
랜선 랜카드는 기본이고 저장장치가 nvme ssd이상이어야합니다. Nvme도 sata가 아니라 pcie여야하고요.
               
the촌놈 2024-02
NVME SATA SSD는 없고 NVME냐 SATA냐로 나뉩니다. 그건 NVME와 SATA가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박문형 2024-02
체감은 되겠지만 어떠한 체감인지 글로 나타내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나스끼리 대량의 데이터 전송말고는 큰 체감은 안되는건 알고 있습니다 이건 맞나요?

==> 큰체감이란 것이 어떤 것인지 글을 익는 사람들이 모두 똑같은 큰체감을 느낄수 있도록 글을 작성해주세요..
     
이매망량2 2024-02
몇시간에서 며칠이 걸릴 작업이 한나절만에 끝나는 정도로 체감이 될까요?
훔냥 2024-02
10g+sas12g+nvme 로 내외부 구성중입니다.

체감적인 것으로는 과거 hdd에서 ssd로 넘어가는 정도 됩니다.
     
이매망량2 2024-02
확 느낌이 와닿네요
SiCMOS 2024-02
Windows ISO 복사하는데 5초
화란 2024-02
형, 하드 느리면 나가리..
     
이매망량2 2024-02
그래서 ssd로 바꿀가 고민중입니다
박문형 2024-02
이더넷 10G 라는 것이 어떤 대역폭인지 숫자적으로 감을 잡으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10Gb/s
10기가비트 퍼 초
10,000Mb/s
10,000매가비트 퍼 초
1,250MB/s
1,250매가바이트 퍼 초

약 4TB SATA3 HDD의 실제 전송 속도 대략 피크치 100MB/s (하드디스크 모델에 따라 다름)
약 18TB SATA3 HDD의 실제 전송 속도 대략 피크치 200~250MB/s (하드디스크 모델에 따라 다름)
SATA3 SSD의 스팩상 최대 전송속도 대략 피크치 500MB/s (대용량 SSD인 경우 이도 모델에 따라 틀림)
NVME M.2 스팩상 최대전송속도 대략 피크치 1,000~3,000MB/s (Gen 3 기준 Gen4/Gen5는 전송속도가 더 커짐)
술이 2024-02
대용량 데이터들은 크게 체감.
일반적인 작은파일들이 많으면 못체감.
제온프로 2024-02
10GbE 의 성능이.. 업무 환경을 변화 시킵니다...

그리고.. 전 2.5GbE  아주 반대 합니다.
김준연 2024-02
저장장치가 하드디스크 기반의 None-RAID 구성이라면 2.5Gbps까지는 메리트가 있지만 10Gbps의 메리트는 줄어듭니다. 하지만 SSD, 특히 NVMe 기반이거나 SATA SSD의 RAID 구성이라면 10Gbps의 메리트는 존재합니다. 물론 양측 모두 저 구성일 때의 이야기이며, 파일 자체가 매우 용량이 커야 가치가 생깁니다. 용량이 작은 파일을 매우 많이 전송할 경우에는 대역폭의 메리트가 대부분 사라집니다.
1gbe에서 2.5gbe로만 가도 성능 체감이 확 됩니다. 특히 이 경우는 디스크가 nvme 던 sata 던 관계없이 체감이 꽤됩니다.
특히 대용량 복사할때 100mb/s 로 10분걸리던게 4분정도밖에 안 걸리거든요.

그런데 대용량 파일복사 할때 빼고는 체감성능 차이가 있을까요? 잘모르겠네요.

10gbe 가격대가 많이 내려왔기 때문에 이왕 구축하실거면 2.5gbe 는 제끼시고 10gbe 로 바로 가시는게 좋으실 것 같습니다.
딥마인드 2024-02
1g → 2.5g 만큼 경이적인 체감은 없습니다.
아마도 1g가 워낙 느린것이라 그런것도 있겠지만
시중의 10g nic들이 이름만큼 성능을 못내는것이 아닐까 하는 느낌도 듭니다.
개인용 홈 네트워크를 위해서
SFP+ NIC 2개, LC-LC 광케이블, 미크로틱 10G 스위치로 내부망 구축을 했었습니다.
내부망 속도 측정해보면 망 속도만큼은 시원시원하게 잘 나왔습니다만,
막상 NAS가 단일 HDD로 돌다보니 실제 체감은 별로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가정이다보니, 각 장비가 내뿜는 발열이 상당해서
집이 더워지는 것 같아 지금은 다 빼놓고 2.5G로 낮춰서 구축했습니다.

가정용으로 겨울철에는 추천 드리고, 여름철에는 별로 추천 못 드리겠습니다. ㅎㅎ
     
이매망량2 2024-02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638/5706
2015-12   1666405   백메가
2014-05   5131621   정은준1
2019-09   2530   통통9
2023-04   2530   번개곰돌
2019-12   2530   강한구
2019-11   2530   라온제나
2019-02   2530   찍새새샛
2019-03   2530   허인구마틴
2019-05   2530   잘하자
2020-12   2531   먹짱이
2021-11   2531   2CPU최주희
2022-03   2531   meviesta
2024-07   2531   원시인7
2021-05   2531   의롭게살리라
2019-11   2531   negativete
2020-09   2532   나는곰인뎅
2021-08   2532   박상범
2018-11   2532   박문형
2019-02   2532   쿨쿨쿨
2023-08   2532   김민철GC
2023-08   2532   leesh2143
2020-02   2533   김준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