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
롬라이터 관련 질문 (11) |
울과기펩시충 |
03-31 |
484 |
0 |
03-31
484
1 울과기펩시충
|
41 |
롬라이터 관련 질문 (4) |
박문형 |
03-31 |
423 |
0 |
03-31
423
1 박문형
|
40 |
롬라이터로 erase가 되지 않습니다. (10) |
울과기펩시충 |
03-19 |
685 |
0 |
03-19
685
1 울과기펩시충
|
39 |
롬라이팅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5) |
클루 |
2024-12 |
1316 |
0 |
2024-12
1316
1 클루
|
38 |
ASUS EX B250-V7 메인보드 관련 문의드립니다. (롬라이팅 포함) (12) |
네트맞고에찌 |
2024-12 |
1588 |
0 |
2024-12
1588
1 네트맞고에찌
|
37 |
커피타임으로 바이오스 개조하려는데 보드사마다 난이도가 다른가요? (11) |
울과기펩시충 |
2024-11 |
1822 |
0 |
2024-11
1822
1 울과기펩시충
|
36 |
질문 입니다 / Gigabyte GA-X99 UD3 bios (.23c) 을 CH341A rom Writing 하려고 하는… (6) |
hdsniper |
2024-10 |
1416 |
0 |
2024-10
1416
1 hdsniper
|
35 |
알리 elm327을 인포카 앱에 붙이는건 불가능할까요? (2) |
일론머스크 |
2024-09 |
1829 |
0 |
2024-09
1829
1 일론머스크
|
34 |
[바이오스 요청] xeon 12xx v5 v6 사용을 위한 asus b150m-a/m.2 보드의 바이오스 개조 (8) |
길씨가문 |
2024-08 |
2738 |
0 |
2024-08
2738
1 길씨가문
|
33 |
Dell 7920 CPU 업그레이드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8) |
막판대장 |
2024-07 |
2328 |
0 |
2024-07
2328
1 막판대장
|
32 |
삼성 데스크탑(DB400S6A) USB LOCK 해제 도움요청 (6) |
케케로피 |
2024-07 |
2204 |
0 |
2024-07
2204
1 케케로피
|
31 |
삼성 NT-R480 바이오스 칩셋이 어느 것일까요? (5) |
오성기 |
2024-06 |
2235 |
0 |
2024-06
2235
1 오성기
|
30 |
노트북 바이오스 백업/복원 하는 프로그램 ? (22) |
화란 |
2024-06 |
3037 |
0 |
2024-06
3037
1 화란
|
29 |
asrock H370M PRO4 바이오스 비번 초기화 (5) |
김수아무 |
2024-04 |
2265 |
0 |
2024-04
2265
1 김수아무
|
28 |
Admin Unlock 걸린 노트북 초기화 알려주세요 (8) |
래넌 |
2024-03 |
3143 |
0 |
2024-03
3143
1 래넌
|
27 |
바이오스 글씨 (5) |
현진 |
2024-03 |
2400 |
0 |
2024-03
2400
1 현진
|
26 |
삼성 데스크탑 바이오스 구하기가 어렵네요 ㅠㅠ (9) |
춍춍춍 |
2024-03 |
2763 |
0 |
2024-03
2763
1 춍춍춍
|
25 |
ASROCK H81M-DGS 2.0 도움이 필요합니다. (3) |
다롱이 |
2024-03 |
2430 |
0 |
2024-03
2430
1 다롱이
|
24 |
델 T7910 바이오스 업데이트 중 전원 차단 ㅠ (6) |
꾸띠웍 |
2024-02 |
2785 |
1 |
2024-02
2785
1 꾸띠웍
|
23 |
Intel ME NVRAM 초기화 방법 없을까요? (11) |
찬이 |
2024-02 |
2223 |
0 |
2024-02
2223
1 찬이
|
AMT_AuditLog class 에 ClearLog 라는 실행이 있나요?
전원이 꺼지면 지워 집니다
파워 Off를 의미하지 않어요
스탠바이 전원이 없는 상태로 Off되는 것을 말합니다
노트북이므로 파워라인과 배터리를 제거하고
코인배터리도 제거하고
일정시간후에 다시 장착 이후에
다시 켜보세요
노트북에 코인배터리는 없어서 전원과 배터리를 제거해 보았지만 시간은 초기화되어도 ME 관련 (MEBx Password 와 AuditLog) 는 안지워지더라구요.. 그래서 Flash Memory 에 들어가는게 아닐까 추측했습니다.
언프로비저닝은 되는데 AuditLog 가 죽은건 여전하더라구요..
SOIC 도 아니고.. 그 딱 붙어있는.. 그런 칩이라서 쉽지 않네요..ㅠ
전체 분해하지 않아도 하판 열면 CPU 히트싱크 옆에 있는게 BIOS 칩이라 접근성도 괜찮구요.
+ 찾아보니 보드 회로상 클립으로 작업이 불가능한 모델이네요. 디솔더링해서 SOP8 지그 물려서 작업 해야됩니다.
https://www.ebay.com/itm/133899132331
이런 그림의 모양입니다. 다리가 없는..
해당 모델은 WSON8 타입의 롬 칩이 사용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디솔더링하여 WSON8 지그에 물리거나, 디솔더링이 어렵다면 WSON8용 프로브 사용하여 작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WSON8이면 1.8V 롬 칩을 사용됐을 것이니 1.8V 칩을 대응할 수 있는 롬라이터가 추가로 필요할 것이며(TL866II+ 또는 T48, 해당칩 작업시 CH341A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프로브는 이런 것을 사용하시면 될 겁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5699049881.html?
이런 타입은 디솔더링이 어렵습니다.
보드 손상이 우려 됩니다 칩 리드뿐 아니라 배면에 넓게 솔더링이 되어 있기 때문 이예요.
열풍기 없으시면 디솔더링을 시도하지 말아야 합니다.
보유 하시더라도 열풍기로 연습으로 비슷한 것으로 연습을 해야 합니다.
알루미늄 호일로 해당 디바이스 크기보다 약간 작은 구멍을 뚤어서 덮은 상태로 ( 여러번 접어서 두껍게 ,,, )
열풍기의 방출열이 인접한 부분으로 전달되지 않아야 합니다.
주변에 작은 크기의 SMD R, C가 쉽게 떨어져 버리기 쉽습니다, 주변에 위치한 다른 부분이 열에 손상을 피해야 합니다.
Programming시에 PC는 전원 OFF 상태에서 Flash는 전원을 따로 인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Flash 데이터및 제어 신호가 보드에서 전압이 인가되고 있어서 디바이스 인식이 잘 않되고 프로그래밍 역시 실패 가능성이 큽니다.
Flash 전원이 롬라이터에서 전달되지 않으면 프로브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인가해야 합니다.
여기서 인식 실패하거나 프로그래밍이 실패하면 디솔더링 해야만 합니다.
제 경험상 디솔더링 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그래밍이 성공한 경우는 50% 정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