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213 |
25 |
2015-12
179321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195 |
0 |
2014-05
5268195
1 정은준1
|
110854 |
XP 에서 인터넷공유 설정하기 (5) |
서정욱 |
2010-09 |
10191 |
0 |
2010-09
10191
1 서정욱
|
110853 |
(토너) 칩 교체? 무한 칩? (10) |
여주농민76 |
2017-02 |
21818 |
0 |
2017-02
21818
1 여주농민76
|
110852 |
서멀 구리스 제거 (12) |
씨형 |
2014-12 |
9501 |
0 |
2014-12
9501
1 씨형
|
110851 |
윈도우 파워쉘 명령어 질문입니다. |
병따개님 |
2016-03 |
4540 |
0 |
2016-03
4540
1 병따개님
|
110850 |
IBM서버 보드 콘덴서 교체 가능한곳... (9) |
이해하면오… |
2010-09 |
9776 |
0 |
2010-09
9776
1 이해하면오…
|
110849 |
몰렉스단자 압착기 및 핀제거기 좀 추천해주세요. (6) |
장동건2014 |
2014-12 |
8406 |
0 |
2014-12
8406
1 장동건2014
|
110848 |
공유기 추천 부탁 드립니다. (7) |
김제연 |
2019-06 |
3239 |
0 |
2019-06
3239
1 김제연
|
110847 |
핫스페어가 설정이 잘 된건지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2) |
새로운차원 |
2020-09 |
3399 |
0 |
2020-09
3399
1 새로운차원
|
110846 |
vga에서 5v를 끌어와서 hdd로 연결하기 |
장동건2014 |
2013-08 |
5486 |
0 |
2013-08
5486
1 장동건2014
|
110845 |
MS 원노트에서 화면에 엑셀 표시화면을 보는 방법은 없나요? |
미수맨 |
2010-09 |
10171 |
0 |
2010-09
10171
1 미수맨
|
110844 |
쿼드로로 동영상 cuda가속은 어떤가요? (1) |
소주한병 |
2015-01 |
9679 |
0 |
2015-01
9679
1 소주한병
|
110843 |
1RU 서버용 USB 3.0 PCI 카드 자문 구합니다. (4) |
예상아빠 |
2016-03 |
4790 |
0 |
2016-03
4790
1 예상아빠
|
110842 |
picopsu 질문입니다. (5) |
장종명 |
2010-10 |
9510 |
0 |
2010-10
9510
1 장종명
|
110841 |
노트북 그래픽카드 문의 (6) |
이영익 |
2015-01 |
4523 |
0 |
2015-01
4523
1 이영익
|
110840 |
소형 모터중에 가장 힘좋은게 어떤건가요? (3) |
가빠로구나 |
2010-11 |
7009 |
0 |
2010-11
7009
1 가빠로구나
|
110839 |
램은 삼성 말고는 성능차이가 많이 있나요? (12) |
나비z |
2020-10 |
8371 |
0 |
2020-10
8371
1 나비z
|
110838 |
e5450 775 보드에 쓰는데 성능이 잘 안나옵니다.. (10) |
YC라온 |
2019-07 |
4316 |
0 |
2019-07
4316
1 YC라온
|
110837 |
윈도우11에 있는 "모니터 연결을 기준으로 창 위치 기억" 기능을 윈10 이… (7) |
이현석1 |
2023-11 |
9065 |
0 |
2023-11
9065
1 이현석1
|
110836 |
직구 인텔누크 가 이상이 있는것같습니다. (9) |
다온 |
2016-03 |
6348 |
0 |
2016-03
6348
1 다온
|
110835 |
zfs mount 질문 (1) |
천외천oo노… |
2015-01 |
4054 |
0 |
2015-01
4054
1 천외천oo노…
|
정보 엔트로피의 형태로 에너지가 '저장' 된다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 그 정보를 수정할 수 없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쿨링 팬의 운동 에너지가 만들어내는 대류와 마찰력은 결국 열로 변환됩니다. 파이버 옵틱의 빛은 수광부에서 열로 변환됩니다. 광 케이블에서 손실되는 빛 또한 열로 변환됩니다.
http://aedl.csbr.re.kr/wp-content/uploads/sites/2/2018/02/%EC%82%AC%EB%AC%B4%EC%86%8C_%EA%B1%B4%EB%AC%BC%EC%9D%98_OA_%EA%B8%B0%EA%B8%B0_%EB%B0%9C%EC%97%B4%ED%8A%B9%EC%84%B1%EC%97%90_%EA%B4%80%ED%95%9C_%EC%97%B0%EA%B5%AC.pdf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023557655507.pdf
질문에 맞는 답변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구글에서 서버 열량 측정 으로 검색한 것중 일부분입니다..
에너지를 뭐로 쓰던간에 결국은 열로 변합니다 100와트가 쓰이면 100와트가 열로 바뀐다보 보시면됩니다 시간차이가 있을뿐입니다
왠만큼 유명한 서버에서는 스팩에 열량 측정한 값을 넣기도 합니다..
TDP가 100W인 CPU라면 105W가 입력으로 들어가면 100W는 열로 발산되고, 5W는 출력( 신호 전기 )으로 나간다던지요.
어렵게 생각하실거 없어요.
실시간 전력량계를 이용해서 전체 시스템 소비 전력을 확인한 뒤에
CPU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의 소비전력을 빼면
CPU의 실제 소비 전력이 될 것이고,
H/W모니터 등에서 표시되는 전력량과의 차이를 비교하면
다른용도로 흘러나간 전력량을 알 수 있지도 않을 까 생각은 듭니다.
하지만, 나머지 구성의 소비전력량, 특히 보드, RAM, 저장장치 각 개별의 소비 전력을
확인하는 것도 쉽지는 않을거라 예상합니다.
이것은 보통 보안 사항이기에 NDA 사인한 사람 밖에 주지 않습니다..
한 시스템에서 어떤 파츠가 최대로 전력를 얼마나 소비하느냐를 실측한 값입니다..
이 자료만 있으면 대략 CPU 는 최대 전력를 몇와트나 먹는지 알 수는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그 자료가 있으면 거기에서 TDP 값을 빼면 어느 정도 연산될 때 전력을 소모하는지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열+ EMI(전자기파)가 전부일수밖에 없는데
대충 9:1 이상 추정합니다.
전압/전류를 적정값으로 감압하는 SMPS/스위칭레큘 장치는 EMI 비중이 좀더 높겠고 (LCR 필터가 열로 전환하지만)
부가 장치인 LED도 열 + 전자기파이고
그밖에 HDD나 팬의 모터에서 일(W)로 사용되는 에너지도 전체 비중에 비하면 극미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