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구리방열판

미담   
   조회 1743   추천 0    

녹투아 공냉쿨러랑 cpu 만나는 지점에 사각형 쿨러 헤드(?)가 있지요? 그 사각형 구리판에서 파이프가 양쪽으로 나가는 부분 말이지요.  

그곳에 핀이 많은 구리 방열판을 붙이고 팬을 하나 달면, 냉각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그곳에 붙일 순수 구리로 된 얇은 핀이 있는 구리판 혹시 추천 하실 만한 것 있으실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4-02
그닥 보템이 안 될껍니다

쿨러도 히트 파이프 많다고 무조건 냉각능이 오르는게 아니거든요

요즘 S라인업 시퓨 전력 소비 워낙 높아져서 공냉 쿨러의 냉각능은 시퓨 코어 -> 쿨러 전달 효율의 싸움이 되버렸습니다 (수냉경우 냉각수 과열에 따른 냉각 효율 저하같은게 아직 변수로 크게 작용하지만, 공냉은 이런것도 없습니다)

코어 온도 100도라도 히트 스프레더 80도, 쿨러 50도 이러는게 현실입니다

제대로 높이고 싶으시다면 보증 포기하고 뚜따한다음 리퀴드라도 발라서 바로 쿨러 올리세요 (이러기만 해도 간단하게 10+도 내려갑니다)
     
미담 2024-02
ㅠㅠ
          
dateno1 2024-02
지금 신형 암드/잉텔 둘 다 뚜따 효과 매우 큽니다 (특히 AM5는 쓸떄없는 쿨러 호환성 타령하지말고 얇게 만들었어야 함)

보증만 무시한다면 가장 뛰어난 가성비 + 효과를 보장해줍니다
SiCMOS 2024-02
수냉으로 가시지요
     
미담 2024-02
;;;;
몽탄 2024-02
그냥 좀더 상급 쿨러로 가세요 그게 시간과 돈을 아끼는겁니다.
     
dateno1 2024-02
저정도 열밀도면 쿨러가 커져도 거기까지 효과가 없어요

코어 -> 히트싱크 전달은 결국 정해진 면적대로 비례하니까요

쿨러 가격 1.5배 되면 온도 3~4도 차이나는 수준의 효과밖에 없어요
          
미담 2024-02
혹시 수냉은 특별히 추천 할 만 한 것이 있을지요? 알아는 둬야겠네요.
               
dateno1 2024-02
그냥 리뷰나 안나와같은거 인기 순위를 어느정도 참조해주세요

순간 냉각능은 쿨러별 차이가 존재하는데, 장시간 발열이 지속될떄의 냉각능은 물리적 스팩에 비례해서 상당히 평준화됩니다 (냉각수 양, 쿨러 개수, 라디 크기 이런거에 정비례)

자금상 여유가 된다면 커세어같은 유명 제조사제 인기 상위 모델 사면 평균 이상의 성능은 무조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담 2024-02
감사합니다.
                         
dateno1 2024-02
다만 공냉도 그렇지만 괜찮은 쿨러 기본이 2~30만대부터 시작이라 지갑에 해로워요
제온프로 2024-02
저는 이걸 추천합니다.
https://www.arctic.de/en/Freezer-4U-M/ACFRE00133A

그리고.. CPU 보다는 메인보드를 좀더 보호해 주세요.
SSD 도 요..


QnA
제목Page 175/5725
2015-12   1768085   백메가
2014-05   5242750   정은준1
2024-03   1579   witbox
2024-03   1445   과암
2024-03   1590   겨울만
2024-03   3004   미래1
2024-03   1984   화란
2024-03   2230   정의석
2024-03   1868   금콩커피
2024-03   2268   백룡
2024-03   1502   신은왜
2024-03   2025   파피푸페
2024-03   1520   김영기
2024-03   1401   까치산개꿀탱
2024-03   1676   빅픽챠
2024-03   2350   다롱이
2024-03   1825   흥마
2024-03   1429   초보자에용
2024-03   2030   라온제나
2024-03   1527   이창준
2024-03   2221   NightHawk
2024-03   2729   압구정노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