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5 |
개인 서버 재구성에 대한 개인적인 고민 (8) |
고양이는애옹 |
2024-08 |
2195 |
0 |
2024-08
2195
1 고양이는애옹
|
1154 |
혹시 (Mini SAS HD )SFF-8643 to SFF-8482 (29핀 SAS) X 4 케이블 파는분 있을까… (7) |
무법자 |
2024-08 |
1122 |
0 |
2024-08
1122
1 무법자
|
1153 |
9300-8i 에 U.2 SSD를 연결하면? (25) |
무법자 |
2024-08 |
1455 |
0 |
2024-08
1455
1 무법자
|
1152 |
윈도우 프로 11 라이센스 관련 질문입니다. (10) |
영산회상 |
2024-08 |
1570 |
0 |
2024-08
1570
1 영산회상
|
1151 |
SAS SSD 어떤가요? (28) |
무법자 |
2024-08 |
2457 |
0 |
2024-08
2457
1 무법자
|
1150 |
DELL T7820에 저장장치 관련.. (13) |
리아레네트 |
2024-08 |
2317 |
0 |
2024-08
2317
1 리아레네트
|
1149 |
PC가 포스팅 도중 재부팅이 반복됩니다 (6) |
에스프레소 |
2024-08 |
2188 |
0 |
2024-08
2188
1 에스프레소
|
1148 |
Dell PowerEdge R430 문의 드립니다. (23) |
caiser |
2024-08 |
2159 |
0 |
2024-08
2159
1 caiser
|
1147 |
[해결] Dell R760 usb 포트 동작 불량 (14) |
김황중 |
2024-08 |
2030 |
0 |
2024-08
2030
1 김황중
|
1146 |
HP Z6G4 에서 듀얼 6248사용 시 공냉 용량이 부족한가요? (20) |
Psychophysi… |
2024-08 |
1961 |
0 |
2024-08
1961
1 Psychophysi…
|
1145 |
린필드 1 시스템 레이드 0으로 셋팅하니 (4) |
Rich |
2024-08 |
1564 |
0 |
2024-08
1564
1 Rich
|
1144 |
하드디스크 용량과 안정성이 관련이 있을까요? (10) |
긴머리루이스 |
2024-08 |
1704 |
0 |
2024-08
1704
1 긴머리루이스
|
1143 |
MBR 4Tb 지원 - MS의 실수? (5) |
김황중 |
2024-08 |
1941 |
0 |
2024-08
1941
1 김황중
|
1142 |
노하드 문의 (18) |
Sakura24 |
2024-08 |
2168 |
0 |
2024-08
2168
1 Sakura24
|
1141 |
우분투 설치 후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21) |
뉴진스 |
2024-07 |
2348 |
0 |
2024-07
2348
1 뉴진스
|
1140 |
둘 중 골라주세요. USB4 SSD 인클로저 (4) |
김영기 |
2024-07 |
1669 |
0 |
2024-07
1669
1 김영기
|
1139 |
SSD 구입 7개월 반만에 5522TB 사용. (29) |
머재긴 |
2024-07 |
2184 |
0 |
2024-07
2184
1 머재긴
|
1138 |
HP서버 GEN10 입니다. 전면 패널 LED 의 빨간색 깜빡임 상태. (16) |
머재긴 |
2024-07 |
3446 |
0 |
2024-07
3446
1 머재긴
|
1137 |
제가 구동하는 AMD CPU가 구린거겠죠? (23) |
김황중 |
2024-07 |
2426 |
0 |
2024-07
2426
1 김황중
|
1136 |
[답글] pci-e 방식인가요? mvme 방식 인가요? (6) |
Sakura24 |
2024-07 |
1582 |
0 |
2024-07
1582
1 Sakura24
|
https://www.amazon.com/U-2-M-2-Adapter-Interface-Drive/dp/B073WGN61Y
이런 M.2 to U.2 아답터를 구하고
https://www.sfpcables.com/hd-minisas-sff-8643-to-u-2-sff-8639-nvme-ssd-cable-with-sata-power-0-5-meter
이런 케이블을 구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https://ko.aliexpress.com/i/1005005675843506.html
요즘은 간단하게 저런 통합형 케이블도 있나 봅니다..
저는 직접 셋팅해보지 못하였기에 케이블 같은 경우 호환성에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까지는 모릅니다..
그리고 U.2 디스크는 전기도 많이 먹고 열도 마니 납니다..
U.2라는게 본래 서버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 서버쪽을 확인해야 하는데
파워/백플레인/마더보드/ 케이스 /방열 등 서버의 모든 부분을 U.2에 맞추어 셋팅해야 하기에 일반적인 조립 서버에서는 사용하기 힘들고
U.2 디스크를 지원하는 베어본이나 완제품형 서버를 찾아야 합니다..
다만 3.0정도까진 케이블 품질 별로 안 타지만, 그 이상 가면 품질 탑니다
전력 소비는 4배정도는 각오해야하죠 (U2면 보통 25왓정도 먹는데, M.2 규격상은 10왓정도지만, 실재론 5~6왓이 많습니다)
레이턴시가 빨라 하드 드라이브와는 이미 격차가 많이 나서 사랑 받고 있죠.
하지만 열에 약하고 내구성이 약하여 서버에 사용되기 꺼려 졌으나.
Enterprise SSD는 그 내구성 또한 극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주력 저장장치로 자리 잡았습니다.
- SATA SSD (up to 550MB/s) 내구성 약함
- M.2 SSD PC용 (up to 7000MB/s) 내구성 약함
- SAS SSD (Enterprise) (up to 1100MB/s) 내구성 좋음
- PCIe SSD (EnterPrise) (up to 3000MB/s) 내구성 좋음 .(Pcie카드형태)
- U.2 NVMe SSD (Enterprise) (up to 7000MB/s) 내구성 중간
- U.3 NVMe SSD (Enterprise) (up to 12000MB/s) 내구성 중간
** 대략 이런 종류들이 있습니다.
보통 호환성땜에 LP로 만드는데, U.2 심하면 보드 4장까지 우겨넣다보니 실장 가능한 면적에선 차이 없습니다 (그냥 AIC만들 보드를 잘라서 겹친거라 봐도 무방한 수준입니다)
제품 표면에 U.2라는 말이 없어서 헷갈렸습니다.ㅠㅠ
https://m.blog.naver.com/richardsky9/221622724074
잘 읽어보았습니다.
모두다 불휘발성 저장장치에 해당하니까요
의미만 적혀 있으면 재미없으니까 멋져 보이라고?
그게 아니라 NVMe는 프로토콜 명세의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NVM Express consortium이 관리하는 규격이 NVMe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