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4039 |
25 |
2015-12
167403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483 |
0 |
2014-05
5139483
1 정은준1
|
101542 |
네트워크 아이콘 질문) 이거 뭔가요 ? (1) |
일개미lv1 |
2021-03 |
2533 |
0 |
2021-03
2533
1 일개미lv1
|
101541 |
알리 관련 질문입니다. (2) |
프링글스 |
2019-10 |
2533 |
0 |
2019-10
2533
1 프링글스
|
101540 |
재난지원금 카드신청했는데 얼마나걸로나요? (6) |
행복하세 |
2020-05 |
2533 |
0 |
2020-05
2533
1 행복하세
|
101539 |
이런 경우 하드 고장 인가요? (18) |
싱어송라이터 |
2019-10 |
2533 |
0 |
2019-10
2533
1 싱어송라이터
|
101538 |
네트워크 공부해보려는데 이 책 어떤가요? (18) |
Caig |
2023-10 |
2533 |
0 |
2023-10
2533
1 Caig
|
101537 |
포인트 구매 불가이면 .. 판매란에 글 적으면 포인트가 얼마 깎이나요? (2) |
신은왜 |
2019-03 |
2533 |
0 |
2019-03
2533
1 신은왜
|
101536 |
어떤 노트북이 좋을까요? (가성비X, 애플 X) (10) |
nel78 |
2021-11 |
2534 |
0 |
2021-11
2534
1 nel78
|
101535 |
미크로틱 스위치 to 호스트(서버) 802.3ad부작용 설명 부탁드립니다. (2) |
seru |
2019-06 |
2534 |
0 |
2019-06
2534
1 seru
|
101534 |
USB 패스스루 질문 드립니다 (4) |
전진 |
2020-08 |
2534 |
0 |
2020-08
2534
1 전진
|
101533 |
8베이 나스중에 좀 조용한 모델이 있을까요? (11) |
블루영상 |
2021-07 |
2534 |
0 |
2021-07
2534
1 블루영상
|
101532 |
어디서 스피커 AS를 받을 수 있을까요? (5) |
김준유 |
2020-01 |
2534 |
1 |
2020-01
2534
1 김준유
|
101531 |
z840 멈춤현상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4) |
상어알 |
2023-07 |
2534 |
0 |
2023-07
2534
1 상어알
|
101530 |
렌더링 머신이나 그래픽 워크 같은 경우도 전원 문제 |
Jasper |
2019-01 |
2534 |
0 |
2019-01
2534
1 Jasper
|
101529 |
윈도우 스팬볼륨 재 문의 드립니다 (11) |
미수맨 |
2022-08 |
2534 |
0 |
2022-08
2534
1 미수맨
|
101528 |
디스크성능을 성능테스트하려고합니다. (6) |
짱짱맨 |
2022-01 |
2535 |
0 |
2022-01
2535
1 짱짱맨
|
101527 |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각각 트래픽의 통신사업자가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요? (3) |
Noname1 |
2018-11 |
2535 |
0 |
2018-11
2535
1 Noname1
|
101526 |
DB 인덱스 질문 (oracle) (7) |
민사장 |
2019-08 |
2535 |
0 |
2019-08
2535
1 민사장
|
101525 |
저소음 블루투스 키보드? (5) |
izegtob |
2019-08 |
2535 |
0 |
2019-08
2535
1 izegtob
|
101524 |
시놀로지에서 뺀 하드가 윈도우서 초기화가 안됩니다. (8) |
영산회상 |
2021-05 |
2535 |
0 |
2021-05
2535
1 영산회상
|
101523 |
서버에 비번이 다른이유 (2) |
전진 |
2019-04 |
2535 |
0 |
2019-04
2535
1 전진
|
하지만 PCI 젠더 꼽아서 사용시는 문제 없었습니다
기가바이트 보드였던걸르 기억합니다
저번 정모때 방출 했기에 모델은 모르겠습니다
부팅이 되느냐 안되느냐는 CMOS SETUP 지원 여부에 달려 있구요.
옛날 메인보드라서 지원이 안되는 상황이면 USB 메모리에 클로버 부트로더를 심고
USB로 부팅시켜서 NVME SSD를 인식시킨후 점프하는 방법을 씁니다.
OS 부팅이후 인식해서 기본 드라이브로 잡든가 드라이브 받아오든가해서 저장소 디스크로 뜰겁니다 아마........?
(과거에 일부 OPROM 텁재된 NVMe SSD 가 있던 이유가 지원안하는 구형보드에서 저장소뿐만이 아니라 보드 부팅시 OPROM을 올려
부팅도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었음)
OPROM 이 없는 일반적 NVMe SSD 들은 아마 보드에선 UEFI 특정 버전 몇 이상, OS 에선 GPT - NTFS 인가 몇가지 충족해야 부팅 디스크로 쓸 수 있던걸로.....
지금 UEFI 보드들은 몇가지 공용되는 기본적 드라이버를 UEFI 안에 넣어둔거라 보시면 될 겁니다
레거시 바이오스 보드에서 보드의 내이티브 USB 포트에서만 되던 USB 부팅도 UEFI 에선 별도로 장착한 USB 확장 카드의 포트에서도 되더라고요
드라이버 안깔아도 되는 확장 카드들은 과거에는 OS에서 가지고 있다고 봤지만 지금은 UEFI 쪽에서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UEFI에서 인식되면 과거 플로피나 CD롬처럼 하드웨어 레벨에서 인식되는거와 거의 동일하기에 (OS 부팅 완료되야 뜨는 경우와 비교해서) 많이 편합니다
없으면 PCIe-NVMe 카드 사세요
메인보드에서 PCIe 슬롯에 꽂으면 됩니다. 4배속에 꽂으면 되고..
Bifucation 지원하는 슬롯에 꽂으면 PCIe 4배속씩 분배되어 여러게 꽂을 수 있습니다.
저가형 보드에는 없고..
전체 PCIe 레인수를 꼭 체크 하세요..
예를들면 삼성 950pro 같은것들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