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8 |
DELL 노트북 발열 해소 문제 질문 (12) |
JMX2 |
2024-08 |
1481 |
0 |
2024-08
1481
1 JMX2
|
1157 |
서브넷에 대해 도움 부탁드립니다. (16) |
김민철GC |
2024-08 |
1875 |
0 |
2024-08
1875
1 김민철GC
|
1156 |
dell 모니터 뒤에 rj-45 이용한 pxe 부팅 방법 문의 (4) |
홀릭0o0 |
2024-08 |
1894 |
0 |
2024-08
1894
1 홀릭0o0
|
1155 |
U.2 NVME to PCIe gen3 변환 (20) |
상우 |
2024-08 |
2906 |
0 |
2024-08
2906
1 상우
|
1154 |
GPU VS 내장 그래픽 (56) |
Sakura24 |
2024-08 |
3090 |
0 |
2024-08
3090
1 Sakura24
|
1153 |
T7820에 PM9A3 U.2 960GB 설치하고 윈도우11 설치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29) |
리아레네트 |
2024-08 |
1959 |
0 |
2024-08
1959
1 리아레네트
|
1152 |
성공 했습니다! 도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8) |
리아레네트 |
2024-08 |
1388 |
1 |
2024-08
1388
1 리아레네트
|
1151 |
개인 서버 재구성에 대한 개인적인 고민 (8) |
고양이는애옹 |
2024-08 |
2236 |
0 |
2024-08
2236
1 고양이는애옹
|
1150 |
혹시 (Mini SAS HD )SFF-8643 to SFF-8482 (29핀 SAS) X 4 케이블 파는분 있을까… (7) |
무법자 |
2024-08 |
1150 |
0 |
2024-08
1150
1 무법자
|
1149 |
9300-8i 에 U.2 SSD를 연결하면? (25) |
무법자 |
2024-08 |
1501 |
0 |
2024-08
1501
1 무법자
|
1148 |
윈도우 프로 11 라이센스 관련 질문입니다. (10) |
영산회상 |
2024-08 |
1595 |
0 |
2024-08
1595
1 영산회상
|
1147 |
SAS SSD 어떤가요? (28) |
무법자 |
2024-08 |
2509 |
0 |
2024-08
2509
1 무법자
|
1146 |
DELL T7820에 저장장치 관련.. (13) |
리아레네트 |
2024-08 |
2358 |
0 |
2024-08
2358
1 리아레네트
|
1145 |
PC가 포스팅 도중 재부팅이 반복됩니다 (6) |
에스프레소 |
2024-08 |
2233 |
0 |
2024-08
2233
1 에스프레소
|
1144 |
Dell PowerEdge R430 문의 드립니다. (23) |
caiser |
2024-08 |
2213 |
0 |
2024-08
2213
1 caiser
|
1143 |
[해결] Dell R760 usb 포트 동작 불량 (14) |
김황중 |
2024-08 |
2056 |
0 |
2024-08
2056
1 김황중
|
1142 |
HP Z6G4 에서 듀얼 6248사용 시 공냉 용량이 부족한가요? (20) |
Psychophysi… |
2024-08 |
2195 |
0 |
2024-08
2195
1 Psychophysi…
|
1141 |
린필드 1 시스템 레이드 0으로 셋팅하니 (4) |
Rich |
2024-08 |
1607 |
0 |
2024-08
1607
1 Rich
|
1140 |
하드디스크 용량과 안정성이 관련이 있을까요? (10) |
긴머리루이스 |
2024-08 |
1740 |
0 |
2024-08
1740
1 긴머리루이스
|
1139 |
MBR 4Tb 지원 - MS의 실수? (5) |
김황중 |
2024-08 |
1984 |
0 |
2024-08
1984
1 김황중
|
이걸 확인해보세요..
정확히는 데이터용으만 사용할때에는 구성되어있는 pci-e 버전/대역에 관계없이 22Gbps 제한이 걸립니다.
원래는 32Gbps 제한이 걸려야 하는데 USB용으로 10Gbps 가 미리 할당되어있는 구조라서 최대 22Gbps 속도의 데이터 전송만 가능합니다.
(썬더볼트용 모니터를 붙이면 대역폭이 더 줄어듭니다....)
https://www.thunderbolttechnology.net/sites/default/files/HBD16235_Thunderbolt_TB_r05.pdf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일반적으로 썬더볼트 egpu의 경우 칩셋에서의 오버헤드로 pcie 4x 보다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데, 사실은 데이터 대역폭 자체가 4배속보다 작게 할당되어있습니다.
그래서 3번에 대한 답은 22Gbps가 되겠네요. 나눠쓰는 구조이기때문에 egpu 부하에 따라 디스크 속도가 왔다 갔다 하게 됩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architecture-and-technology/thunderbolt/thunderbolt-3-vs-4.html
여기 설명이 잘 되어있습니다.
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로 알려진 Thunderbolt™ 기술은 짧은 시간에 대용량 파일을 이동하는 기능으로 게이머와 크리에이터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습니다. Thunderbolt™ 4 기술은 Thunderbolt™ 3 기술의 최소 데이터 전송 대역폭을 두 배인 16Gbps에서 32Gbps로 늘려 표준을 더 발전시켰습니다. Thunderbolt™ 4 및 Thunderbolt™ 3 기술 모두 최대 40Gbps 연결을 제공하지만, 최솟값이 높을수록 Thunderbolt™ 4 기술로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이처럼 썬더볼트 3과 썬더볼트 4는 압도적인 속도 차이를 선사하며 사용자들이 높은 속도를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썬더볼트 3 노트북과 썬더볼트 4 노트북으로 가장 효율적인 작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시리얼 통신은 Lane숫자에 따라 대역폭이 다릅니다
2. 1이랑 동일
3. 최대치는 TB의 버스 최대치랑 체인 중간에 거치는 경로중 낮은쪽이 최대치가 됩니다
대역폭 공유하다보니 그래픽 부하 걸리면 그만큼 내려갑니다
참고로 그래픽같이 시스템램 공유하는 장치 TB로 접속시 성능 하락되는 가장 큰 요인은 대역폭이 아니라 리타이머 도배 + 다단 브릿지로 인해 지연이 너무 심해서 그런겁니다
실제 사용가능한 데이터만 전송가능한 대역폭은 3용 초기제품인 알파인릿지가 최대22Gbps, 타이탄릿지가 최대24Gbps / 4용인 메이플릿지가 여전히 최대24Gbps입니다.
메이플릿지IC또한 PCIE3.0 x4이며 썬더볼트4의 최대 대역폭역시 3랑 같은 40Gbps이기 때문에 흔히 썬더볼트 4는 PCIe Gen4랑은 전혀 상관없습니다.
버전이 늘어났으니 대역도 늘어났다는 오해라 보시면됩니다.
아직도 어렵네요...
GDC TH3P4G3 를 생각하셨으면 같은 회사인듯 한데 ADT-Link UT3G (ASMedia AMS2464 64Gbps PCIe x4 4.0 USB4v1 eGPU adapter) 를 참고하시는 편이 ....
https://www.reddit.com/r/eGPU/comments/17vgjcc/egpu_thunderbolt_vs_usb4_adt_link_ut3g_tutorial/
Performance wise you see that the ASM2464PD wins against the Thunderbolt3
The Thunderbolt 3 Connection however had the better “Plug and Play” Fe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