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0455 |
0 |
2014-05
514045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071 |
25 |
2015-12
1675071
1 백메가
|
104746 |
C,D드라이브를 E드라이브에 스케쥴 백업 프로그램 질문드립니다. (8) |
ArtsRommel |
2023-08 |
2171 |
0 |
2023-08
2171
1 ArtsRommel
|
104745 |
NAS 성능 SMB 이슈 관련해서???? (19) |
다함께싸다구 |
2024-09 |
2171 |
0 |
2024-09
2171
1 다함께싸다구
|
104744 |
바이오스 업데이트 할려고 하는데, 한번에 올려도 문제 없나요? (3) |
pwater |
2023-12 |
2171 |
0 |
2023-12
2171
1 pwater
|
104743 |
Everything 고용량 하드는 지원 안하나요? (6) |
장동건2014 |
2022-06 |
2171 |
0 |
2022-06
2171
1 장동건2014
|
104742 |
Proxmox VE의 certificate에 private certificate를 추가한 후로, Web GUI에 접속할 … (7) |
ertos21 |
2023-07 |
2171 |
0 |
2023-07
2171
1 ertos21
|
104741 |
[ SELINUX ] 사용되는 이유 및 장점 (2) |
전설속의미… |
2023-03 |
2171 |
0 |
2023-03
2171
1 전설속의미…
|
104740 |
컵라면을 대략 40~50개 사야하는데요 (12) |
화란 |
2023-06 |
2171 |
0 |
2023-06
2171
1 화란
|
104739 |
코로케이션 환경 질문 (사설 IP대역, 가격정책) (2) |
냥냥맨 |
2023-04 |
2171 |
0 |
2023-04
2171
1 냥냥맨
|
104738 |
전력선모뎀 어떨까요? (8) |
김효수 |
2023-02 |
2171 |
0 |
2023-02
2171
1 김효수
|
104737 |
Switch에서 내,외부 관리형은 어떤건가요 (7) |
cncn |
2022-12 |
2172 |
0 |
2022-12
2172
1 cncn
|
104736 |
알리 비접촉 전류 측정기 ? (5) |
2CPU최주희 |
2022-04 |
2172 |
1 |
2022-04
2172
1 2CPU최주희
|
104735 |
한번 인식 불량난 SD카드는 안쓰는게 좋을까요? (7) |
LevinF |
2023-01 |
2172 |
0 |
2023-01
2172
1 LevinF
|
104734 |
시놀로지 나스 전용 하드를 일반 PC 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4) |
LSSAH |
2023-08 |
2172 |
0 |
2023-08
2172
1 LSSAH
|
104733 |
dmg파일을 ios파일로변경하여서 윈도우에설치 (4) |
스무프 |
2022-07 |
2173 |
0 |
2022-07
2173
1 스무프
|
104732 |
미니pc 문의 (7) |
헌터D |
2022-03 |
2173 |
0 |
2022-03
2173
1 헌터D
|
104731 |
크롬의 기기별 접속기록을 볼 방법은 없나요? (5) |
Sikieiki |
2023-02 |
2173 |
0 |
2023-02
2173
1 Sikieiki
|
104730 |
IPS 구성 위치 문의 (1) |
리키파울러 |
2020-02 |
2173 |
0 |
2020-02
2173
1 리키파울러
|
104729 |
보드+시퓨+글카를 죽이는데 램만 살려놓을 수가 있나요? (9) |
전일장 |
2024-01 |
2173 |
0 |
2024-01
2173
1 전일장
|
104728 |
스케일러블1세대 8173M |
하나비 |
2020-04 |
2173 |
0 |
2020-04
2173
1 하나비
|
104727 |
안녕하세요. nvme ssd 가운데 부트로더가 있는 종류 질문입니다 (2) |
코쿠 |
2021-07 |
2173 |
0 |
2021-07
2173
1 코쿠
|
콘솔로 재접속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서버에 달린 RGB포트 VGA는 주파수나 해상도가 정해져 있어서...
제것도 옛날모니터 PC서버쓸때 저런증상 흔합니다. 그래서 HDMI to RGB를 쓰면 저증상이 안나타나드라구요.
콘솔로 붙어서 모니터 주파수 무조건 60 이하로 맞춰줘야 할건데 자동값이 범위를 초과한거 같습니다.
dvi to rgb나 dvi-rgb 모니터케이블 사용하면 괜찮을까요?
D-Sub 연결했는데 저 증상 있다면 DDC가 작동 안되는거고,
BNC케이블로 연결했다면 해상도나 주파수를 모니터 지원 범위 이상으로 설정한겁니다. (BNC케이블은 DDC 신호선이 없음)
VGA 드라이버를 Uninstall 하세요...
아니면 모니터를 1024로 고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