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만 장착된 서버에 OS를 설치할 경우...

EnBay   
   조회 3517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3.5 베이 하드디스크 8개가 달린 R730 한 대를 구성하던 도중 드는 의문점입니다.

하드디스크만 장착된 서버들에 OS를 설치할 때 하드디스크에 OS를 설치하나요, 아니면 PC방처럼 네트워크 부팅을 이용하여 부팅하나요?


아니면, 메인보드에 존재하는 SATA 포트에 SSD를 직접 장착하여,

애초부터 "하드디스크만 장착된 서버" 자체를 구성하지 않는 방향으로 구성을 하나요?


검색을 해 봐도 대부분 설치 서버로 PXE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지,

PC방처럼 넷부트 기반으로 서버를 구성하기 위해 PXE를 이용하는 사례에 관한 글은 거의 존재하지 않아서...


염치 불구하고 질문글을 올려 봅니다...


10% Skill, 60% Luck, and 30% Trick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3
어떤 OS를 설치할 것인지와 그 OS가 어떠한 방법으로 설치 가능한지 생각해보시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하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SSD가 개발되지 않고 하드디스크만 사용하던 시절에는 어떠하게 OS를 설치했을까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OS를 설치 하는 미디어도 USB가 없었을때는 어떤 것으로 설치했을까도 생각해보세요..
     
EnBay 2024-03
https://serverfault.com/questions/973117/server-os-on-an-internal-usb-flash-drive-is-this-standard-practice-today

질문글을 올리고... 작성해주신 댓글을 읽은 후 댓글의 내용을 계속 생각하며...
이번에는 키워드를 조금 바꿔서 계속 검색을 하다가... 이런 글을 읽었는데...

SD 카드에 OS를 올리는 경우도 존재한다...심지어 가상화 호스트에서는 꽤나 흔한 일이다...
뭔가 굉장히 스스로가 고정관념 속에 (반드시 장착된 디스크에만 OS를 깔아야 한다! 라는) 갇혀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내용과 새롭게 검색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계속 방향을 잡아나가보겠습니다...
소중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4-03
그런데 설치할 OS는 무엇인가요??
               
EnBay 2024-03
현재로서는 페도라 서버 39 생각 중입니다...!
                    
박문형 2024-03
DELL R730 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OS가 무엇인지 알아보세요..

보통 벤더서버는 상용 리눅스만 공식적으로 지원합니다..

https://www.dell.com/support/home/en-pr/drivers/supportedos/poweredge-r730

E5-2600V4  CPU 라면

https://www.supermicro.com/en/support/faqs/os

SuperMicro 시스템에서는 X10 씨리즈니까..

https://www.supermicro.com/support/resources/OS/C612_X10_list1.cfm

이것을 기준 삼으면 대충 맞습니다..
전일장 2024-03
(초보이긴 하지만) 저는 저용량 SSD나 HDD 를 안쪽에 달고서 거기에 OS 까는걸 선호하긴 합니다. 뭔가 문제 생기면 그냥 OS 드라이브 밀고 다시 깔면 된다는 생각으로 사는지라...
     
EnBay 2024-03
백플레인이 아닌 온보드 SATA 포트를 이용하시는군요...
해당 방법도 참고하여 선택지 중 하나에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4-03
보통은 느리던말던 하드에 많이 깔아요

다만 SSD가 싸져서 여유가 있다면 2개정도 물려서 RAID1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EnBay 2024-03
하드에 설치한다라...
제가 이쪽에 발을 담근지 그리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서 "OS = 무조건 SSD" 라는 생각을 계속 하면서 계획과 방향을 세웠는데...

하드에 많이 설치하는 건 처음 알았습니다...
IDC와 같은 실제 서버가 구동되는 환경은 뭔가 일반적인 사용자 영역과는 많이 다르군요...
          
박문형 2024-03
2.5인치 SATA SSD가 나온 것은 컴퓨터 역사에서 보면 의외로 얼마 안됩니다..

리눅스가 거의 처음 나왔을때 커널버젼이 0.98 /0.99 때 슬랙웨어는 FDD로 30~40장급이 였습니다..

대략 1995년쯤인가?? 일껍니다..

CD-ROM도 재대로 없는 시절이고 인터넷도 없어서 모뎀 사용하던 때입니다..

FDD로 부팅해서 HDD에 설치하였습니다..

그후 인터넷이 보급되고 리눅스는 넷부팅이란 것도 생기고 하였지만 그럭저럭 오래 사용하였던 것이 CD-ROM /DVD-ROM 이였습니다..
          
dateno1 2024-03
요즘이야 서버든 스토리지든 올플레쉬가 대세인데, 옛날에는 아니었으니까요

몇년전 서버에 뭐가 박혔는지 궁금하시면 멀리갈 필요없이 여기 장터에 나오는 서버 매물들 보세요
검은콩 2024-03
이거때매 고생 많이했습니다. 저는 첨에는 730으로 했다가 후면 2.5bay 있는 730xd 사서 다시 구성했습니다....
     
EnBay 2024-03
XD 모델들이 후면 백플레인이 달려 있어서 SSD 장착하기 용이하다고 들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딴소리이기는 하지만 몇달 전에 동일한 이유로 저렴하게 R720XD를 하나 구매했었는데... iDRAC이 무슨 사유에서인지 죽었더군요...

팬소음이 너무 시끄러워서 눈물을 머금고 창고행시켰습니다...
박문형 2024-03
저는 E5-2600V3 로 서버 납품을 여러대 하였는데 CenOS 6.x 로 설치되어서 클러스터링식으로 여러대 묶여 동작하였습니다..

그런데 같은 서버인데 CPU가 바뀌어서 E5-2600V4 로 서버가 더 납품되었는데 이서버에서는 CenOS 6.x 가 설치 때부터 에러가 나서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이래저래 확인해보니 CentOS 7.x 가 설치가 가능했고 원인은 V3와 V4가 아키텍쳐가 달라서였습니다..

나중에는 모든 서버의 OS를 CentOS 7.x 로 다 갈아 엎고 관련 라이브러리등도 다 거기에 맞게 셋팅하였습니다..

참고로 저는 리눅스 셋팅 운용은 모릅니다..

서버 하드웨어는 조금 압니다..
     
EnBay 2024-03
조금은... 아니신 것 같습니다...
저는 반대로... 프로그래밍은 어디서 담넘어 배워서 조금 할 줄 알지만 서버 구성이나 하드웨어는 거의 모릅니다...ㅎㅎ

그래서 질문글이 되었건 강좌글이 되었건 이곳 글을 계속 읽으면서 공부 중인데...
실제로 서버가 구동되는 환경을 본 경험이 전무하다보니 검색으로도 해결이 안 되는 궁금증들이 더러 존재하네요...ㅠㅠ
박문형 2024-03
서버가 구동되는 환경을 보시려면 기회가 될지는 모르지만 많은 서버가 동작하는 데이터 센터에 들어가보시면 됩니다..

리눅스쪽으로 계속하신다면 영어로 검색하시고 네이버는 빼고 구글을 기본으로 해서 검색해보세요..

서버에서 핫스압베이를 사용하는 것은 디스크가 고장나면 서버를 끄지 않고 (동작하는 서버의 서비스를 죽이지 않고) 서버를 분해하지 않고

디스크를 교환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디스크가 하나정도 고장나도 계속 동작하게 만드는 기술이 RAID 기술입니다..
     
EnBay 2024-03
핫스왑베이... 찾아보니 "핫 스페어" 라고도 불리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또 하나 배워갑니다...
레이드는... 자격증 시험에서는 지겹도록 보는 단어인데... 그렇게 따놓고도 실제로 레이드 구성해보라고 하니 머리가 새하얘지는군요...

검색해보니 핫 스왑이라는 게 레이드와 결합해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인 것 같은데...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색해서 구성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witbox 2024-03
첨언하자면,
핫스왑이랑 핫스페어랑은 다른 개념입니다.

핫스왑은 전원을 끄지 않고 디스크를 교환한다는 것이고, 핫스페어는 레이드가 구성된 시스템에 추가로 동일한 디스크를 넣어 놓고, 레이드 구성된 디스크가 fail 날 경우 바로 스페어 디스크로 리빌딩 하는 개념입니다.
               
박문형 2024-03
+100
박문형 2024-03
장비 많이 만져 보고 많이 셋팅해보고 많이 깨먹어도 봐야 경험도 늘고 해서 실력이 늡니다..
제온프로 2024-03
Dell R730 이라면 iDRAC 를 통해서 원격으로 OS를 설치 합니다.

자료실에 R730 iDRAC 용 1개월 라이센스 있습니다.

그리고 OS를 하드에 설치 할 때는

각 하드드라이브 100GB 씩 앞쪽을 잘라서 레이드 구성합니다. 그러면 좀 빠르죠..
뒤쪽 남은 공간들만 모아서 또 레이드를 구성합니다.
--- 이것은 하드만 있을 때 이렇게 하고.

일반적으로는 500GB SSD 2개를 Raid 1으로 잡고 OS를 여기에 설치 합니다.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고.

R730은 후방에 2.5인치 2개를 설치 할 수있는 Rear sas Flex Bay 가지고 있습니다.  구하기도 싶고.
여기에 2.5인치 SSD 2개를 설치 하여 레이드 구성하고 OS를 설치 합니다.
     
EnBay 2024-03
어우 라이선스까지... 감사합니다... 검색해서 실습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뒤를 보니 iDRAC 이라 적힌 포트가 있네요. 바이오스에 예전에 iDRAC 아이피 설정하는? 그걸 본 거 같은데 기억을 더듬어서 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다른 분도 말씀해주셨다시피 SSD 두 개를 레이드 1로 잡는 게 가장 일반적이군요.
이걸 알고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

XD가 아닌 그냥 730도 후면에 2.5 디스크 두 개를 달 수 있군요...
Rear SAS Flex Bay 한번 검색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강호 2024-03
SSD가 생긴 뒤로 가능하면 SSD 넣어서 구성하고.. 없으면 없는대로 구성하죠.
     
EnBay 2024-03
SSD가 있으면 윗분들의 말씀처럼 SSD 두 개를 레이드 1로,
없으면 없는대로 하드에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는군요... 감사합니다...

하드만 있으면 넷부트를 사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생각해보면 아무리 하드가 느려도 네트워크보다는 빠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계속 의문이 들어서 질문을 드렸던 것이었는데...

덕분에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4-03
아마도 생각하시는 네트워크가 1Gb/s 일 듯합니다만

1Gb/s
1,000 Mb/s
125MB/s

이렇게 계산되고 하드디스크는 요근레 사용되는 것이면 용량에 따라 최고 전송속도는 틀리지만 대략 100~200MB/s 정도 됩니다..

6G SATA SSD 는 대략 300~500MB/s  NVME M.2는 세대 따라 틀리지만 1,000MB/s 이상입니다..

그러나 요즘은 10G/s 네트워크도 은근히 사용되기에 어느 정도는 어떤 스팩인지 정확히 보고 판단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SSD보다는 HDD를 신뢰하는데 SSD는 죽으면 데이터 복구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QnA
제목Page 15/73
2024-08   2269   콘스탄틴
2024-08   1858   스위트홈
2024-08   1153   박문형
2024-08   1601   2충본
2024-08   1638   Rich
2024-08   1420   항공모함
2024-08   1356   뚜뚜김대원
2024-08   2036   리아레네트
2024-08   2287   콘스탄틴
2024-08   2338   모자란트
2024-08   1441   도카비
2024-08   1950   Rich
2024-08   1462   아마데우쓰
2024-08   1515   소주한병
2024-08   1767   무법자
2024-08   1576   무법자
2024-08   1316   무법자
2024-08   2132   무법자
2024-08   2509   겉절이
2024-08   1892   Iop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