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5371 |
0 |
2014-05
523537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667 |
25 |
2015-12
1761667
1 백메가
|
111284 |
AMD Threadripper pro VS Epyc (8) |
제로원소프트 |
2024-03 |
2954 |
0 |
2024-03
2954
1 제로원소프트
|
111283 |
AMD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15) |
미담 |
2024-03 |
1945 |
0 |
2024-03
1945
1 미담
|
111282 |
윈도우 로그온이 User Profile Service 서비스에서 실패했습니다 오류 (2) |
SouthH |
2024-03 |
4763 |
0 |
2024-03
4763
1 SouthH
|
111281 |
듀얼 cpu 구성중 파워 이걸로 충분할까요? (6) |
품격의상징 |
2024-03 |
2061 |
0 |
2024-03
2061
1 품격의상징
|
111280 |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 어떤거 사용 하시는지요. (4) |
Rich |
2024-03 |
1457 |
0 |
2024-03
1457
1 Rich
|
111279 |
Brocade san 스위치 구성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나두련 |
2024-03 |
1587 |
0 |
2024-03
1587
1 나두련
|
111278 |
재인증하드디스크 (5) |
미담 |
2024-03 |
1719 |
0 |
2024-03
1719
1 미담
|
111277 |
EDSFF 규격 관련 게시물은 왜 갑자기 삭제? (1) |
엠브리오 |
2024-03 |
1507 |
0 |
2024-03
1507
1 엠브리오
|
111276 |
idc 대역폭 비용.. (7) |
두리안 |
2024-03 |
1689 |
0 |
2024-03
1689
1 두리안
|
111275 |
[질문] PD지원 안하는 노트북에 PD충전기 사용시 작동 여부 (21) |
alpha099 |
2024-03 |
1846 |
0 |
2024-03
1846
1 alpha099
|
111274 |
프린터 사용을 위한 VPN 서버 구축 (27) |
GoverZG |
2024-03 |
2433 |
0 |
2024-03
2433
1 GoverZG
|
111273 |
클로버노트 유료화 |
pumkin |
2024-03 |
1825 |
0 |
2024-03
1825
1 pumkin
|
111272 |
데스크탑 무선랜 안데나용 단자 구입처 또는 규격 (4) |
무쏘뿔처럼 |
2024-03 |
1483 |
0 |
2024-03
1483
1 무쏘뿔처럼
|
111271 |
먼지 구덩이에 도입되는 서버에 미세먼지 필터 붙여도 될까요?? (15) |
Landa |
2024-03 |
1935 |
0 |
2024-03
1935
1 Landa
|
111270 |
Arista 2중화 구성 질문 (3) |
LosAngeles |
2024-03 |
2040 |
0 |
2024-03
2040
1 LosAngeles
|
111269 |
Arista 2중화 구성 질문 |
kama |
2024-03 |
1783 |
0 |
2024-03
1783
1 kama
|
111268 |
HP 서버 Z600 윈도우11 설치 질문 드립니다 (10) |
전진 |
2024-03 |
2328 |
0 |
2024-03
2328
1 전진
|
111267 |
4K Video download+ (13) |
미담 |
2024-03 |
2047 |
0 |
2024-03
2047
1 미담
|
111266 |
윈도우11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눌렀을때 풀다운 메뉴관련 (6) |
쌍cpu |
2024-03 |
2257 |
0 |
2024-03
2257
1 쌍cpu
|
111265 |
도서상품권 어디에 사용하시는지요. (7) |
Rich |
2024-03 |
1436 |
0 |
2024-03
1436
1 Rich
|
서버 이중화하고 HA구성까지 하였다는 것은 한쪽 서버가 문제가 있더라도 서버가 하는 서비스가 절대로 죽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로 생각됩니다..
아마 백업도 따로 다 하고 있겠지요..
따라서 저런 위험 부담이 있고 잘 모르는 작업은 돈을 들여서라도 저런 작업 경험이 있는 회사나 사람에게 작업에 대한 견적을 받고 일을 진행시키는 것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냥 하라고 해서 했다가 서비스가 멈추거나 심하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날라가면 작업했던 사람들만 책임을 지게 됩니다.. (심하면 피해보상 이야기 나옵니다..)
그런데, 만만치 않습니다
전문업체 찾아서 맏기시는거 추천 합니다
HA, Cluster, 모든 이중화 솔루션은 SAN 스토리지나 OS자체 기능만으론 안되요. 이중화를 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솔루션이 반드시 있어야해요
SAN 하단의 스토리지는
둘다 연결되어 있습니다.
DB서버 1, 2에 D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죠..
DB서버가 Active 단 스텐바이던.. 이미 연결되어 있는 것이죠.
그 상단에 WAS 서버가 L4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죠..
WAS 1, 2가 Active Stanby, 로드벨런싱이던.. L4가 할 것이고..
WAS 1, 2의 Active 유무는 HeartBeat Line 으로 인식을 합니다.
물리적인 구조에서
스토리지의 SDA 볼륨을 서버1,2에 각각 바라볼수있게합니다
fdisk -l 치면 해당 볼륨이 보이겠죠 하지만 동시에 사용은 못하고 한개의 서버에서만 마운트할수있습니다
이것을 서버1이 죽었을데 서버2에서 자동으로 쓸수있게 해주는것이 클러스터시스템입니다.
레드헷같은경우 레드헷 슈트가있고 머 암튼... 클러스터 소프트웨어 가 필요합니다.
그래야 1번 노드에서 사용하다 1번이 죽어도 2번 노드에서 디스크를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Lvm구성후 정보 동기화가 양쪽 잘 되어있으면 리소스 왔다갔다 잘 됩니다
물론 동시 마운트는 하는건 아니구요. (a-a 인경우도 공유볼륨을 asm구성을 하거나 솔루션에서 동시 사용관련 기술을 제공받으면 san환경도 nas처럼 각 노드 동시사용 가능합니다)
제가 있는곳에서의 일반 적인 linux환경 db서버 a-s구조는
디스크 공유볼륨lun할당, os측에서는 multipath구성, rhcs나 위에 언급된 pcs구성 등을합니다 이건 보통 oracle이나 tibero등을 구성할 때 그렇구요
MariaDB같은 경우는 각서버 별도 디스크구성하고 replication backup영역을 nas로 이용합니다.
RHEL HA-LVM Pacemaker (Active/Standby) [Active/Active : CLVM]
http://www.chlux.co.kr/bbs/board.php?bo_table=board02&wr_id=137&sca=OS
http://www.linuxdata.org/bbs/board.php?bo_table=Cluster&wr_id=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