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된 LAN 케이블의 규격외 알고 싶습니다.(Cat.5, 6, 7, 8)

신우섭   
   조회 2817   추천 0    



네트워크 어뎁터 설정으로 PC(192.168.1.1)와 NoteBook(192.168.1.2)에 USB3.0 2.5G 유선 LAN 직접 연결 후 PC에서 NoteBook 또는 NoteBook에서 PC로 고용량 단일파일(=약 18G~32G) 데이터를 옮길 때 꾸준히 280MB/s 나옵니다.







부족함이 많지만, 필자가 알기에 LAN 케이블 규격별 다음 전송속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8까지 배움)



Cat.5 : 최대 약 12.5MB/s


Cat.6 : 최대 약 125MB/s


Cat.7 : 최대 약 1,250MB/s


Cat.8 : 최대 약 5,000MB/s



아... 그런데, 문의한 곳의 여러 환경(완공일자,사용자 등)을 종합해볼 때, 약 47m~57m 길이의 Cat.7 LAN 케이블 사용하지 않았을 것 같은데 말이죠 ^^;;



Q1. 무조건 Cat.7 이상의 케이블로 설치된 환경인가요? =_=a



이론상 USB 3.0은 5G, 연결한 유선 LAN은 2.5G 어디보자 계산기가 어디 있더라 ^^;;



Q2.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는 2,500 ÷ 8 = 312.5MB/s인데, 280MB/s로 진행된다면 어디선가 손실? 아니면 이론을 무시하고 이게 최대치인가요?



Q3. 10G는 고고고가격이라;;; Pass 하고, 500~625MB/s 환경을 USB 3.0 인터페이스에서 사용가능한 유선 5G LAN은 없나요?(검색하면 WiFi만 나오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3
2.5G는 1G가 사용 가능한 UTP 선이면 다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대략 CAT5 / CAT5E / CAT6 케이블로 보시면 됩니다..

아파트에 포설된 UTP 선은 특별하지 않는 이상 단가 문제로 UTP 5E 이상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A2 : 이론상 최대 대역폭입니다.. 실제로 그만큼 다 나올 때도 있지만 보통은 그 이하입니다..

A3 : 다나와에서 유선 5G 네트워크 카드 찾아보세요.. 2.5G도 보급 되는데 굉장히 시간이 많이 걸렸고 이제 마더보드에 온보드 되는 추세입니다..

      5G는 아직까지 보기 힘들다라고 생각합니다..
     
piloteer 2024-03
덧붙이자면 "5기가 + USB 3.0" 조합의 유선랜카드가 실제로 있긴 한데 제 성능이 안 나오는 게 대부분이니 주의 바랍니다. USB 3.0이 5gbps긴 하지만, 오버헤드가 이것저것 붙다 보니 실제론 5기가가 안나옵니다. 실제로 써 보면 분명 5기가 이더넷 카드인데 실제 속도는 한 3~3.5기가 정도 나옵니다.

그래서 제대로 뽑으려면 좀 더 상위버전의 USB나 (나온 게 있나 모르겠습니다. 전에 찾아봤을 땐 별 대안이 없었어요.), 아예 PCI-e 연결 (썬더볼트 등) 이 필요해집니다.
          
신우섭 2024-03
아래 엠브리오님 글 처럼 5G 버리고 10G로 가는게 모든 면에서 좋겠네요.
          
dateno1 2024-03
USB 10G용이 필요해지죠

참고로 대역폭 상한 5기가로 3.7~8기가쯤 나옵니다
     
신우섭 2024-03
유선 5G 기다리지 말고 10G로 가야겠네요. OTL
piloteer 2024-03
랜케이블에 최대 속도는 없습니다. 제대로 4페어 다 있고 채널 품질만 좋으면 (즉, 길이가 짧고 간섭이 적으면..) 낮은 등급의 케이블로도 고속 연결이 됩니다.

흔히 말하는 "Cat 6은 몇 mbps고..." 이건 안정성등을 생각할 때 엔간하면 그 정도 급은 쓰는 게 좋다는 가이드일 뿐입니다. 만족 못 해도 오토네고시에이션 통과만 하면 통과한 링크속도로 전송을 합니다. (다만 품질이 아슬아슬하다면 패킷 로스가 나겠지요.)

저희는 수십미터짜리 Cat 6이 이미 다 포설되어 있어 그걸 그대로 쓰고 있는데, 10기가비트 안정적으로 됩니다.
정무현 2024-03
랜케이블을 볼수있다면 케이블에 적혀져(프린팅) 있을겁니다.
내부에 포설되어있다면 어쩔수없지만요...

전송 속도로서 케이블이 cat 몇이다는 알기 힘들거 같습니다.
     
신우섭 2024-03
시작하는 RJ45 부터 반대편까지 물티슈로 닦으면서 아무리 찾아도 프린팅된 내용이 없네요. ^^;
          
Stiff 2024-03
대충 두께 보시면 CAT6부터는 많이 굵어요..
          
박문형 2024-03
               
신우섭 2024-03
처음부터 끝까지 아무리 찾아도 점하나도 찍힌게 없습니다. ^^;;;;;;;;;;
                    
박문형 2024-03
제조사가 어딘지 모르겠지만 그리 믿을만한 케이블은 아닌 것 같습니다..
김준연 2024-03
Cat.5 계열 케이블로도 단거리에서는 2.5Gbps 속도는 뽑아줍니다.
     
dateno1 2024-03
몇십미터라도 잘 됩니다
엠브리오 2024-03
Q1. 전송속도 만으로는 그 케이블이 CAT7 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10G 랜카드에 CAT5E 케이블을 써도 2~3 미터의 길이밖에 안된다면 CAT7과 속도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Q2. 대략 이론적인 전송속도의 70% 정도가 나와주면 지극히 정상으로 봅니다.
Q3. 유선 5Gbps 장비는 포기하는게 나을겁니다. 그거 보급되길 기다리느니, 그냥 10G 장비 가격이 더 빨리 떨어질듯.
정무현 2024-03
네트웍에서 말하는 100Mbps는 단위가 1024가 아니라 1000 입니다 ㅠㅠ ( 하드디스크 용량 과 비슷하지요 )
따라서 100Mbps는 100,000,000bps이고 바이트로 환산시 11.9 MByte/sec 이 됩니다...
12.5MByte/sec 이 아닙니다ㅠㅠ

동일한 계산을 해보면

1Gbps 라면 119MByte/sec
10Gbps 라면 1.16GByte/sec 입니다.
     
신우섭 2024-03
÷ 8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 +_+ a
          
안철현 2024-03
/8은 bit - byte로 환산할때 이고..

실제로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서는 패킷 만들어 전송해야하는데..
알맹이 데이터 앞뒤에 이것저것 추가 데이터가 붙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실제 네트워크 구간 전송속도와 파일이 기록되는 속도간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구간 전송속도는 오버헤드까지 포함한 속도이고
데이터 기록 속도는 알맹이 파일이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속도입니다.
소리사랑 2024-03
저도 비슷하게 나오네요.
데탑 데탑 보드내장 2.5G 유선  산와Cat.8 케이블 5미터입니다.
딥마인드 2024-03
2.5G는 왠만한 UTP도 풀속도가 잘 나와주는데
10G는 싱글모드 바로 옆이라도 5G 뽑기가 버겁더군요
술이 2024-03
CAT5E 도 10G 뽑아줍니다. CAT6 부터 10G 쓰는줄 알았더니 케이블 없어서 5 꼽았는데도 그대로 잘 뽑아주든데요.
제온프로 2024-03
저거는 속도가 아주 잘 나오고 있는 것 입니다..

손실이 아니라..


QnA
제목Page 4517/5725
2014-05   5242590   정은준1
2015-12   1767911   백메가
2016-04   4210   캡틴아메리카노
2018-06   4538   빌라비아
2013-10   21979   1김In1
2011-03   9452   Seean
2013-10   8787   오준호5
2015-02   14532   레나
2016-04   5729   sira
2022-05   2496   pibang
2011-03   21687   조명수
2018-07   4498   다이소
2015-03   3542   justin1
2018-07   3776   Gman
2022-06   1783   avemaria
2013-10   4699   SkyBase
2016-05   5669   아배고파젠장
2015-03   3993   뮤노
2013-11   11086   손갑빈
2016-05   4754   무아
2013-11   30890   QS왕통키손…
2017-04   3244   후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