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5942 |
25 |
2015-12
176594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0495 |
0 |
2014-05
5240495
1 정은준1
|
111503 |
해외구매 배송지 (3) |
총알탄사나이 |
2024-04 |
1570 |
0 |
2024-04
1570
1 총알탄사나이
|
111502 |
2포트짜리 NIC 1개에서 각각 다른 망을 사용하는 법 (9) |
JJAMTIGER |
2024-04 |
2099 |
0 |
2024-04
2099
1 JJAMTIGER
|
111501 |
메인보드 BIOS 작업가능 하신분있을려나요? (8) |
빡시다 |
2024-04 |
2881 |
0 |
2024-04
2881
1 빡시다
|
111500 |
[opensense] 외부 사용자의 IP 확인 (2) |
늘맑음 |
2024-04 |
1691 |
0 |
2024-04
1691
1 늘맑음
|
111499 |
raid reconstruction 완료시 리눅스가 알게하는 방법이 있나요? (4) |
구차니 |
2024-04 |
2068 |
0 |
2024-04
2068
1 구차니
|
111498 |
Z840 비프음 5번 계속 (8) |
2CPU최주희 |
2024-04 |
2506 |
0 |
2024-04
2506
1 2CPU최주희
|
111497 |
Z840 비프음 5번 계속 (1) |
제갈기천 |
2024-04 |
1969 |
0 |
2024-04
1969
1 제갈기천
|
111496 |
수랭쿨러 수리 관련 질문 (12) |
어석 |
2024-04 |
1754 |
0 |
2024-04
1754
1 어석
|
111495 |
y700 사용하신분 |
뚜뚜김대원 |
2024-04 |
1469 |
0 |
2024-04
1469
1 뚜뚜김대원
|
111494 |
파워전압 (10) |
미담 |
2024-04 |
1524 |
0 |
2024-04
1524
1 미담
|
111493 |
18650 등 니켈 갈갈이 어떤거 쓰시나요? (8) |
민경열 |
2024-04 |
1931 |
0 |
2024-04
1931
1 민경열
|
111492 |
서버를 잘아시는 전문가님의 조언을 구합니다. HW 구성 문의 (40) |
zhyoon |
2024-04 |
2615 |
0 |
2024-04
2615
1 zhyoon
|
111491 |
메가시티 시나리오를 보고 필요성이 있을까? (3) |
Rich |
2024-04 |
1649 |
0 |
2024-04
1649
1 Rich
|
111490 |
[문의]WESTLAND2 H110H4-GM2 TG삼보 메인보드관련입니다..(RGB 케이블외 DVI,HDMI,외… (1) |
PC배우미 |
2024-04 |
3453 |
0 |
2024-04
3453
1 PC배우미
|
111489 |
PC용 카카오톡 모바일 알림으로 전환되는 문제 (5) |
뚜앙 |
2024-04 |
2043 |
0 |
2024-04
2043
1 뚜앙
|
111488 |
엑셀 문의 드립니다. (4) |
Sakura24 |
2024-04 |
1570 |
0 |
2024-04
1570
1 Sakura24
|
111487 |
수화기가 전파의 영향으로 볼륨이 줄어들 수 있을까요? (33) |
dragoune |
2024-04 |
2002 |
0 |
2024-04
2002
1 dragoune
|
111486 |
VPN 잘 아시는분께 여쭤보고 싶습니다.(초보질문) (3) |
fLog |
2024-04 |
1760 |
0 |
2024-04
1760
1 fLog
|
111485 |
그래픽 카드 같은 건 버릴 때 어떻게 버리나요? (5) |
sasaz |
2024-04 |
2593 |
0 |
2024-04
2593
1 sasaz
|
111484 |
맥 스튜디오 썬더볼트 포트 문의입니다 (썬더볼트) (16) |
회원 |
2024-04 |
2660 |
0 |
2024-04
2660
1 회원
|
Text 나 HTML 등 작은 파일들이 많으면 Sector size 가 작은게 조금은 더 유리 하겠고..
동영상등 큰 파일들 주라면 Sector size가 큰게 유리하겟네요..
32K : 200KB 용량을 저장한다면. 32KB 사이즈라면.. 32K 씩 잘라 기록합니다.
64K : 3MB 용량을 저장한다면. 64KB 사이즈라면.. 64KB 씩 잘라 기록합니다.
별로 중요한 거 아니니 기본 값으로 하세요..
구글링해서 무엇인지 검색해보세요..
32k단위로 디스크에 저장합니다
예를 들어 1k짤 파일을 기록한다면 32k의 영역을 읽은후 1k만큼 추가해서 쓰기를 반복합니다 (미리 32k의 영역을 할당후 0/32 -> 1/32 기록 -> 32k를 다 읽어냄 -> 2/32 기록 -> 3/32k....이런식으로 채운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하게 됩니다)
64k짤 파일을 쓴다면 2분할됩니다
연속된 적은 개수의 파일을 다루는 경우 (영상, 사진등) 좀 크게 잡는게 유리하고, 랜덤 접근하거나 작은 파일을 많이 다루어야한다면 작은게 유리합니다
영향은 일반적 RAID랑 별반 차이 없는 수준이니 관련 내용 검색해서 벤치등 찾아보시고나서 용도랑 파일 평균 크기 고려해서 결정해주세요
요즘 데이터 사이즈가 커지다보니 일반적 파일 저장용이라면 기본값보다 좀 크게 키워주는게 성능 향상에 보템이 됩니다 (반대로 DB처럼 적은 영역을 랜덤 접근해야하는걸 저장한다면 너무 큰 사이즈를 잡으면 1번 읽어올때마다 걸리는 부하가 급증하므로 성능이 하락됩니다)
이외에 올플레쉬로 구성하는 경우 사이즈 어떻게 잡아도 거기까지 큰 영향 안 줍니다 (HDD일때에 비하면 차가 미미해짐)
- ashift : "섹터 사이즈" 정도로 대응되는데, 장치에 읽기/쓰기를 할 때 바이트 위치를 장치의 섹터 위치로 변환하기 위한 값으로, 장치 자체의 블럭 사이즈와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하는 값입니다.
- record size : 아마 이게 궁금하신 "블록사이즈"로 보이는데, ZFS 의 블록사이즈는 고정값이 아닌 가변 길이(최소 512B)를 가지며, 실제로 설정하는 블록 길이의 최대값을 제한하는 파라메터입니다. ZFS 에서 파일은 여러 개의 논리적인 블록(record)로 나뉘고, 이 record가 실제로 기록될 떄는 여러 개의 sector 로 나뉘어 디스크에 저장되는 형태입니다. 가령 record size 최대 제한이 32K 라고 한다면, 120B 파일은 512B record 한 개, 7K 파일은 8K record 한 개, 80K 파일은 32K record 세 개로 저장되는 형태입니다.
record size 가 작으면 작은 읽기를 많이 할 때 불필요하게 같이 읽어지는 데이터가 적어져서 좋아지는 반면, record size 가 크면 용량이 큰 파일에 대해 record 총 갯수가 줄어들어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압축이나 deduplication 이 record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압축 효율 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https://www.high-availability.com/docs/ZFS-Tuning-Guide/#record-size-recordsizen 여기에 관련하여 예시와 함께 설명이 잘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