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인증 신뢰와 실시간 감시 프로그램

미담   
   조회 1849   추천 0    

이베이는 페이팔을 이용합니다만, 요즘 알리는 체크 하나로 바로 결제가 되는데

이상하게 불안하네요. 저렇게 사용해도 보안에 문제가 없을까요?

주변 사무실들이 보안 문제로 홍역을 앓는 것을 보니 점점 보안에 대해 신경이 써입니다.

더군다나 갈수록 온갖 업무가 인터넷으로 하게 되다보니 홈뱅킹 부터 모든 개인의 자산관련 정보까지

컴퓨터에 들어있어서 좀 그렇군요.

그렇다고 매번 USB에 넣어두고 인터넷 접속 해봐야 어차피 뚫린 보안이면 접속 순간에 뚫릴테니

별도 보관을 해도 큰 의미가 없을 것 같고.... 윈도우 디펜더만 믿을려니 무언가 찜찜합니다.

그동안 조금씩 사용했던 비정품들은 전부 포맷하고 정품만 깔았고

은행과 행정시스템 그리고 믿을 만한 카페를 제외하고는 인터넷 쇼핑 밖에 없는데

알리 같은 곳이 여전히 찜찜합니다. 아주 강력하게 실시간 보안을 해주는 것으로 뭐가 있을까요?

예전에 절대로 잡지 못하던 바이러스를 Fixs 던가 그 비슷한 유료 구독 형태의 프로그램이 잘 잡기는 하던데....

추천할 만한 강력한 실시간 감시 프로그램이 무엇이 있을까요?

집에 컴퓨터는 제 전 자산정보까지 들어있어서 무언가 조치를 하고 싶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4-04
보안용 윈도우 10 == SSD 를 별도로 구성하여.. 필요할 때만 쓰고
평상시에는 연결을 해제하여
일반 윈도우 SSD를 사용하세요.
     
미담 2024-04
말씀 들어보니
자산과 개인 민감한 정보는 전용 컴퓨터를 사용하기로 하고 사용 할 때만 인터넷 연결을 하고
행정시스템 처럼 업무관련 엑티브엑스가 많이 깔리는 것은 메인 컴퓨터에 VM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무난 할 것 같군요.
구독형 프로그램은 일정 기간 인터넷 연결이 안되어도 사용 가능하게 해주면 좋을 것인데 그게 안되니
항상 인터넷 연결을 해두어야 해서 사양 낮은 컴터를 이용해 와이파이를 켰다 껐다 하는 것으로 정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 등 해외 웹사이트 결제가 쉽게 되는것과 사용하시는 홈뱅킹이 가능한 컴퓨터의 보안과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알리에서 중국제 보안프로그램과 같이 출처를 알 수 없는 프로그램을 깔 것을 강제하는것도 아니고, 단순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결제가 이루어지는거고 그게 조금 쉽게 이루어지는건데, 그것이 컴퓨터의 보안에 있어서 어떤 해를 끼칠 것을 우려하시는건지 쉽사리 이해가 잘 되지 읺습니다.
그냥 중국 사이트에 접속함으로 인해 컴퓨터 보안이 털릴 것이 우려되신다면, 사이트에 접속해서 프로그램까지 깔아야 결제가 가능한 국내 사이트는 더욱 위험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앤디캔디 2024-04
찜찜하면 안쓰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미담 2024-04
제가 보안을 잘 몰라 접속시 나도 모르는 무언가가 깔리는 것에 대한 불신이 있는 모양입니다.
너무 심플하니 결제가 되니 카드 정보에 대한 신뢰를 못해서입니다. 카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의미이니
누가 마음 먹으면 언제던 자동 결제가 되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이베이 같은 경우는 페이팔을 통해 결제가 가능하니 안전장치 하나가 있는 것 이니요.
          
전 그냥 별 생각없이 결제하긴 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데이터 유출 가능성 : 중국 대기업 <<< 우리나라 카드사에서 사용하는 외주개발 전문 중소기업이 만든 보안프로그램 )
불안하시다면 카드정보 삭제하시고 재발급 받으신 다음, 네이버페이 연동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
이렇게 결제하는 경우에는 페이팔처럼 네이버에서 사용자가 직접 결제비밀번호 넣고 승인해야만 결제처리가 되니 안전장치를 하나 더 확보하실수 있어요.
     
ikaros7 2024-04
+1. 저도 이분 말씀에 동의합니다.

저도 인터넷뱅킹/공공기관, 일반 업무용, 게임용 PC를 왠만하면 분리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저는 반대로 인터넷뱅킹/공공기관에서 설치하는 "출처를 알 수 없는 프로그램" 설치가 찝찝해서 나머지랑 분리하고 싶었습니다.
요새는 메이저 은행 인터넷뱅킹은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요.

윈도우즈 권한 관리를 무시하는 프로그램 설치를 배제하고, 브라우저 보안 표준을 준수하는 것이 훨씬 더 안전할 겁니다.
ebony 2024-04
망분리 하는것 처럼 별도의 원도우를 사용하는 방법(전 VM을 사용합니다)이 있고
알리 연동을 은행계좌로 하고 계좌를 비워두는 방법도 있죠.
전 두가지 다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담 2024-04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알리 등 중국 쇼핑물 전용 계좌를 하나 두고 최소한의 결제대금만 넣어 두는 것도
좋은 방법 같네요. 그런데 VM을 엑티브 엑스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유용하지만 어차피 뚫리면 VM을 포홤해
메인 컴퓨터 전부가 뚫리는 것 아닌가요?
          
dateno1 2024-04
?

게스트 격리를 어떻게 돌파할껀지?
dateno1 2024-04
보통의 뱅킹이나 쇼핑 사이트는 자체 보안 수단을 만들고, 문제 생겼을때 카드사나 서비스 제공자가 1차적으로 처리해줍니다

애초에 국내 사이트처럼 이상한 쓰레기 도배후 면책권 주고, 사용자에게 책임 떠넘기는게 문제가 있는겁니다

저런 쓰레기들 얼마나 보안에 보템이 안 되는지 보면 놀랄껍니다 (없는것보단 낫지만, 리소스 사용하고 문제 일으키는것에 비하면 폐기물급으로 보템이 안 됩니다)

그런 주제 뻑하면 자신이 털려서 백도어가 되는 꼴을 보여줍니다 (애초에 구조상 보안에 해로운 (예를 들어 127.0.0.1로 무인증 서버 하나 연다음 그걸 이용해서 처리후 전송) 구조를 하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몇개나 깔리는것중 하나만 취약점 털려도 키입력정돈 간단하게 다 훔칠 수 있습니다)
     
이준용 2024-04
+1
국내 뱅킹 및 결제 보안시스템이 매우 기형적입니다.


QnA
제목Page 154/5731
2015-12   1793563   백메가
2014-05   5268536   정은준1
2024-04   1833   Rich
2024-04   2469   건약
2024-04   2201   땅쟁이
2024-04   1622   콜론
2024-04   3349   보굴초보
2024-04   2083   VSPress
2024-04   1729   Sakura24
2024-04   3597   강한구
2024-04   2183   아쿠
2024-04   1519   무아
2024-04   1806   돌목
2024-04   2758   제온프로
2024-04   1572   미담
2024-04   1831   신은왜
2024-04   2079   스무프
2024-04   2422   비트
2024-04   2150   신은왜
2024-04   2371   Psychophysi…
2024-04   2079   song05
2024-04   1739   명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