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274 |
0 |
2014-05
526627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192 |
25 |
2015-12
1791192
1 백메가
|
111492 |
apc ups 경고등을 보시고 대처방법을 알려주세요 (6) |
허인구마틴 |
2023-07 |
3655 |
0 |
2023-07
3655
1 허인구마틴
|
111491 |
pci-e sata카드의 실리콘이미지 칩이 충돌이 있는건가요? (2) |
김건우 |
2014-10 |
4490 |
0 |
2014-10
4490
1 김건우
|
111490 |
가상화 문의 (2) |
푸하히 |
2016-01 |
3764 |
0 |
2016-01
3764
1 푸하히
|
111489 |
1등급 가전제품 환급 궁금증..! (2) |
김영기 |
2020-07 |
2624 |
0 |
2020-07
2624
1 김영기
|
111488 |
같은 네트워크로 묶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분 계신가요? (8) |
먹짱이 |
2021-12 |
1825 |
0 |
2021-12
1825
1 먹짱이
|
111487 |
소형 NAS(시놀로지)의 경우 OS는 어디에 설치되어 있나요? (9) |
정의석 |
2019-05 |
6391 |
0 |
2019-05
6391
1 정의석
|
111486 |
노트북 액정에 세로줄이 갔는데 수리가 가능할까요? (6) |
motu |
2021-12 |
4312 |
0 |
2021-12
4312
1 motu
|
111485 |
외장하드 어댑터 관련 문의 입니다 (3) |
Sico |
2013-05 |
5677 |
0 |
2013-05
5677
1 Sico
|
111484 |
[해결] 쥬니퍼 SSG-5 untrust -> trust port forwarding 질문드립니다. (1) |
천외천oo노… |
2014-10 |
5688 |
0 |
2014-10
5688
1 천외천oo노…
|
111483 |
둘 중 어느 것을 팔아야 하는지요? (4) |
차평석 |
2010-04 |
7437 |
0 |
2010-04
7437
1 차평석
|
111482 |
케이블 종류 질문합니다. (3) |
TeaRoom |
2013-05 |
12505 |
0 |
2013-05
12505
1 TeaRoom
|
111481 |
dell T7810 이베이 구매 문의드립니다. (4) |
슬루프 |
2016-02 |
4150 |
0 |
2016-02
4150
1 슬루프
|
111480 |
USB를 읽기 전용을 만들 수 있나요? (5) |
주영진영아빠 |
2017-01 |
5006 |
0 |
2017-01
5006
1 주영진영아빠
|
111479 |
가성비 IDC (코로케이션) 추천해주실분 (9) |
berak |
2023-08 |
3066 |
0 |
2023-08
3066
1 berak
|
111478 |
장터 말인대요 (10) |
방o효o문 |
2010-05 |
7407 |
0 |
2010-05
7407
1 방o효o문
|
111477 |
마이크로서버 gen8에 레이드 구성, esxi 설치 후 옥탑방 ssd 인식 문의 (3) |
카운터 |
2016-02 |
5916 |
0 |
2016-02
5916
1 카운터
|
111476 |
이어폰 케이블 연결하는 법? (5) |
유호준 |
2018-03 |
4020 |
0 |
2018-03
4020
1 유호준
|
111475 |
1U용 메인보드를 이사해서 새집 생활가능할까요? (3) |
김충환 |
2010-05 |
7809 |
0 |
2010-05
7809
1 김충환
|
111474 |
trojan.script.29327 지워도 나타닙니다. (1) |
강호형 |
2010-05 |
9579 |
0 |
2010-05
9579
1 강호형
|
111473 |
현재 사용할만한 최저스펙의 아이폰은 뭔가요? (13) |
ocarina |
2022-01 |
1838 |
0 |
2022-01
1838
1 ocarina
|
송수화기 와 전화기 본체 사이의 케이블의 접점 불량이나 어딘가 부품의 열화로 인해 볼륨이 낮아지지 않았는가 추측해봅니다..
부품열화가 발생하기엔 아직 이른 것 같고
해당 사무실에 납품한 기기가 전부 그렇다고 하니 당혹스럽습니다. ㅜ_ㅜ
전화기 바꿔서 테스트하자는데 네트워크 문제라고 고객님이 우겨요 ㅋㅋ;
아니 네트워크 기기가 일부러 볼륨을 줄여서 패킷을 재송신한다는건가
그게 가능한건가?! 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데 영업쪽에서 그런 말은 못하겠다고 하네요 ㅋㅋ;
전화기가 오래 되었나 보네요. 고장 났다던가..
교체는 고객측에서 네트워크 문제라면서 거부합니다.
서비스 제공자가 말하는 원인과 해결방법은 무시하고서
자기 말이 맞다 우기는 고객사는 대체 어떻게 해야하나 싶습니다.
최근에는 그 회사 사장님이 직접 우리 회사 사장님한테 항의전화도 했답니다. ㅋㅋㅋ
그런데도 영업부는 아무말도 안하고 있어요
https://www.cisco.com/c/en/us/support/docs/unified-communications/unified-communications-manager-callmanager/213516-configure-sip-normalization-script-in-cc.html
sip volume normalizer 로 검색하니 cisco lua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볼륨 조절하는 예가 있더라구요
voip sip 경험은 없는데
kt ip pbx 처럼 내부 교환기에 특정 전화번호나 특정 전화기에 걸려올때 트리거 되어 작동되는 기능이 있는건 아닌지 생각이 되는데.. 그럼 기능이 혹시 존재하는 모델인가요?
물리적으로는 항상 동일한 라우터(NEC IX 시리즈)를 통과하니 이상한 설정이 들어있다면 발생할 가능성도 있겠네요
저희 관리영역이 아닌지라 고객사에 문의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IP 프로토콜 GW은 별도 없이 그대로 PBX로 보내고 있거든요
업무망하고 전화망이 혹시 하나의 Gateway 로 나가게 되어 있나요? 그리고 QoS 설정은 되어 있는지요?
QoS 걸려 있으며 GW 변경해도 동일하고
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해도 동일 증상이 발생합니다.
갑자기 볼륨이 줄어드는지 모르겠네요...그것도 몇초 지나면 자동복구가 되는지라 ㅠㅠ
아니면 처음 사용된 모델인가요??
1년이상 적어도 100대 이상 사용했는데 이 고객사에서만 발생하고 있습니다 @_@
저희 사무실의 경우에는 전화기 LAN포트로 인터넷 받고 PC포트로 PC에 내보낼 수 있는데,
진짜 각 포트 용도 그대로 사용했다간 어느 순간 전화 자체가 먹통이 되거나 몇분 이상 통화하면 갑자기 음성 자체가 전달이 안됩니다.
트래픽때문인지 전화기 사양탓인지는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전화기 리부팅하면 또 괜찮아지구요.
PC포트 아예 사용 안하고 그냥 스위치에서 직접 PC로 연결했더니 문제가 말끔하게 사라졌습니다.
다른 곳에서도 동일하게 카스케이드 이용하지만 발생하지 않아서 가능성을 염두해보지는 않았는데
카스케이드 하지 말고 사용하도록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IP DDOS도 예전부터 말이 많기도 했는데 그에대한 방어체계는 되었는지도...
진짜 전화기 바꿔도 동일한 증상이면 멘붕올겁니다.
차라리 지속적으로 전체 볼륨에서 동일하게 볼륨이 낮아지는 현상이면 그렇게 생각하겠는데
랜덤하게 몇초 줄어들었다 돌아오는거라 설정으로 그렇게 되는 것도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쩔 때는 1주일동안 단 한번도 발생을 안하는데 어쩔 때는 계속 발생하고 말이죠...
소규모 사무실이라는데 원참...
특정 단말기 하나만 문제가 발생한다면 단말기 교체를 해 보겠지만 '저 고객사의 다른 사무실에서도 다른 고객사에서도 동일 기종이라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저 고객사의 해당 사무실에서만 전 단말기에서 해당 증상이 발생'한다고 하니 그쪽에선 단말이 아니고 네트웍단을 의심하는거겠죠. 근데 그렇다고 해도 하나씩 확인해서 확실하게 아닌 원인 하나씩 제거해가는게 제일 좋은 방법인데 저렇게 나오면 정말 답답하시겠습니다.
특정 생산분량이 이상할 가능성에 걸고 있는데, 갑갑합니다. 정말 ㅋㅋㅋ;
SIP 는 잘 몰라서 위키피디아와 RFC 문서를 봤습니다만, 프로토콜 구조만 봤을 때는 전화 볼륨 크기와 관계가 있을까...싶습니다.
소리 크기(볼륨)라는게 아날로그적 신호 감쇠/증폭이라 생각되므로, 오히려 네트워크 환경의 전류/전압 문제일때도 유사하지 않을까요?
즉 디지털 신호는 0 / 1 만 제대로 식별되면 다소 낮은 전압이라도 어느 정도 보정이 가능합니다만, 아날로그 신호는 식별이 어려우므로 보정 또한 어렵습니다.
그래서 PoE 의 전압이 불안정하면 해당 장치가 작동이 안되듯이, SIP 전화기로 연결되는 전압이 불안정한것 아닌가? 라는 생각도 듭니다 ㅎ;
하아...
PoE가 없는 환경이라 전량 전원 어뎁터로 사용하는데도 이러네요 으하하하핫
다른 고객사쪽에서 Buffalo 사의 PoE 스위치를 썼었는데 공급 전력이 낮아서 (4포트 PoE 인데 겨우 10w 짜리가..)
전화기 4대를 꼽아놓고 착신시키니까 착신과 동시에 3대의 전원이 다 떨어진 적은 있네요 ㅋㅋㅋ
옛날 옛적에 초창기 화웨이 장비를 만질 때, 별도 DC 가 있던 네트워크 스위치가 생각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PC 전원 케이블로 전원을 입력 받는데, 별도 DC 단자 / 커넥터가 있어서 이중으로 전원을 공급받았습니다.
그래서 AC 포트는 하나인데, 추가 DC 로 UPS 등에서 끌어왔던 것 같네요.
메인 어딘가에서 이런 형태로 DC 만 입력받는 장치 고장... 이란 생각도 듭니다.
5대 있는 전화기(전부 신품)가 전부 발생하니까 갑갑합니다. ㅋㅋ
같이 납품한 전화기는 다른 지점으로 갔고 문제가 없으니 더더욱이요 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