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645 |
25 |
2015-12
179364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635 |
0 |
2014-05
5268635
1 정은준1
|
111618 |
Dell 13세대 우분투 호환여부 (4) |
공백2 |
2024-04 |
1826 |
0 |
2024-04
1826
1 공백2
|
111617 |
NAS를 사용할 때 다음 두 가지 중 어느 쪽이 더 좋은 사용 환경에 가깝나요? (10) |
신우섭 |
2024-04 |
1598 |
0 |
2024-04
1598
1 신우섭
|
111616 |
글쓰기 포인트가 부족한데, 결제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
라이크유 |
2024-04 |
1767 |
0 |
2024-04
1767
1 라이크유
|
111615 |
USB 랜카드 꼽을 시 데스크탑 랜 인터페이스 늘리는 부분 관련 문의 (4) |
L2스위치 |
2024-04 |
1586 |
0 |
2024-04
1586
1 L2스위치
|
111614 |
스위치 포트미러링 관련 문의 (5) |
L2스위치 |
2024-04 |
2150 |
0 |
2024-04
2150
1 L2스위치
|
111613 |
스위치를 다이렉트로 모뎀에 연결하는 경우 인터넷? (11) |
L2스위치 |
2024-04 |
1972 |
0 |
2024-04
1972
1 L2스위치
|
111612 |
광케이블을 평생 처음사용하는데 힘으로 밀어넣나요.들어가지가않습니다 (6) |
스무프 |
2024-04 |
1669 |
0 |
2024-04
1669
1 스무프
|
111611 |
와콤 pth-660 호환케이블 써도 되는지요 (1) |
2CPU최주희 |
2024-04 |
1568 |
0 |
2024-04
1568
1 2CPU최주희
|
111610 |
헤놀로지 부트로더 (2) |
Sakura24 |
2024-04 |
1633 |
0 |
2024-04
1633
1 Sakura24
|
111609 |
u.2 ssd를 평범한 mATX메인보드에 연결하고 싶어요 (24) |
을신축 |
2024-04 |
3496 |
0 |
2024-04
3496
1 을신축
|
111608 |
hpe DL380Gen11 과 MSA1060/2060 fc 연결이 가능할까요? (10) |
대전김형운 |
2024-04 |
2197 |
0 |
2024-04
2197
1 대전김형운
|
111607 |
특이한 Sata 전원 케이블 질문드립니다. (6) |
액체와컴퓨터 |
2024-04 |
2177 |
0 |
2024-04
2177
1 액체와컴퓨터
|
111606 |
인증서 export - proxmox vs pfsense ? (2) |
구차니 |
2024-04 |
2165 |
0 |
2024-04
2165
1 구차니
|
111605 |
시놀로지ds2415+지금중고로 구입하여서사용시의 보안문제없나요 (4) |
스무프 |
2024-04 |
1787 |
0 |
2024-04
1787
1 스무프
|
111604 |
Ai 발전 (3) |
미담 |
2024-04 |
2033 |
0 |
2024-04
2033
1 미담
|
111603 |
한달 넘게 프리징으로 고생중입니다.. (8) |
우럭아왜우럭 |
2024-04 |
4344 |
0 |
2024-04
4344
1 우럭아왜우럭
|
111602 |
모니터출력 4개 지원하는 vga좀 알려주세요. (11) |
전직P연구원 |
2024-04 |
2496 |
0 |
2024-04
2496
1 전직P연구원
|
111601 |
소비자 보드에서 옵테론 3380 사용하는 것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4) |
전일장 |
2024-04 |
3039 |
0 |
2024-04
3039
1 전일장
|
111600 |
Asus X99-M WS/SE 최대 메모리 (4) |
online9 |
2024-04 |
2296 |
0 |
2024-04
2296
1 online9
|
111599 |
Wd 퍼플 사용이 개인 데이터 안정성에 크리티컬할까요? (21) |
액체와컴퓨터 |
2024-04 |
2519 |
2 |
2024-04
2519
1 액체와컴퓨터
|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개인적 의견은)
항온 항습이 재대로 안되는 곳에서 5년 동안 동작해주었다는 것 자체만으로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랙마운트 서버도 IDC같은 것에서 5년 동작했으면 수명이 다했다 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GPU 서버는 한마디로 전기 난로나 전기 스토브를 계속 켜두는 것과 같습니다.. 그만큼 전기를 많이 먹고 열도 많이 납니다..
어떤 컴퓨터이든 간에 열이 많은 곳에서 동작하면 빨리 고장 납니다..
서버가 놓인 곳의 온도 문제부터 해결하셔야 그나마 서버를 조금 더 사용하실 듯합니다..(얼마나 더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모릅니다..)
수냉에 관해서는 사진으로 볼 때 용액 교체 외에 내부 청소도 해주어야 할 듯한데 용액 교체라는 작업에 내부 청소도 포함되어 있나요??
용액 교체 후에도 이 문제( BIOS 부팅시 고열로 인해 진행 불가.)가 계속된다면 시스템 자체가 수명이 다했다라고 봐야 합니다..
용액 교체 시에는 청소 작업도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용액 교체후에도 문제가 계속되면, GPU 블럭 쪽 교체해볼수도 있다고 하는데 가격이 너무 많이 나가서..
어쨋거나 좋은 상황은 아니군요..
그런데 서버 테스트에 대한 항목은 질문안에는 전혀 없네요..
수냉 쿨러 보수한 다음 서버의 동작이 이상없는지 어디가 문제인지 하는 서버테스트는 어떻게 하였는지는 모르시는지요??
그리고 NVIDIA DGX Station 도 아마 모델이 여러가지 있을텐데 사용하시는 GPU 모델명은 대략 어떻게 되나요??
수냉 FAN 은 정상 풍량이 나오는건가요? (기타 다른 FAN 도 점검 해야죠.)
그래도 정 안되면, 옆판을 열고 쓰시는게
20만원정도 청구받고 교체한다고 하였으니까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냥 계속 쓰셨네요..
내부 로직보드들 이미 열을 먹어서..
손상 됬을 것으로 보입니다.
주기적으로 메인터넌스해야하는지도 잘 몰랐네요.
윗분들 말처럼 여기까지 온게 기적일수도 있겠네요..
보통 수냉은 2년 가기 힘들더군요..
이걸로 보아 냉각없이 1~2년 정도 운영이 되었던 것 같아요...
점점 걸쭉해 졌어요.. 그리고 결국 구멍들이 막힌 것이죠.
감사합니다.
펌프, 배관 모두 분해해서 세척하면 재사용 가능하겠지만 점성이 생긴 냉각수가 증착 되었다면 교체해야 합니다.
정성이 발생한 액체는 히트싱크의 금속을 부식시킨것으로 이것이 증착되면 발열을 방해 하므로 ,,,
CPU 워터블럭에도 동일한 루프에 연결되었다면 이것은 세척이 불가능할 겁니다.
사진에 보이는 GPU 블럭에도 얇은 핀들이 모두 막혀 있군요...
루프 전체가 동일한 재질의 워터블럭 사용과 이에 맞는 수냉전용 냉각수를 사용했다면 저런 식으로 엉망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냉각수 루프중 일부는 외부에서 보이게해 놓을텐데 .. 저런 상태가 된 것을 업체 불러서 분해해서 알 수 있었다는 것은
처음부터 냉각 루프를 잘못 빌드한 것 입니다.
아마도 ... 경험 없는 분이 자력으로 빌드한 것으로 보이는 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