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디스크 순서가 바뀌면 어떻게 되나요?

   조회 2318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다음주에 테스트해볼 사항이긴 한데 궁금해서 먼저 문의올려 봅니다.

(1TB인데 consistency check에 48시간...)


테스트 환경

raid 6 / 1TB HDD * 8

SMC2108 RAID conrtoller (supermicro)



작동중에 2개 이상 뽑으면 문제가 당연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니


1.

전원 off 하고 그 상태에서 HDD를 뽑아 위치를 변경하고 전원을 켜면 virtual drive에 정상적으로 접근 가능 할까요?


2.

전원을 끄고 하드를 뽑고 

전원을 켜서 raid 컨트롤러 초기화 이후에

HDD를 연결하고

scan foreign configuration 을 이용하여 하드 순서와 상관없이

HDD에 저장된 raid 구성 정보로 재구성을 하게 되면 virtual drive에 정상적으로 접근 가능 할까요?




딸 넷 아들 하나 아빠 (큰 딸, 작은 딸, 왕큰 딸, 암 뭉뭉이, 수 뭉뭉이) - minimonk.ne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4
그 레이드 콘트롤러가 로밍을 지원하면 디스크 체크후에 그냥 정상적으로 올라올겁니다..

그러나 로밍을 지원하지 않으면 에러메세지 나고 멈출 겁니다..

LSI에만 존재하는 포잉 인서트 기능은 레이드 볼륨을 어찌보면 강제로 짜맞추는 것인데 개인적으로는
LSI 컨트롤러를 많이 안 써보아 잘은 모르지만 그 안의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믿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LSI 의 레이드 사용하면서 디스크 문제로 인해 데이터가 재대로 안 올라올때 포잉 인서트 기능은
사용자에겐 신이 내린 축복 같은 것 입니다..
     
구차니 2024-04
https://docs.broadcom.com/doc/12353227
1.6.7 Drive Roaming

15page에 드라이브 로밍이라는게 보이네요
좀 구형이라 해당 기능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어떻게 할당되는지 알 수 없는 "Device ID" 값을 기준으로 복구는 가능한가 보네요?
다음주에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박문형 2024-04
로밍이란 것이 디스크의 순서 말고 콘트롤러가 바뀌어도 디스크들을 인식하여 레이드 볼륨이 그냥 잡혀 올라오는 기능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구차니 2024-04
smc2108 / AOC-SAS2LP-H8IR 은 LSI-9260-s8 기반인것 같은데
https://www.2cpu.co.kr/QnA/810389?&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9260-8i&sop=and

2013년 메뉴얼에는 있는데, supermicro에서 쓴 2012년 메뉴얼에는 없는걸 봐서는
https://www.supermicro.com/manuals/other/lsi_2108_2208_sas_megaraid_configuration_utility.pdf

있을 가능성이 좀더 높지 않을까 합니다.

모든것은 다음주에 해보겠습니다 ㅎㅎ
박문형 2024-04
레이드 카드들은 하드웨어는 잘 안 바뀌지만 지원 기간이 보통 10년 이상되는지라 펌웨어와 드라이버가 바뀜에 따라 기능과 성능이 상당히 많이 바뀝니다..

메뉴얼이 없는 기능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라고 보셔도 됩니다..
     
구차니 2024-04
이제 해보는수 밖에 없겠지만. MSM에 명시될 만한 기능도 아닌것 같아서 티가 안날것 같기도 합니다.
다음주에 알게 되겠죠 머 ㅎㅎ
dateno1 2024-04
보통 요즘껀 커넥터 위치정돈 바뀌어도 알아서 알아먹습니다

하다못해 온보드나 소프트로 해놔도 그게 될정도니까요

그런데 다른 컨트롤러 그룹을 정상적으로 알아먹을지는 좀 복불복이에요 (그래서 가능한한 동일 컨트롤러 + 펌이야 하므로 반드시 예비 쟁여놔야 합니다)

이런건 소프트적인 영향도 많이 받아서 펌 다르면 다른 컨트롤러처럼 취급될 수 도 있습니다
     
구차니 2024-04
50 같은 nested나 raid 5 2개(4개씩) 해보고 다음에 한번 복구되나 해보려구요 ㅎㅎ
딥마인드 2024-04
LSI 카드의 경우 종료후 슬롯 위치 이동은 아무문제 없었지만
하지만 케이블의 채널(포트)을 바뀌면 foreigne config found 어쩌고 하면서 모든 virtual drive를 일체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카드 탈부착후 2개의 채널중 다른쪽으로 바뀌면서 먹통이된 원인을 끝내 못찾고 초기화 했던적이 있네요 ㅠㅠ
     
구차니 2024-04
백플레인도 영향을 준다는 건가요?
백플레인-sas card 간의 케이블도 바꾸어서 시도해보겠습니다 ㅎㅎ
귀중한 경험 공유 감사합니다!!
          
딥마인드 2024-04
백플레인에 있는 2개의 포트는 서로 바꿔도 상관없고
카드에 두개 이상의 포트가 있을때 바뀌면 안됩니다.
               
구차니 2024-04
8포트라 sas raid 에서 2개가 나오는데 그걸 바꾸어서 device id가 바뀌는지 봐야겠네요 ㅎㅎ


QnA
제목Page 2/14
01-24   462   victor
01-17   1048   홀릭0o0
01-16   861   행복하세
01-16   583   haniy
01-15   1083   pumkin
01-15   644   서늘한그늘
01-12   1177   농부76
01-11   1101   코로리
01-10   751   서늘한그늘
01-09   480   서늘한그늘
01-09   621   박문형
2024-12   1136   haniy
2024-12   1338   Kaos
2024-12   678   미수맨
2024-12   976   Kaos
2024-12   2153   소음기
2024-12   1170   마나아
2024-11   1101   쓰레기단장
2024-11   950   shis0902
2024-11   1055   김한국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