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트워크쪽은 초보라서 질문 드릴께요.
저는 현재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통신사 고정 아이피랑 제가 직접 설정하는 고정 아이피랑 무슨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입니다.
통신사의 ONT(광랜 모뎀)와 라우터(이것도 통신사 기기)를 통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통신사에서 static ip(고정) 2개에 한달에 $15달러라고 하는데요.
통신사의 고정 ip와 제가 직접 공유기를 설정으로 부여하는 고정 ip와 차이가 있나요?
이것을 질문 드리는 이유는 제가 현재 POS(proof of stake) 방식의 노드 검증을 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노드 검증)
노드 검증을 위해서 노드를 돌리는 컴퓨터 하나당 공인 아이피 한개가 필요한데,
저는 여러 검증기를 운영 하려고 알아 보는중에 너무 혼동되는 부분들이 많아서요.
한국의 경우 통신사마다 공인 아이피를 2~4개를 할당해 주는 경우도 있다는 글들을 인터넷상에서 보았거든요?
그런데 캐나다의 경우엔 한 회선당 공인 아이피(public ip)는 1개바께 줄 수 없고, 복수개의 공인 아이피가 필요 하다면
회선을 늘려야 한다고 하더라구요.
이미 들어온 회선의 대역폭을 늘리는 경우는 저렴하지만 회선을 늘리는건 가격도 비싸고 해서요.
그래서 한국의 경우 2~4개까지 할당해 준다는 ip주소가 공인아이피가 아니고 단순히 지정 아이피가 아닌가요?
테스트 차원에서 라우터에 4포트의 랜포트가 있다면 각 4개의 시스템에 서로 이더넷 연결을 하고
네이버에서 "아이피 검색" 사이트를 통해서 검색을 하면 4개의 서로 다른 공인 아이피가 뜨나요?
이것이 한 회선에 공인 아이피가 4개가 된다는게 기술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캐나다에서 이야기 해서요.
통신사의 dedicated ip(static ip)를 여러개 줄 수 있지만 그것이 공인 아이피는 아니라고 하더라구요.
질문을 요약하면
1. 한국 기준 집집마다 통신사에서 들어오는 2개~4개의 아이피가 정말 공인아이피인지.
2. 통신사에서 고정 아이피를 받으면 어떤 이점이 있는지?
(저 같은 경우엔 노드 검증을 위해서 내부/외부에서 패킷을 주고 받는데 2개 이상의 노드 검증기를 설치 할 경우
다른 아이피 주소가 필요한데(검증기간의 같은 회선내 충돌 방지 및 보안), 통신사의 고정ip를 통한다면
공인 아이피와 충돌이 없는 것인지... 그것이 궁금 합니다.
그리고 외부에서 제 호스트 노드 컴퓨터로 패킷을 보낼 때 공인아이피 주소로 포트포워딩 없이
바로 static ip로 패킷을 보낼 수 있나요? 이건 말이 안되겠죠? 공인아이피에서 static ip로 포트포워딩 해줘야 할 것 같은데..
애초에 통신사 고정 아이피가 필요한 이유부터 잘 모르겠어요. 고정만 하려면 공유기 따로 설치해서 사설로 고정 해주면 될텐데...
너무 네트워크의 초보적인 질문이라 부끄럽지만 마땅히 알아 볼 곳이 없어서 적어 보았습니다.
ip 주소 확인
이라고 검색한 ip가 현재 설정된 ip라면
인터넷 연결된 어디서도 컴퓨터로
접근이 가능하니깐 공인ip라고 하고
1. 공인 ip맞습니다
단, 공유오피스나 건물같은데는 아닌곳도 있습니다
2. 이 공인 ip가
- 고정ip 일때는 서비스 기간내에 않 바뀜 즉 도메인 연결 같은걸 연결해줘도 됌
- 유동 ip, 보통 가정에서 사용하는것은 ip를 일정시간동안 대여해주는 개념이라 그 시간이 지나면 바뀔수 있습니다. 단 공유기를 재부팅하지 않으면 않 바뀔수도 있습니다
한개의 공인 ip내에 여러대의 컴퓨터를 쓰기위해 라우터를 쓰고 그 내부에 고정이냐 유동이냐는 장비셋팅에 따르면 됩니다
아마도 그러면 제가 헷갈린 부분이 고정 ip라는 단어에 잠식되서 그런 것 같은데,
캐나다 현지에 계시지 않지만 혹시 제 상황을 예를 다시 들어보면,
만약 제가 $15를 통신사에 지불하고 고정 아이피를 부여 받는다면,
그 고정 아이피는 "공인 아이피" "Public IP" "네이버에서 ip 주소 확인 하면 나오는 ip"
이런 예와 같은 두개의 공인 아이피를 받게되는 것이 맞을까요?
현재도 몇주에 한번씩 아이피가 바뀌어서 노드 시스템에 바뀐 아이피를 업데이트 해주긴 합니다.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것이 static ip (고정ip)라면 이것이 공인 ip 2개 할당으로 보면 될까요?
제가 static ip=사설 고정으로 이해를 하고 있었나 보네요.
개인용 인터넷 라인에 IP가 여러개 들어 오는 경우는 컴퓨터용 IP 외에 IPTV 때문입니다..
한국에는 기업용 인터넷으로 오피스넷 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고정 IP와 유동 IP를 여러개 셋팅이 가능한데 대신 IP종류와 갯수에 따라 사용요금이 다릅니다.. 인터넷 속도 얼마에 고정IP 몇개고 유동IP 몇개니까 1달 사용료 얼마 이런 식 입니다..
그리고 오피스넷은 개인용인터넷 과 가격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렇다면 혹시 한국의 경우 개인용 인터넷 라인에 들어오는 IP가 유동일지라도 그것이 "공인 아이피"가 맞는건가요?
그것이 맞다면 제가 캐나다에서 $15당 2개의 static ip를 받을 수 있는데 그것이 "공인 아이피"형식이 되는 것 같아서요.
예를들어 제 공인 아이피 주소가 777.777.777.123 이라고 가정하고
통신사 광랜 ont - 통신사 router를 통해서 인터넷을 구성하고 있고,
통신사의 자동 dhcp ip는 예를들어 172.16.0.0 이런 형식인데,
통신사가 저에게 부여하는 static ip가 172.16.0.0 형식의 고정 아이피 2개라면 이것이 돈을 내고 해야 할 서비스인가 의구심이 들었거든요.
아마도 통신사에선 저에게 777.777.777.xxx와 같은 형식의 ip를 제공을 하겠군요?
현지 상황에 계시지 않겠지만 현지에 있는 저도 헷갈려서 이렇게 질문 드리네요.
현지 상담원이... 질문을 해도 기술적인 부분을 잘 몰라요... 신청을 하면 테크니션을 보내주겠다고만 해서...
그렇다고 테크니션이랑 전화 통화를 할 수도 없어서... 답답한 상황이죠.
사설 아이피를 돈주고 사진 않으니까요.
외부에서 아이피를 가지고 접속이 가능하다 -> 공인 ip
내부에서만 아이피를 가지고 접속이 가능하다 -> 사설 ip
공인 아이피는 통신사가 부여하고 있으며 사설 아이피는 공유기가 관리하게 되더군요..
북미 커뮤니티 레딧에도 올렸는데 한 회선당 하나의 publc ip만 부여하고 복수는 불가능 하다고 해서...
완전 헷갈렸네요.
답변 감사 합니다.
고정할려면 요금제 오피스넷으로 바꾼다음 추가 요금제 신청해야 합니다
가정용에서 +15달러정도에 2개나 고정으로 준다면 아주 싼겁니다
=> 많이 차이나죠.
=>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공용 아이피와 나와 우리 에게만 통용되는 사설아이피 라고 보시면 됩니다.
=> IP(나의주소) 가 변동이 되지 않도록 사용하는 방법
1. 한국 기준 집집마다 통신사에서 들어오는 2개~4개의 아이피가 정말 공인아이피인지.
==> Dynamic 유동 아이피 입니다.
==> 고정아이피 사용하려면 사업자용 OfficeNET을 써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