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Dell T150을 조립 중입니다.
아시다시피, 엔트리 수준의 서버죠.
여기에는 S150이라는 RAID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 S150이라는 것이, 캐쉬도 전혀 없는, 그리고 필요하다면 시스템 메모리를 캐쉬로 가져다 쓰는 정도의 RAID 컨트롤러입니다.
SW RAID 수준이라고 하더라고요.
S150은 RAID모드가 기본값이고요, 옵션으로 AHCI모드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저의 선택지는, RAID모드로 사용하거나, AHCI 모드로 사용하거나 둘 중의 하나죠.
HDD는 8TB 2개를 RAID1 으로 구성할 계획입니다.
만약, 여러분이라면.. 이 정도의 서버와 RAID 컨트롤러라면..
RAID 모드로 사용하시겠습니까? 아니면 AHCI 모드로 사용하시겠습니까?
(AHCI모드로 사용한다면, Windows의 Software RAID 기능을 이용할 것입니다.)
제가 꼽아본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장점 | 단점 |
RAID 모드 | - 서버 관리툴(iDrac, OpenManage Server Administrator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서버 관리툴에서 Patrol Read 같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 - SSD를 장착할 경우, TRIM이 되지 않는다. |
AHCI 모드 | - SSD를 장착할 경우, TRIM이 동작한다. | - 서버 관리툴을 사용할 수 없다. - Windows RAID의 경우, 주기적인 RAID 기능 검사를 하기 어렵다. |
이것 이외에, '성능' 측면에서는 어떻다고 보시나요? S150이 Windows Software RAID보다 나은점이 있을까요?
(RAID 모드 사용시, 'Write Through' 로 사용할 겁니다. 배터리 달린 캐쉬가 없어서..)
OS 용도가 아니라면 무조건 AHCI 모드에 소프트레이드로 설정.
OS도 소프트레이드로 부팅은 가능한데 디스크폴트시 수동으로 손좀 건드려줘야 하는 단점이 있어서...
OS용도라면 수동으로 건드려줘야 하는 단점이 있어서 추천 안 하신단 이야기죠?
그 문제가 해결된다면, OS용도라도 소프트웨어 레이드를 추천하신단 말씀이신가요?
OS건 아니건 윈도우 소프트레이드를 추천하시는 듯 한데, 그 이유도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정말 궁금합니다. ^^
성능이나 안정성 이런쪽은 소프트레이드가 보드에서 지원하는 레이드보다는 훨씬 나은거 같습니다. VROC도 써보니 나쁘지 않다 이정도지 NVME 레이드 쓸거 아니면 기대 이하였습니다.
소프트레이드가 더 나았다는 경험이시군요. 고맙습니다.
다만 윈도 내장으로 처리후 부트용으로 쓰는건 아직 추천 못하겠습니다
부팅용이 아니라면 소프트 레이드가 낫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도 말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특히 '미묘한 컨트롤러'라는 의미가, 'S/W RAID에 껍데기만 씌운' 정도의 의미신가요?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으신가요?
소프트 레이드는 적어도 복구 프로그램 호환성 높고, 컨트롤러 고장났을떄 똑같은거 찾아서 안 헤매도 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물론 nvme 가 지원된다는 게 다르긴 하지만, S150에 NVME를 붙일 수 있는 것도 아니구요.
AHCI 모드라고 해서 S150이 동작하지 않는건 아닌 것 같습니다.
AHCI 모드를 켰을 때, 장치관리자에 S150이 보이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intel VROC혹은 intel RST가 보이는 건 또 아니기 때문에 그렇게 판단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S150 이라고 해도, intel VROC 보다는 훨 나을 듯 싶은데요.' 라고 말씀하신 이유를 좀 들어볼 수 있을까요? ^^
https://www.ebay.com/itm/315207243310?
을 사용하면 NVME 2개를 레이드 볼륨으로 지원 됩니다.
그것을 검토해 보기는 했었는데요.. 480GB와 240GB만 공식 지원한다고 해서 좀 꺼려졌습니다.
저희는 1TB 2개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구입했다가 안되면 골치라서 말이죠.
검색도 해 봤는데, 다른 소비자용 SSD가 동작한다는 경험을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6 Gbps M.2 SATA SSD를 지원하는 것이군요...
https://www.youtube.com/watch?v=PWa9x1biBVs
에서 보니 .. S3, S4 에 NVME 드라이브를 S150 설정으로 RAID를 지원 하네요.
BIOS 설정에서 RAID 볼륨 생성하면 여기에 OS를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CPU 부하를 더 많이 먹느냐 정도로 비교해야 할 듯 합니다.. (둘 다 해보고 비교해야 하니 어찌보면 피곤합니다..)
이 경우는 해당하지 않겠지만 SAS 디스크를 사용한다거나 리눅스를 사용한다면 S150이 조금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S150이 SAS 디스크를 지원한다면)
꼭 둘중에 하나 선택하라고 하면 설치나 관리가 편한 것으로 가겠습니다..
디스크가 8TB가 되면 둘 중 어떤 방식이라도 디스크 하나가 문제가 되어 디스크 교체후 데이터 리빌딩시
리빌딩 시간이 몇박 몇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리빌딩이 끝날때까지 시스탬은 꺼지거나 재부팅하면 안됩니다..
이럴 경우 S150이 조금 유리하다는 건 어떤 이유에서 그런 말씀을 하신걸까요?
궁금합니다~
SAS 콘트롤러가 필요하게 됩니다..
없으면 구해 달아야 하지요..
S150을 따로 구해 달아야 하지 않고 서버에 달려 있다면 SAS디스크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RAID 1은 캐쉬나 다른 기능 보다는 fail safe 기능이라
고급 raid controller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중요한 데이터라면 따로 백업을 두는 게 낫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windows 기반 raid라는 것도 OS 문제 생기면 망가져 버릴 RAID이니 별로구요
윈도에서 SW레이드 구성시에는 동적 업데이트를 요하는데
백업없이 원상복귀가 안되고 부팅용에는 못쓴다는 경고문도 참고하시고요
ZFS rpool 부팅이랑 구조는 똑같든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