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간 복사 프리징 원인을 알 수가 없네요

VSPress   
   조회 1920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특별한 일은 아니긴 한데 사실 아주 가끔 이런 일이 있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디스크 간 파일 복사를 하다보면 아주 가끔 프리징 현상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
작업이 진행되다 멈추고, 종료하려고 해도 종료되지도 않고요.
대개 이런 경우 '아, 디스크에 오류가 났군'이라고 생각하는데, 강제로 전원 리셋을 하고 표면 검사를 해 보면 대개는 배드 블록이 발견됩니다.
그런데 가끔씩 멀쩡할 때가 있습니다. 다시 같은 복사를 해보면 정상적으로 잘 되고, Verify 과정도 정상으로 완료됩니다.

이런 경우는 무엇이 원인일 수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4-05
복사할때 죄다 메모리로 올라갔나본데요...
쓰기캐쉬가 부족하거나 디스크가 아주 느릴때 메모리부터 올라갑니다. 풀차면 메모리 내려갈때까지 디스크에 계속 데이터 들어갈건데 그때동안 프리징 현상이 일어 나죠. 가만놔두면 풀립니다.
박문형 2024-05
시스템의 사양이 낮으면 복사시 CPU에 걸리는 부하가 높아져서 (100% 씩 되어 버리면) 컴퓨터가 얼어버린 것 같이 보일수도 있습니다.. 복사작업이 끝날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습니다..
레인보우7 2024-05
시스템 및 디스크 사양,  그리고 연결된 포트 SATA? Chipset쪽도  영향을 줄것도 같습니다.
영상파일쪽이시면 과부하로 인한 지연이면, 안정적인 컨트롤러에 디스크를 연결해서 복사를 하시면 그나마 안정적이긴합니다.
Megraid JBOD 모드로 해서 줄줄이 사탕으로 엮어서 쓰시는것도 한방법입니다.
저는 온보드 SATA는 잘 안믿는 편이라서 HBA 카드로만 구성해서 사용합니다.
VSPress 2024-05
정보 감사합니다. 가만 생각해보니, 외견상 단순한 일일 뿐 사실 내부적으로는 고충이 많은 일이다라고 이해하면 되겠군요 ㅎㅎ
박문형 2024-05
그 외 파일명이 255자 이상되면 복사가 재대로 안된다던지 (NTFS의 한계) 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파일을 무슨 프로그램으로 복사,이동,관리하는지는 모르지만 파일 복사후 검증까지 하는 복사전문프로그램을 사용하던지 하는 것도 솔류션이 될 수 있습니다..

파일 복사후 원본과 비교하는 프로그램도 있지만 이런 부가작업은 시간만 더 잡아먹을수도 있습니다..
제온프로 2024-05
베드 섹터가 문제 입니다.

발견되면.. 예비 영역과 치환하거든요..
dateno1 2024-05
별의 별게 다 있을 수 있습니다

디스크만이 아니라 거기 공급되는 전원, 그걸 처리하는 컨트롤러등이 이상해도 그럴떄 있습니다

보통 복제중 디스크의 응답이 너무 심하게 지연되면 그러더군요


QnA
제목Page 145/5728
2015-12   1782111   백메가
2014-05   5257331   정은준1
2011-05   12277  
2016-05   4530   petabyte
2013-11   4487   블루스카이
2019-10   3242   오성기
2013-11   4611   최창현
2013-12   3816   류지현
2024-03   1522   광주동키호테
2016-06   4582   지인환
2018-08   8776   엠브리오
2019-10   4188   전진
2011-06   6243   알파맨
2011-07   6372   NeXT
2021-01   6908   그모도
2021-01   5085   쌍cpu
2022-08   3373   Elusive4245
2013-12   8223   삐돌이슬픔이
2017-05   6945   AplPEC
2011-07   6471   인천I베리
2021-02   6387   김영기
2021-02   2634   연아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