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해외직구 관련 내용중 컴퓨터 전원공급장치가 있네요.

chotws   
   조회 2175   추천 0    

요즘 해외직구 관련 뉴스가 있길래 확인해보니까. 

컴퓨터 전원공급장치라 하면 파워서플라이인데 이거 서버용 파워서플라이도 해당이 되는걸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준연 2024-05
서버도 컴퓨터라서 동일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다만... 저 이야기가 'KC인증' 이야기인 것이 핵심인데, 의외로 저것들이 KC인증을 받은 경우가 꽤 됩니다. KC인증만 받은것만 확인되면 직구도 문제가 없습니다.
dotcat 2024-05
파워를 개별 구매하면 적용된다는 것 같던데, 서버용도 포함되지 않을까요?
     
chotws 2024-05
"컴퓨터용 전원공급장치"라는 단어에 pc만 포함인지 서버도 포함인지가 중요한거 같네요. ("아" 다르고 "어" 달라서..)
          
김강호 2024-05
서버도 컴퓨터입니다.
HS코드 찾아보세요.
박문형 2024-05
서버용 파워 모듈도 파워모듈 단독 수입시 PC 파워와 같이 KC인증(EMI) 와 KC안전인증 받아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컴퓨터용 파워는 세관에 들어오면 우선 원하는 데이터가 KC 안전인증데이터 입니다..

조립서버에 들어가는 서버용 싱글 파워나 리던던트 파워는 KC 인증이 재대로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벤더서버에 들어가는 파워모듈들은 거의 다 KC인증 되어 있습니다..
(벤더 서버 파츠는 인증이 필요한 파츠라면 거의 다 인증이 되어 있습니다..)
     
박건 2024-05
안전인증 요건확인을 받을 때, 정격도 입력하게 되어 있는데,
제품에 실제 표기된 것과 안전인증서에 나온 정격 표기가 미묘하게 달라서 번거로웠던 경험이 있습니다.
인증서와 콤마 하나라도 다르게 적으면 반려처리됩니다.
          
보통의 경우 안전인증 발급받은 기관의 홈페이지 가면 해당 인증서내역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거 그래도 복사해서 유니패스에 입력하면 문제없이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4-05
그것은 아마 제조사 인증이면 가능하나 제조사에서 KC안전인증이 없고 국내에 등록도 안되어 있다면 따로 방법이 없을 것입니다..

KC인증도 등록하는데 돈과 시간과 테스트 셈플등 필요한 것이 많지만 KC안전인증은 파괴검사까지 하기에 테스트 셈플도 여러개 필요하고 KC인증보다 시간도 많이 걸려 더 어려운 인증으로 알고 있습니다..
dateno1 2024-05
파워도 문제지만 전력변환장치가 들어있으니 거의 모든 어뎁터가 문제됩니다

이외에 베터리까지 포함이니 어뎁터 미포함인 휴대용 제품들도 다 해당되죠


QnA
제목Page 141/5731
2014-05   5267765   정은준1
2015-12   1792788   백메가
2017-01   4968   서울사람
2010-06   7556   김건우
2013-06   8126   김제연
2013-06   9509   장동건2014
2022-01   2342   아우릭
2010-06   6356   2CPU최주희
2018-04   3619   머라카는데
2020-08   3139   GPGPU
2022-01   4096   shipse
2013-06   6789   남성룡
2014-11   13133   회원K
2020-08   4125   Noname1
2010-07   8278   오성기
2016-02   5296   송주환
2017-02   6037   대우
2020-08   3178   룰루랄라
2014-12   5104   VSPress
2010-07   9048   이종원
2014-12   4635   김황중
2018-04   4523   CR2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