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Z840 워크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서버용 메모리
사용 문의 입니다.
CPU는 E5-2699V4 와 E5-2683V4
사용하는 본체가 각각 2대 입니다. 각각 HP Z840 입니다.
CPU와 HP 메인보드 모두 ECC지원은 확실히
지원 하는것 같구요ᆢ
질문1)
REG 레지스터드 지원하는 서버용 메모리가 더 있던데
REG 기능도 추가된 서버용 메모리를 사다 껴도 REG기능을 사용할수 있을까요?
질문2)
서버용 ECC/REG 삼성 DDR4-2400클럭 짜리로
풀뱅크(총16슬롯)로 꼽을건데
다나와에 8기가 보다 16기가가 더 더저렴하네요?
왜그럴까요? 그래서 16기가로 일단 16장 꼽으려 하는데
32G짜리나 16기가짜리나 8기가짜리나 3가지 케이스인경우
총16슬롯을 꼽을때 연산속도에서 차이가 각각 어느정도 일까요? CPU로드율이 10프로 내외일 기준으로 보자면요ᆢ
질문3) CPU 연산속도에 포커스를 맞추어서 사용할 예정인데 평소 CPU 로드율이 최대 10% 내외 입니다.
풀뱅크시 꽉채워서 사용시 CPU to Mem간에 대역폭이 100% 풀개방이 된다는건 알고 있습니다.
CPU로드율이 저조하므로 그냥 8기가 짜리로 풀뱅 하는게
효과적일까요??
질문4) 램슬롯이 불량일경우 슬롯청소는 보통
어떤식으로 보수하나요?
질문5) 16개의 램장착시 램불량 유무도 확인해야 할텐데CPU1번 부터 슬롯을 어떤 순서대로 꼽아야 되나요?
ㅡ추가내용ㅡ
e5-2600 V4 HP Z840 워크스테이션 메인보드
용량별 램슬롯 순서
삼성 ECC /REG DDR4-2400 16G + 8ea
배열 1 3 2 4 1 3 2 4
사진의 경우 CPU와 램슬롯간 직접 다이렉트 통신이 된
슬롯인건지 까진 모르겠습니다.
케이스에 인쇄된 설명란에 해당내용은 없네요ᆢ
램얼마 안하는데 좋은 경험이라 생각하고
16GB로 도배할까바요ᆢㅋ
도커데스크탑 최신버전에서 램용량을 최대로 끌어다 쓰려는 상황이 간혹 있습니다.
도커데스크탑에서 램 인식은 호스트실제램의 2/1만 인식합니다. 참고로 도커에서 듀얼 CPU경우 0번 CPU 소켓 한개만 인식하고 최대 인식 쓰레드 갯수는 64개로 제한되네요ᆢ
이상입니다.
그런 스레드 제대로 못 쓰는넘 돌릴꺼면 그런 구형 쓰지마세요 (랄까 제온 쓰지마세요)
싱글CPU로 돌리면 좀 낳나여? 램4채널로 4장만 끼구?
언급한 제온과 에픽1세대는
메모리 전송 대역폭차이가 있긴 하죠ᆢ
그냥 i9같은거 가는게 젤 빠를꺼에요
정곡을 찔르셨어요ᆢ
죄오지간 듀얼다이보단 아싸리 10퍼라도 크죠 매일 같이 틀어나야되는게 있는데ᆢ 쓸거면 싱글다이 시퓨 선택부터 좋은 발상인거 같습니다.
사실 에픽1세대는 벤더락 때문에 피하게되네요ᆢ그래두 아직 에픽시스템은 신형칩 계열이라 금전적 여유만 해결된다면 좋겠어요ᆢ
여기 보시면 공식적으로 메모리와 CPU를 어디까지 지원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A1 : ECC메모리는 Reg-ECC와 Unbuffered-ECC 두가지 타입이 있지만 국내에서 통용되는 ECC 메모리는 Reg -ECC 입니다..
Z840은 Unbuffered-ECC 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나오네요..
A2 : 컴퓨터 부품은 귀해질수록 비싸집니다..
중고인데 생각보다 비싸다고 느껴지신다면 그것은 물량이 적거나 없거나 아니면 구하는게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거의 10여년이 지난 시스템이라 시장에서 저 시스템에 딱 맞는 원하는 용량의 메모리는 구하기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인텔 스케일러블 제온 프로세서도 4세대까지 나온 시점에서 10여년이 지난 옛날메모리는 시장에서 보기 힘들수 있습니다..
A3 : https://www.2cpu.co.kr/lec/4518 에서
SuperMicro X10 (E5-2600 V3/V4) Memory Configuration Guide 를 참조하시면 Z840 메모리 구성법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최상의 성능으로 메모리 최적화를 하고 싶으시면 CPU에서 직접 나오는 모든 메모리 체널에 같은 용량과 같은 속도의 메모리를 설치하면 됩니다..
이것은 풀뱅크와는 틀립니다.. E5-2600 V3/V4는 CPU당 4개의 CPU와 직접연결된 메모리 체널 슬롯이 있습니다..
실 사용에 있어서 메모리 최적화를 해도 전체 메모리 속도가 떨어지지 않는 한 성능이 확 차이나거나 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A4 : 램슬롯이 불량이면 불량증상에 따라 틀리지만 일반 개인이 그것을 수리하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미세 납땜과 SMD 납땜 작업이 가능한 사람이 불량 램슬롯을 뽑아내고 새로운 램슬롯을 설치한후 다시 납땜질하고 그다음 테스트 해봐야 됩니다..
이것은 램슬롯만의 불량일때 작업이며 그외 다른 곳이 불량이면 고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수 있습니다..
작업 난이도도 꾀 높고 딱 맞는 부품구하는 것도 쉽지 않을수 있으며 수리비용은 작업자가 정하는 것이지만 가격이 생각보다는 높을수 있습니다..
램슬롯 청소는 우선 에어나 헌 칫솔로 접점부위를 청소 하고 그래도 안되면 알콜 같은 것으로 청소하고 그 이상이면 보드 전체를 물청소나 초음파 청소를
하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램슬롯이 어떻게 오염되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램슬롯의 접점들은 PCB 기판을 통하여 다른 메모리 슬롯이나 CPU에 데이터 라인은 직결되어 있는데 이것이 끊어지거나 하면 찾아내서 잇던지 해야 하지만
PCB가 보통 6~8층의 다층기판이라 물리적으로 손상되면 보통은 고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A5 : 위의 링크한 자료에 아마도 다 나타나 있을 듯합니다.. 보통 CPU와 직결된 메모리 슬롯의 첫번째부터 4번째까지 메모리를 하나하나씩 채워가며
그 다음 그 메모리 슬롯에서 분기된 메모리 슬롯에 메모리를 채워 갑니다..
https://www.2cpu.co.kr/lec/4777
인텔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메모리도 종류에 따라 CPU에 따라 인식이 아예 안되는 경우가 있기에 구매시 여러가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늘상 질문에대한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한수 배우고요ᆢ
(feat. 링크는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네요ᆢ)
덤으로 크기도 커지고 전기도 많이 먹습니다..
AMD EPYC 9004 시스템 하나 들이면 현재 나온 것 중에서는 메모리 체널 갯수 최강입니다.. (12개 니까요..)
멀티쓰레딩 기술 하나만 놓고 보자면 이후에 획기적인 변화가 기존과 별반 차이가 전혀 없다면
굳이 시스템을 처음부터 서버급이나 워크스테이션 PC를 선택 하지 않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현재 다루는 프로그램이 64쓰레드 까지만 지원하는데 웃긴게 CPU 최대 로드율이 10% 미만입니다. 언급한 듀얼 제온에서 4채널굳이 안채우고
자원소모가 전혀 안되다보니ᆢ 윗분 말대로 I9신형으로 가도 좋을거 같습니다만ᆢ
다른분이 에픽 9천번대 싱글CPU(9454P)에서 램은 쿼드채널인걸로 아는데. 제가 원하는 성능이 딱 나온적은 있어서 I9신형칩으로 가는게 조심스럽네요ᆢ CPU로드율이 9454P에서도 동일하게
IDLE수준인데 성능이 나왔다는게 이해가 안되네요ᆢ
혼란스럽습니다.ㅠ
CPU도 덩치가 크기에 메모리 슬롯 한번 분기해버리면 CPU와 메모리 슬롯이 차지하는 크기가 보드 절반을 넘어갈 정도입니다..
그래서 메모리슬롯을 풀로 하려면 싱글 CPU 시스템이 많으며 듀얼시스템은 ASUS에 서 딱 한번 본 것같습니다..
그 외는 보드 크기에 따라 메모리 슬롯의 갯수를 줄여버립니다..
사용하시려는 프로그램이 모든 코어 (아마 9004 최고 사양이 128코어에 256 쓰레드입니다..)를 인식하고 최대 메모리 용량을 인식하고 사용한다면
사용해 볼 만은 하겠지만 가격도 만만하지 않을 것입니다.. (아마 시스템 한대 꾸미면 수천만원에서 1억정도 들어갈 듯)
사용하시려는 프로그램은 개발한 것인가요 상용 프로그램인가요??
상용 프로그램이라면 프로그램 제조사에 최적의 시스템과 OS가 무엇인지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amd.com/en/products/processors/server/epyc/4th-generation-9004-and-8004-series.html
https://servers.asus.com/products/servers/gpu-servers/ESC8000A-E12
https://www.tyan.com/Barebones_GC68CB8056_B8056G68CE12HR-2T
멀티쓰레딩 기술 하나만 놓고 보자면 이후에 획기적인 변화가 기존과 별반 차이가 전혀 없다면
굳이 시스템을 처음부터 서버급이나 워크스테이션 PC를 선택 하지 않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현재 다루는 프로그램이 64쓰레드 까지만 지원하는데 웃긴게 CPU 최대 로드율이 10% 미만입니다. 언급한 듀얼 제온에서 4채널굳이 안채우고
자원소모가 전혀 안되다보니ᆢ 윗분 말대로 I9신형으로 가도 좋을거 같습니다만ᆢ
쓰레드의 제약이 있다면(아마 32코어 64 쓰레드) CPU의 클럭이 높아야 그나마 프로그램이 조금은 빨리 돌아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외 Z840 시스템을 가지고 계시니 테스트 용으로 E5-2643V4 를 2개 설치하여 E5-2699V4와 비교해보세요..
코어 갯수는 작지만 기본 클럭은 재일 높아 DB 용으로 많이 쓰이는 CPU 입니다..
여기서 차이점이 없다면 기본적인 어떤 CPU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다는 소리가 되어 버립니다..
어떤 프로그램인지는 모르지만 프로그램 개발자가 문제를 잡아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PC로 가게되면(i9 등)클럭은 높아지지만 메모리에 ECC 기능이 없어져 버리기에 장시간 프로그램을 안정적으로 돌리지는 못합니다..
혹시나 입니다만 프로그램은 옛날 프로그램이고 OS는 최신이라 프로그램과 OS가 좀 안 맞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다루시는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최대 메모리 용량은 대략 어느 정도이고 OS는 어떤 것을 사용하나요??
OS는 윈10Pro 다 이걸로 해요
64쓰이상인분들이 간혹 윈11Pro를 고집하기도함 P코E코 다쓰니깐요ᆢ
쓰레드는 함수선언할때 최대 64쓰까지만 쓰라고 배포된거 같음 (제생각)공식자료없어요ᆢ 램은 64G 128G까지 꼽고
32G가 표준임ᆢ도커(Docker Desktop)최신 버전 사용시 불안정하게 많이 잡아먹을때도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무료버전 이고 개발자가 별도로 있고요ㆍ 가상화페 코인 입니다.
권장 스펙 권장 램 권장 쓰레드수ᆢ
전부다 명확한 정보를 알수없게 해놔서 답답합니다. 해당 코인헬퍼에 문의시 읽씹당합니다. 더군다나 정책 관련질문 들이 그렇구요ᆢ
코어 다다익선 이부분만 공식적으로 거론하구요ᆢ 코어도 두루뭉실해 알아보니 쓰레드. 갯수가 많을때 더 좋은 조건이었습니다.
요즘에는 다 내려놓고 exe메인실행파일인데 (사용중인프로그램) 리버싱툴이나 최대한 디컴파일해서 버전별로 사용한
주요 함수 보려고 쌩쇼하고 있습니다.
동작시 CPU부하가 100% 가 안되는 것은 개발자가 개발시 일부러 그렇게 만든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자가 그것에 관해 이렇다 저렇다 정의를 하지 않으니 현재 그것에 대한 진실은 모릅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in32/memory/memory-limits-for-windows-releases
윈도우즈 10 워크스테이션이나 서버용 윈도우즈 버젼으로 바꾸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보았지만 그럴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늘리시고 싶은 시스템 메모리도 무작정 크게 늘릴 필요도 없어 보입니다..
현재는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하는지에 대해 사용하시는 본인께서 해석해서 밝혀 보시는 것 밖에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끝으로 질문 하나만 할게요ᆢ문형님ᆢ
E5-2683V4 +2EA 듀얼 CPU 경우
권장 최대 메모리 채널 수가 4채널이라고
메뉴얼에 나오는데요ᆢ
CPU 0번과 CPU 1번 두개를 모두
합쳐서 총 4채널을 말하는것이 맞나요??
그렇게되면 CPU 0번에 램2개
CPU 1번에 램2개
이런식으로 4채널이 성립 되는것인지요ᆢ
이런 경우 QPI가 약90%정도 대역폭이 형성되는건가요ᆢ
즉 CPU 1개에 8개의 메모리 슬롯이 있으면 그 중 4개가 CPU에 직접 연결된 메모리 슬롯입니다..
메모리 속도를 최적화 할 때는 이 4개의 메모리 슬롯에만 같은 모델의 메모리를 설치하면 됩니다..
보통 메모리 슬롯의 색깔을 달리해서 구분되어 있고 메모리 모듈 1개만 꼽고 부팅하였을때 꼽는 메모리 슬롯이
(보통 CPU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슬롯)
4개의 메모리 슬롯중 가장 첫번째 입니다..
마더보드나 시스템 메모리 꼽는 순서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QPI는 CPU간의 데이터 링크로 알고 있습니다.. 메모리 체널과는 관계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PU 모델에 따라 최대 QPI가 틀리고 마더보드 바이오스에서 그 속도를 셋팅 가능한 마더보드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Cpu가 4체널 cpu 인걸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