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dsp 는 보드에 귀속되어서 나중에 옮길 수 없다는게

신은왜   
   조회 1712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맞는거죠. 

그럼 노트북 판매시 dsp에 대한 확실한 

설명을 해야 겠군요. 

그럼 이게 

상업적으로 사용한다고 해도 문제가 없는 건가요?

아니면 ..반드시 정품에 대한 구입 영수증이나 증빙 서류가 있어야 하는건가요?

 


컴 조립과 부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직업은 3D 그래픽을 이용한 설계 및 SE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넵. 처음 설치한 보드에 귀속되고 상업적 목적으론 사용이 가능하나 전시판 같은 곳에 쓸수는 없죠.
     
dateno1 2024-06
전시판에서 안 되는게 아니라 임대같은걸로 못 쓰는것 아니었나요?
          
그 라이센스가 몇억대죠?
DSP쓴다고 전광판에 쓰면 몇억 손해배상청구소송이 들어옵니다. MS에서
김준연 2024-06
OEM/COEM/FPP는 해당 컴퓨터를 '상업적인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가의 여부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즉 영리법인에서 쓰는 데 어떠한 문제도 없습니다. 다만 OEM과 COEM은 PC에 귀속되며(인증 기준은 CPU와 메인보드입니다.), FPP는 지정된 방법을 통하여 라이선스의 이전이 가능할 뿐입니다.
안형곤 2024-06
기기 자체에 라이센스가 부여되어 있으니 라이센스가 이동이 되지는 않습니다.

FPP는 사용자에게 라이센스가 부여되어 있구요...


QnA
제목Page 124/5725
2015-12   1769617   백메가
2014-05   5244190   정은준1
2024-06   1883   삐돌이슬픔이
2024-06   2199   f0rest
2024-06   1535   Rich
2024-06   1976   Psychophysi…
2024-06   2140   galaxyfamily
2024-06   6439   블루영상
2024-06   2089   승리의샌디…
2024-06   2120   김민수2
2024-06   2426   Dosh
2024-06   3016   금콩커피
2024-06   2116   하셀호프
2024-06   1951   한중일
2024-06   1728   승리의샌디…
2024-06   2184   네이쳐
2024-06   1713   미담
2024-06   1926   냐미냐미
2024-06   1632   JJ25
2024-06   2166   song05
2024-06   2251   승리의샌디…
2024-06   1697   승리의샌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