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6783 |
25 |
2015-12
1656783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1447 |
0 |
2014-05
5121447
1 정은준1
|
103924 |
엑셀 수식관련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2) |
norann |
2018-12 |
2235 |
0 |
2018-12
2235
1 norann
|
103923 |
소프트웨어 소스 코드의 판매 (9) |
무아 |
2023-04 |
2235 |
0 |
2023-04
2235
1 무아
|
103922 |
가상화 속도 (22) |
미담 |
2023-06 |
2235 |
0 |
2023-06
2235
1 미담
|
103921 |
usb를 이용한 윈도우 10 포맷 오류에 관해 질문좀 드리겠습니다. (6) |
골기우스 |
2024-04 |
2236 |
0 |
2024-04
2236
1 골기우스
|
103920 |
고수님들 윈도우 네트워크 질문드립니다! (8) |
김밥조아 |
2021-10 |
2236 |
0 |
2021-10
2236
1 김밥조아
|
103919 |
랙 레일 질문입니다. |
캔위드 |
2020-04 |
2236 |
0 |
2020-04
2236
1 캔위드
|
103918 |
젤리핀 이름 규칙 (2) |
arcane |
2021-07 |
2236 |
0 |
2021-07
2236
1 arcane
|
103917 |
10기가 랜카드들은 얼마나 뜨거운가요? (15) |
이매망량2 |
2024-01 |
2236 |
0 |
2024-01
2236
1 이매망량2
|
103916 |
USB controller와 GPU (6) |
네이쳐 |
2021-11 |
2236 |
0 |
2021-11
2236
1 네이쳐
|
103915 |
메모리가 128GB 이상 서버 시스템 어떤 용도에 사용하는지요? (15) |
galaxyfamily |
2023-12 |
2236 |
0 |
2023-12
2236
1 galaxyfamily
|
103914 |
[단순무식한질문]아래 intel s2600ip 보드 bmc 칩문제 (3) |
comduck |
2020-09 |
2236 |
0 |
2020-09
2236
1 comduck
|
103913 |
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5) |
조재형3 |
2020-02 |
2236 |
0 |
2020-02
2236
1 조재형3
|
103912 |
무제 (1) |
맑은부철 |
2019-03 |
2236 |
0 |
2019-03
2236
1 맑은부철
|
103911 |
h200과 h310의 단자는 mini sas 인가요? (3) |
이매망량2 |
2023-05 |
2237 |
0 |
2023-05
2237
1 이매망량2
|
103910 |
NVR S/W 성능 문의 (7) |
정의석 |
2022-05 |
2237 |
0 |
2022-05
2237
1 정의석
|
103909 |
라온디스플레이 제품 써보신 분 계실까요? |
양창권 |
2020-05 |
2237 |
0 |
2020-05
2237
1 양창권
|
103908 |
i340-t4 윈도우10 지원 궁금합니다. (2) |
inquisitive |
2021-12 |
2237 |
0 |
2021-12
2237
1 inquisitive
|
103907 |
[질문]블레이드 서버 .. 써본적이 없어서.. 질문드립니다. (12) |
홀릭0o0 |
2022-12 |
2237 |
0 |
2022-12
2237
1 홀릭0o0
|
103906 |
아 나도 sns맹인듯 ㅠㅠ 이거 어찌 차단하쥬? (4) |
쌍cpu |
2023-09 |
2237 |
0 |
2023-09
2237
1 쌍cpu
|
103905 |
삼성 nt500r3m 모델에 ssd, 하드 추가 가능한가요 (4) |
하셀호프 |
2021-06 |
2237 |
0 |
2021-06
2237
1 하셀호프
|
LS 제품으러 추천합니다
63A로 교체하세요
전기업체와 상의하면서 용량은 좀더 큰걸로 고려해보겠습니다.
( 전기 지식이 없다 보니.. )
그리고 인입메인이라면, 계량기에 연결된 단자를 말씀하시는거죠?
가격만 따지면 오픈마켓 뒤지면 별의별 제품이 다 나옵니다만 LS제품에 비해서는 신뢰성이 덜합니다..
어떤 제품을 구입하시던 간에 KS인증 꼭 확인하세요..
메인차단기가 내려간다는건 3상 보다는 220v를 사용하는 단상쪽의 문제일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누전일 가능성도 있지만 과부하로 인한 차단일 가능성도 상당히 높습니다.
3상 40A 차단기라면 26kW 정도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이건 3상으로 고르게 분배될 때고, 분배가 한쪽으로 쏠려있을 경우 8~9kW 전력만으로도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RSTN 3상 4선식에서 R + N = 220v, S + N = 220v 일 때 R + N 한쪽으로 40A가 걸린다면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컴프레셔 (냉동냉장 - 꽃 냉장고)가 돌면서 실내 에어컨 까지 한 라인으로 사용한다면 과부하가 걸리지요.
그리고 단상용 전력량계를 (스마트홈) 3상에 물리면 정상적인 데이터가 나오지 않습니다
실제로 쓰는 건 모두 220V 입니다.
에어컨 3대 ( 큰거1대, 벽걸이 2대)
꽃 냉장고 1대
중간사이즈 일반 냉장고 1대
전기온수기 작은거 1대
기타 작은 조명 20개 정도..
컴퓨터 1대
오늘 같이 더운날에 에어컨과 냉장고가 열심히 동작하면서 순간 과부하가 걸릴 수도 있긴 하겠습니다.
서브가 mccb 이면 누전이 생기면 메인이 떨어질 것이고...
그리고 차단기 하나씩 내려서 각 차단기마다 할당된 부하량도 점검해줘야 합니다..
한번 떨어지면 5분 정도 후에나 다시 올라간다고 하는 걸로 보면... 차단기에 부하가 몰려서 열받았을 경우와
물이 닿는 부분이 있어서 이 부분이 자체적으로 해결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도 있습니다.
부하리스트 작성 해보시고 차단기 떨어졌을 때 메인 차단기 온도도 한번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배전함은 물이나 습기는 없는 공간이라서 아마도 부하 문제일 것 같습니다.
부하리스트 ==> 요것 작성해서 점검 해보겠습니다.
배전반 한번 열려면 치울게 많아서.. ㅋㅋ
건물 내부에 따로 차단기가 있는 경우 쉽게 교체가 가능하겠지만 활선으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 차단기 가격 포함 3~40만원 정도는 부를겁니다.
에어컨 3대와 꽃 냉장고, 온수기가 한번에 돌아간다면 차단기가 떨어질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라인 분배가 잘 되어있는지 확인해보시고, 에어컨 3대가 차단기 하나로 작동한다던지 하는 상황이라면 라인 분배만으로도 (큰거는 따로 물린다던지 등)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 앱으로 시간단위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으니 전력량계를 따로 다는 것 보다는 빼버리시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차단기 용량 업그레이드 방향으로 계획을 세우고..
에어컨과 냉장고 등 이용 상태도 물어보겠습니다.
평소 에어컨은 3대를 동시에 이용안하는데, 아마 오늘 동시에 돌렸을 수도 있구요.
작년에 차단기 내려갔을때도 여름이었던걸로 봐서 일시적 과부하로 차단기가 내려간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상가는 신형계량로 교체가 안되어서 파워플래너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은 안되네요. ㅠ.ㅠ
주택용 계량기는 작년에 교체되면서 파워플래너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되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 사용하고 싶으시면 Tuya 등에서 3상 4선식 전력량계가 나오긴 합니다. 근데 그거 설비하느니 그냥 사용하시는게 낫지요....
오늘 저희 외부 온도센서들을 보니 36도 찍었더군요. 에어컨 틀어야 할 날씨니까요... 하하
차단기 용량 업그레이드도 좋지만 에어컨 라인부터 살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한 라인에 다 물려놓는 경우가 많더군요...
에어컨 분배만 잘 해주셔도 내려갈 일은 없지 않을까 합니다.
전기라인 분배가 되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새 것은 한가격 하고요.. 중고도 보통은 큰 문제 없습니다..
미터기도 옛날 제품은 전류만 측정 가능하나 신형은 버튼이 달려 전류,전압,전력까지 측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생산라인 공장도 전기작업 한다고 그때 1년동안 작업 못했던거 몰아서 한다는 말도 들었습니다.(이거 약간 무서운데?)
과부하일거라고 생각해서 차단기 내려간적이 몇번 있었는데 옆방 사무실에서 특정 제품이 쇼트를 일으켰는지 전기 별루 먹지도 않는 갸만 키면 다 내려가는 기이한 현상이 있긴 했었죠. 죄없는 서버가 쇼트 일으킨다고 빨리 내리라고 했던 기억이...
NFB는 과부하/단락 트립이지만 ELB는 과부하/단락/누전 트립입니다. 메인을 NFB로 교체하는게 꼭 정답도 아니고 상부하분리조치가 정답으로 보입니다.
컴퓨터 전문가 만큼이나 전기/시공 전문가도 많다는걸 새삼 느끼네요. ㅎㅎ
잘해결한뒤 나중에 경과보고도 하겠습니다.
분기되는 차단기를 누전차단기로 바꾸시면 전체가 차단되는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용량은 동일한제품 으로 바꾸시는게 전기 안전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