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메인차단기 교체 관련 질문

안철현   
   조회 2351   추천 0    

일반 주택 1층에 있는 상가이구요...

1년에 한번정도 메인 누전차단기가 갑자기 내려갑니다.

배전함을 열어보면 큰 전기누전차단기 손잡이가 아래로 내려가 있습니다.

( 이상하게 서브 차단기는 내려가지 않구요. )


메인차단기가 내려간뒤

다시 ON을 하면 바로 전기가 들어오지 않고

약 5~10분 기다렸다가

차단기 레버를 올리면 다시 전기가 들어옵니다.

그뒤로는 또 한동안 정상동작


전기 공사를 한지는 약 5~6년정도 되었구요

지금까지 두번정도 문제가 있었습니다. ( 작년 중순에 한번, 오늘 한번 )

만약 차단기 상태가 안좋아서 교체를 하면 해결이 될 까요?


그리고 전기 전문가에게 의뢰를 한다면 

어느정도 비용이 합리적일까요?


와이프가 운영하는 매장이라서, 

갑자기 문제가 생기면 대응이 어렵고, 꽃 냉장고가 24시간 돌아야 하는 상황이라서..

미리미리 예방차원에서 교체를 할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반 주택용 작은 차단기라면 직접 해볼텐데

이건 잘못건드리면 저세상으로 갈것 같아서, 전기 기술자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6
상가 건물주나 상가 관리소에 불편을 문의하여 조치받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안철현 2024-06
내부 공간 배전함이라서, 제가 직접 관리/수리를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현진 2024-06
인입 메인을 차단하고 교체하면됩니다
LS 제품으러 추천합니다
63A로 교체하세요
               
안철현 2024-06
찾이보니 LS 제품이 좋아보이는데, 한가격 하네요. ㅎㅎ
전기업체와 상의하면서 용량은 좀더 큰걸로 고려해보겠습니다.
( 전기 지식이 없다 보니.. )

그리고 인입메인이라면, 계량기에 연결된 단자를 말씀하시는거죠?
                    
박문형 2024-06
LS 제품이 국내에선 거의 표준급 인지라 가격은 어쩔 수 없습니다..

가격만 따지면 오픈마켓 뒤지면 별의별 제품이 다 나옵니다만 LS제품에 비해서는 신뢰성이 덜합니다..

어떤 제품을 구입하시던 간에 KS인증 꼭 확인하세요..
이선호 2024-06
은근히 쉽게 찾을 수 있는게 누전이기도 하고, 은근히 어려운게 누전이기도 합니다.
메인차단기가 내려간다는건 3상 보다는 220v를 사용하는 단상쪽의 문제일 확률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누전일 가능성도 있지만 과부하로 인한 차단일 가능성도 상당히 높습니다.

3상 40A 차단기라면 26kW 정도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이건 3상으로 고르게 분배될 때고, 분배가 한쪽으로 쏠려있을 경우 8~9kW 전력만으로도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RSTN 3상 4선식에서 R + N = 220v, S + N = 220v 일 때 R + N 한쪽으로 40A가 걸린다면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습니다.
컴프레셔 (냉동냉장 - 꽃 냉장고)가 돌면서 실내 에어컨 까지 한 라인으로 사용한다면 과부하가 걸리지요.

그리고 단상용 전력량계를 (스마트홈) 3상에 물리면 정상적인 데이터가 나오지 않습니다
     
안철현 2024-06
예전에 냉동관련 업체가 있던 곳이라서, 3상으로 전기가 들어와 있구요.
실제로 쓰는 건 모두 220V 입니다.

에어컨 3대 ( 큰거1대, 벽걸이 2대)
꽃 냉장고 1대
중간사이즈 일반 냉장고 1대
전기온수기 작은거 1대
기타 작은 조명 20개 정도..
컴퓨터 1대

오늘 같이 더운날에 에어컨과 냉장고가 열심히 동작하면서 순간 과부하가 걸릴 수도 있긴 하겠습니다.
          
김준유 2024-06
배전함 전체 사진도 올려주시면 도움이 될 합니다.
 
서브가 mccb 이면 누전이 생기면 메인이 떨어질 것이고...
그리고 차단기 하나씩 내려서 각 차단기마다 할당된 부하량도 점검해줘야 합니다..

한번 떨어지면 5분 정도 후에나 다시 올라간다고 하는 걸로 보면... 차단기에 부하가 몰려서 열받았을 경우와
물이 닿는 부분이 있어서 이 부분이 자체적으로 해결될 때까지의 시간일 수도 있습니다.

부하리스트 작성 해보시고 차단기 떨어졌을 때 메인 차단기 온도도 한번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안철현 2024-06
넵. 의견 감사합니다.
배전함은 물이나 습기는 없는 공간이라서 아마도 부하 문제일 것 같습니다.
부하리스트 ==> 요것 작성해서 점검 해보겠습니다.
                    
김준유 2024-06
3상은 꼭 부하리스트 만들어서 상분리해줘야 합니다..
     
안철현 2024-06
스마트홈 전력량게는 데이터가 제대로 안나와서 떼려다가 그냥 방치해둔 상태입니다. ^^;;
배전반 한번 열려면 치울게 많아서.. ㅋㅋ
          
이선호 2024-06
선 두께는 6SQ로 보이는데 제일 편한 방법은 63A 정도 차단기로 바꾸는 것입니다.
건물 내부에 따로 차단기가 있는 경우 쉽게 교체가 가능하겠지만 활선으로 작업해야 하는 경우 차단기 가격 포함 3~40만원 정도는 부를겁니다.

에어컨 3대와 꽃 냉장고, 온수기가 한번에 돌아간다면 차단기가 떨어질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라인 분배가 잘 되어있는지 확인해보시고, 에어컨 3대가 차단기 하나로 작동한다던지 하는 상황이라면 라인 분배만으로도 (큰거는 따로 물린다던지 등)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 앱으로 시간단위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으니 전력량계를 따로 다는 것 보다는 빼버리시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안철현 2024-06
예.. 조언 감사합니다.
차단기 용량 업그레이드 방향으로 계획을 세우고..
에어컨과 냉장고 등 이용 상태도 물어보겠습니다.

평소 에어컨은 3대를 동시에 이용안하는데, 아마 오늘 동시에 돌렸을 수도 있구요.
작년에 차단기 내려갔을때도 여름이었던걸로 봐서 일시적 과부하로 차단기가 내려간게 맞는 것 같습니다.

아쉽게도 상가는 신형계량로 교체가 안되어서 파워플래너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은 안되네요. ㅠ.ㅠ
주택용 계량기는 작년에 교체되면서 파워플래너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되어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선호 2024-06
아 아직 교체가 안되셨나보군요...
정 사용하고 싶으시면 Tuya 등에서 3상 4선식 전력량계가 나오긴 합니다. 근데 그거 설비하느니 그냥 사용하시는게 낫지요....

오늘 저희 외부 온도센서들을 보니 36도 찍었더군요. 에어컨 틀어야 할 날씨니까요... 하하

차단기 용량 업그레이드도 좋지만 에어컨 라인부터 살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한 라인에 다 물려놓는 경우가 많더군요...
에어컨 분배만 잘 해주셔도 내려갈 일은 없지 않을까 합니다.
                         
안철현 2024-06
메인 차단기 하부에 있는 작은 차단기 하나씩 내려보면서 각 라인에 뭐가 물려 있는지 체크해서..
전기라인 분배가 되도록 조치하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박문형 2024-06
서버용 멀티탭 중에 미터기가 달린 것이 있습니다..

새 것은 한가격 하고요.. 중고도 보통은 큰 문제 없습니다..

미터기도 옛날 제품은 전류만 측정 가능하나 신형은 버튼이 달려 전류,전압,전력까지 측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술이 2024-06
1년에 한번씩 차단기 내리는 작업 하지 않나요? 요즘 엥간한 상가들 1년에 한번씩은 정기 작업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어디 상가 오피스도 1년에 한번씩은 꼭 전기 작업한다고 전기 내린다고 하고 제가 서버 갖다놓은 역삼 사무실도 차단기 내릴거라고 서버 스토리지 내리라고 연락오거든요.
생산라인 공장도 전기작업 한다고 그때 1년동안 작업 못했던거 몰아서 한다는 말도 들었습니다.(이거 약간 무서운데?)

과부하일거라고 생각해서 차단기 내려간적이 몇번 있었는데 옆방 사무실에서 특정 제품이 쇼트를 일으켰는지 전기 별루 먹지도 않는 갸만 키면 다 내려가는 기이한 현상이 있긴 했었죠. 죄없는 서버가 쇼트 일으킨다고 빨리 내리라고 했던 기억이...
GEUN 2024-06
전체적인 사진을 봐야알겠습니다만, 메인이 ELB니까 누전으로인해 트립된다고 생각할수도있겠지만 1년에 한번이면 과부하트립같아보이네요.

NFB는 과부하/단락 트립이지만 ELB는 과부하/단락/누전 트립입니다. 메인을 NFB로 교체하는게 꼭 정답도 아니고 상부하분리조치가 정답으로 보입니다.
안철현 2024-06
하루만에 실마리를 잡을만큼 답변이 달린걸 보니..
컴퓨터 전문가 만큼이나 전기/시공 전문가도 많다는걸 새삼 느끼네요. ㅎㅎ

잘해결한뒤 나중에 경과보고도 하겠습니다.
유민석 2024-06
메인을 배선용차단기로 바꾸시고
분기되는 차단기를 누전차단기로 바꾸시면 전체가 차단되는 일은 없을것 같습니다
용량은 동일한제품 으로 바꾸시는게 전기  안전에 좋습니다


QnA
제목Page 508/5704
2015-12   1656783   백메가
2014-05   5121447   정은준1
2018-12   2235   norann
2023-04   2235   무아
2023-06   2235   미담
2024-04   2236   골기우스
2021-10   2236   김밥조아
2020-04   2236   캔위드
2021-07   2236   arcane
2024-01   2236   이매망량2
2021-11   2236   네이쳐
2023-12   2236   galaxyfamily
2020-09   2236   comduck
2020-02   2236   조재형3
2019-03   2236   맑은부철
2023-05   2237   이매망량2
2022-05   2237   정의석
2020-05   2237   양창권
2021-12   2237   inquisitive
2022-12   2237   홀릭0o0
2023-09   2237   쌍cpu
2021-06   2237   하셀호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