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 HP Z820
문제점 : CPU쿨러 교환후 윈도우즈에서 시스템을 마우스로 껐을때 다시 켜지면서 부팅되는 현상
1차 조치 : CR2032 받데리 교환 및 윈도우즈 10 재설치 , 한동안 이상없다가 다시 같은 문제점 발생 , 파워 버튼으로 끄면 꺼짐
대략 이런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원인 추측 : 윈도우즈 전원관리 기능 (전원 On/OFF 기능 ACPI 등) 혹은 시스템의 전원관리 기능 쪽에 문제가 생김
ATX 파워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파워를 On/OFF 하는데 파워 자체가 문제가 있던지
마더보드 의 On/OFF 회로 혹은 바이오스 셋팅 등에 문제가 생기면 파워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꺼도 다시 켜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수 있지만 윈도우즈 파워 버튼을 건드리는 마우스가 오래되어 더블클릭이 발생해서 그럴 수도 있고
드물지만 시스템 온오프 스위치가 계속 눌려지던지 해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파워코드가 오래 되어 접점 불량일때도 발생할 소지가 아주 적지만 있습니다..
조 치 : 시스템의 바이오스 셋팅이 중요한 것(레이드를 묶었다던가해서 풀리면 골치 아픈것)이 없다면 공장도 초기화나 바이오스 디폴트 셋팅
CMOS CLEAR 등으로 초기화를 합니다.. 그 후에 날짜를 맞추고 윈도우즈 업데이트를 한 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시스템에 OS부팅 없이 파워 버튼만으로 시스템이 켜지고 다시 파워 버튼만으로 시스템이 꺼지는지 확인합니다..
이렇게 파워 버튼만으로 껐다 켰다를 10번 정도 반복했을때 문제가 없다면 일단 On/OFF 는 이상없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윈도우즈나 OS가 동작할수 있는 상황에서도 파워 버튼 만으로 껐다켰다가 되는지 확인해보세요..
이렇게 해보아도 문제가 계속 나온다면 시스템이 오래되어 고치지 못하는 상황까지 갔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때는 돈이 들겠지만 다른 시스템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말 동안 해보겠습니다
1. 전원 오프 를 해도 전원이 완전히 꺼지지 않는 상태 (전원버튼 누르면 전원 종료)
2. 전원 오프 후 전원버튼 LED가 꺼졌다가 다시 켜지며 시스템 부팅
800 과 820 , 420 에서 이러한 증상을 겪었는대 웃긴건 PE 로 부팅시켜서 전원오프 를 시키면 또 잘되곤합니다
PE 부팅용 USB 가 있다면 기존 디스크를 제거하고 한번 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이런 상태면 윈도우 전원관리 시스템의 오류 등으로 예상되긴한대 정확한건 아니니...
당시 윈도우도 전혀 문제가 없는 상태였는대도 저런경우가 발생해서 좀 황당한적이 여러번 있었네요
메인디스크 또는 윈도우 문제 라고 밖에 볼수 없더군요 근대 820은 나이가 있으니 상위로 가는것도 한 방법
업데이트 하면 기존 안정화버젼(벤더사 드라이버) 가 업데이트 되면서 오작동도 여러번 보기도 했습니다
840 에선 대충 해도 상관없었는대 800 820 420 에서 그런 증상이 간혹 발생하더군요
윈도우 쓰시는대 큰문제가 없다면 업데이트 구지 안하셔도...
물론 MS에서도 업데이트 파일이 문제가 있을 때도 있습니다..
그리고 시스템이나 마더보드 바이오스나 펌웨어 업데이트도 어느 정도는 최신을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이것도 보안 이슈 때문입니다..
E5-2600 V1/V2 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보안 이슈 패치된 바이오스 사용하면 처리 속도가 확 떨어지는데 그래도 뚫리고 작살 나는 것보다는 낫기에
어쩔 수 없이 해야 합니다..
보안 이슈 패치 된 바이오스 사용해도 처리 속도가 그리 안 떨어지는 것은 인텔 스케일러블 제온부터 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일단 현제상황에서 업데이트 전 과 후를 비교해서
문제가 되는 드라이버를 알아내신후에
신규 업데이트가 나올때마다 이전 안정화 드라이버로 롤백 하시면됩니다
어차피.. 윈도우 업데이트는 보안이슈 문제나 다른걸로 업뎃하면서 드라이버도 같이 업데이트하니
안정화 드라이버만 롤백해서 쓰시면 될거 같아요
전원 관련 드라이버는 뭐... 보안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문제니
저도 현제 820 4대중 1대만 이런 현상이 발생중인대
업데이트때마다 해당 드라이버만 재설치해서 해결중입니다
단 특수 프로그램 때문에 이 시스템 밖에 안된다 그러면 많이 곤란해집니다..
사설 수리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지만 최소 몇십만원에서 돈백만원 이상 들어간다면 꼭 해야 할지 그리고 다시고장났을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도 생각해야 합니다..
사설수리해도 다시 고장날 때는 고장이 나는데 수리후 무상 AS기간을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