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8259 |
0 |
2014-05
523825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3894 |
25 |
2015-12
1763894
1 백메가
|
112354 |
차량용 컴퓨터 (13) |
미담 |
2024-07 |
2072 |
0 |
2024-07
2072
1 미담
|
112353 |
국내에서 구입할 저렴한 미니 PC들 뭐 있을까요 . 신품 (11) |
김제연 |
2024-07 |
1772 |
0 |
2024-07
1772
1 김제연
|
112352 |
[질문] 시놀로지 파일스테이션으로 비웠는데, 공간이 부족하다 나옵니다. (4) |
신우섭 |
2024-07 |
1601 |
0 |
2024-07
1601
1 신우섭
|
112351 |
구형 보드에 pcie nvme 속도 문제 질문입니다. (14) |
soom |
2024-07 |
2038 |
0 |
2024-07
2038
1 soom
|
112350 |
린필드 I7 VS i3 4세대 (26) |
Sakura24 |
2024-07 |
1934 |
0 |
2024-07
1934
1 Sakura24
|
112349 |
GPU Server 정의 문의드립니다. (10) |
무명인12 |
2024-07 |
1799 |
0 |
2024-07
1799
1 무명인12
|
112348 |
SAS SSD 드라이브 SMART 정보 확인 방법? HBA? (3) |
농부76 |
2024-07 |
1840 |
0 |
2024-07
1840
1 농부76
|
112347 |
차량용 노트북 충전기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
무쏘뿔처럼 |
2024-07 |
1544 |
0 |
2024-07
1544
1 무쏘뿔처럼
|
112346 |
여성분이 사용할 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song05 |
2024-07 |
1636 |
0 |
2024-07
1636
1 song05
|
112345 |
M$ SQL SERVER 버전 다른 엔진 2개 설치 (9) |
Noman |
2024-07 |
2123 |
0 |
2024-07
2123
1 Noman
|
112344 |
ffmpeg6가 QSV랑 호환이 안 됩니다 (2) |
dateno1 |
2024-07 |
1969 |
0 |
2024-07
1969
1 dateno1
|
112343 |
DELL HARDWARE DIAGNOSTICS 빠른 실행 방법 문의 (1) |
풀로드시스템 |
2024-07 |
2146 |
0 |
2024-07
2146
1 풀로드시스템
|
112342 |
wd 14tb 이렇습니다. ...머시당가요? (13) |
쌍cpu |
2024-07 |
1676 |
0 |
2024-07
1676
1 쌍cpu
|
112341 |
리눅스 부팅불량 질문 : error: file '/boot/vmlinuz-6.1.0-21-amd64' not found. (9) |
화란 |
2024-07 |
1933 |
0 |
2024-07
1933
1 화란
|
112340 |
윈도우에서재생되는 동영상을 녹화하려면 (7) |
pumkin |
2024-07 |
1467 |
0 |
2024-07
1467
1 pumkin
|
112339 |
윈도우 10 업데이트를 완료할수 없습니다. 변경사항 취소중... 해결착 있을까요. (12) |
pilsuni |
2024-07 |
2407 |
0 |
2024-07
2407
1 pilsuni
|
112338 |
asus z10pe d16 ws 보드인데 부팅이 안되네요 (4) |
슬러그94 |
2024-07 |
1769 |
0 |
2024-07
1769
1 슬러그94
|
112337 |
메모리 혼용에 관한 의견 여쭈어 봅니다. (7) |
윤치열 |
2024-07 |
2299 |
1 |
2024-07
2299
1 윤치열
|
112336 |
본체 한대가 필요한데요 (5) |
Sakura24 |
2024-07 |
1932 |
0 |
2024-07
1932
1 Sakura24
|
112335 |
슈퍼마이크로 섀시 질문입니다. (11) |
쉐이딩 |
2024-07 |
1997 |
0 |
2024-07
1997
1 쉐이딩
|
그리고 어떤 모델의 스위치를 몇대나 어떻게 연결하였나요?? (전체적인 네트워크 망도가 있으면 좋습니다..)
마더보드와 랜카드 사이에는 PCI-E 8.0 GT/s * 16 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인 네트워크 망도는 게시글에 업데이트 했습니다! 빠른 피드백 감사합니다.
Windows 11 Pro가 설치된 PC에 리눅스 OS를 설치해본뒤 속도테스트를 해보세요.
보통 실제 설치하지는 않고
우분투 설치 USB를 만들어서 부팅으로 하면 Live OS로 부팅이 되니...
부팅한뒤 iperf3 테스트를 해봅니다.
보드 모델명은 어떻게 될까요?
보드 모델명은 Z790 PG Lightning입니다!
E코어 때문에 성능 저하 문제 혹은 드라이버 충돌를 이야기 하는 글을 종종 봤는데..
혹시 모르니 바이오스에서 E 코어를 꺼보세요..
windows 11 pro에서 tcp receive 설정값도 튜닝할게 있는지 한번 찾아보세요.
TCP Window Auto-Tuning
Receive Side Scaling (RSS)
Receive Window Size (RWIN)
그래도 안나오면, BIOS 튜닝인데 무리하게 튜닝하시면 카드나 시스템에 데미지가 생기긴합니다.
저도 얼마전에 무리하게 다른용도로 쓰는 카드가 BIOS 튜닝했다가 카드에서 연기나는거 한번 본적이 있어서요.
그래도 또 안나오면 결론은 쓰시는 PC급보드가 뭔가 100G랑은 성능조합이 안맞는거 일수도 있구요.
해당 역방행 속도 체크도 해보시기 바랍니다.
https://iperf.fr/iperf-doc.php
따라서 저의 관념에서는 그 이하의 시스템이나 PC급 시스템에서는 100G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100G 라는 속도의 이더넷은 서버에나 쓰이는 것이지 PC에서는 쓰이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그리고 실제 PC급 마더보드에 온보드 된 랜도 아마 10G가 최대일 것입니다.. 그것도 재일 비싼 모델이나 가야 있죠..
우선 같은 PC급인 AMD 라이젠에서 100G가 동작한다고 하니 인텔쪽에서도 테스트 해봐야 알겠지만 아예 안되거나 하지는 않을 듯합니다..
거의 15년 전인가 10G 랜카드가 처음 나왔을때도 10G 동작시 CPU 부하 때문에 그것을 감당하는 시스템이나 10G가 재대로 동작했습니다..
그때 마지노 선이 대략 AMD 옵테론 소켓 F (DDR2 서버 메모리 베이스 서버) 입니다..
네트워크에 부하 주어서 테스트 할때 CPU 부하가 100% 치솟는다던가 하고 계속 그렇게 유지된다면 그 시스템에서는 CPU 성능 문제로
사용하지 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https://github.com/ar51an/iperf3-win-builds 이런데서 받으셔야 합니다.
초기 3.1 언저리 버전의 경우
윈도우즈에서 벤치 속도가 잘 안나옵니다.
-v 옵션으로 버전 확인
-P 4 와 같은 멀티스트림 옵션을 쓸때 대역폭이 어디까지 올라가는지 확인해보세요.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1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2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3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4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5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6 & iperf3 -c 192.168.1.110 -t 20 -p 5207 &
멀티스트림 옵션과, 멀티 port를 사용해서 테스트 했습니다.
고속 네트워크에서 제 속도가 나오려면 마더보드쪽에서 몇가지 셋팅할 것이 있어 보입니다..
절전모드 같은 것 있으면 다 꺼버리고 최고 속도로 동작하게 해야 합니다..
그 외에 이 이슈가 맞을지 모르겠지만
인텔 13~14세대 고사양 모델들이 부하를 주면 문제가 생기는 이슈가 있습니다..
게임쪽부터 시작되었는데요..
아직까지는 해결방안이 확실하게 나오지 않았습니다..
https://www.youtube.com/@S0uL_Seeker
이 유튜브에서 우선은 지속적으로 테스트를 하고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freeboard_2011/1702961?&page=2
https://www.2cpu.co.kr/freeboard_2011/1702756?&page=3
여기 회원님들 중에서도 몇몇분이 고통을 받고 계십니다..
그리고 만일 윈도우즈 OS가 윈도우즈 10 이나 윈도우즈 11이라면 서버용 윈도우즈로 바꾸어 테스트 해보시기 바랍니다..
멜라녹스 카드들은 옛날에는 서버 OS들만 드라이버를 지원하였습니다..
윈도우즈 11이라서 서버용 윈도우즈도 테스트 해보겠습니다.
우선 다른 OS(리눅스, 윈서버)로 변경해서 테스트해보라고 먼저 가이드합니다.
지금은 server - PC direct 연결 테스트, PC에서 100G급 성능이 나오는지 테스트를 위해 100G 랜카드를 부착해 놓았습니다.
하나씩 점검해보세요.
http://www.2cpu.co.kr/QnA/933044
데스크탑을 서버용도로 사용할라면 고려해야될게 좀 있어요.
40G 까지는 라이젠 3900 꼽아서 잘 써본적 있었고 100G도 무난할걸로 보이긴 하나 데스크탑 모델은 바이오스부터 체크해야될게 많습니다.
그리고 또 항상 말썽부리는 인텔이네요. CPU 고장난다고 최대전력으로 쓰지 말라고 했던 그 CPU 아닌가요? ㅋㅋㅋ
그러면 익스프레스 속도도 반토막 납니다.
AhnLab V3를 사용하고 있는데 네트워크 침입 차단 서비스를 종료하니 12Gb/s -> 30Gb/s로 속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여러분들의 답변 덕분에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 40Gb/s 까지는 안나오지만 이런 부분들을 수정해 보다보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ㅎㅎ
예전에 지인이 아바스트 때문에 속도가 10G 속도가 2Gbps 밖에 안나오는 상황도 경험했습니다.
추가로 점보프레임도 셋팅해보시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