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337 |
25 |
2015-12
179233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350 |
0 |
2014-05
5267350
1 정은준1
|
112520 |
에어 더스터 사용해보신 분 있으신지요? |
VSPress |
2022-03 |
1404 |
0 |
2022-03
1404
1 VSPress
|
112519 |
시놀로지 DSM 업데이트 순서 및 백업 (2) |
뒷북소년 |
2023-02 |
1404 |
0 |
2023-02
1404
1 뒷북소년
|
112518 |
혹 디지털그린텍 Q5 민희PC 아답타 스펙 아시는분? (6) |
쌍cpu |
2022-09 |
1405 |
0 |
2022-09
1405
1 쌍cpu
|
112517 |
종합소득세 신고 와 소득공제 (3) |
yummy |
2023-11 |
1405 |
0 |
2023-11
1405
1 yummy
|
112516 |
질문 입니다 / Gigabyte GA-X99 UD3 bios (.23c) 을 CH341A rom Writing 하려고 하는… (6) |
hdsniper |
2024-10 |
1405 |
0 |
2024-10
1405
1 hdsniper
|
112515 |
영상 파일이 재생이 되는지 일괄 확인해주는 프로그램같은게 있을까요? (8) |
어훕 |
2024-02 |
1406 |
0 |
2024-02
1406
1 어훕
|
112514 |
Windows XP SP2 라이센스 키 (13) |
엠브리오 |
2024-09 |
1406 |
0 |
2024-09
1406
1 엠브리오
|
112513 |
Linux에서 신뢰롭게 쓸 수 있는 2-4bay jbob 지원하는 케이스가 있을까요? (3) |
Psychophysi… |
2023-12 |
1406 |
0 |
2023-12
1406
1 Psychophysi…
|
112512 |
구형 서버 메인보드 파워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냥더쿠 |
2024-07 |
1406 |
0 |
2024-07
1406
1 냥더쿠
|
112511 |
마침표(.)가 많은 파일 이름 대량 편집하는 방법 잇을까요? (3) |
정무현 |
2024-03 |
1407 |
1 |
2024-03
1407
1 정무현
|
112510 |
부산 사직야구장 주차 (4) |
2CPU최주희 |
2022-07 |
1407 |
0 |
2022-07
1407
1 2CPU최주희
|
112509 |
판매글에는 끌어 올리기 기능은 없는거죠. (1) |
신은왜 |
2024-07 |
1407 |
0 |
2024-07
1407
1 신은왜
|
112508 |
압축방법에 따른 이미지파일 크기에 대해 질문입니다. (3) |
영산회상 |
2022-03 |
1407 |
0 |
2022-03
1407
1 영산회상
|
112507 |
dc to dc 파워서플라이 연결 어댑터 용량 질문입니다 (15) |
piedPiper |
2024-02 |
1407 |
0 |
2024-02
1407
1 piedPiper
|
112506 |
AD 계정의 삭제와 재생성에 관한 정책 설정 (1) |
카프카 |
2024-01 |
1407 |
0 |
2024-01
1407
1 카프카
|
112505 |
Windows Server 백업 기능 관련 문의 (5) |
L2스위치 |
2024-02 |
1407 |
0 |
2024-02
1407
1 L2스위치
|
112504 |
아이피 타임 c500홈캠 (5) |
눈부신아침 |
2024-02 |
1408 |
0 |
2024-02
1408
1 눈부신아침
|
112503 |
가전전자제품 분해 청소 수리 견적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6) |
파피푸페 |
2024-07 |
1408 |
0 |
2024-07
1408
1 파피푸페
|
112502 |
MLCC 용량 측정 (3) |
박문형 |
2024-06 |
1408 |
0 |
2024-06
1408
1 박문형
|
112501 |
원노트에 그림파일많이 붙이면 느려지나요 (2) |
pumkin |
2023-02 |
1409 |
0 |
2023-02
1409
1 pumkin
|
레이드 기초 이론 공부도 필요하고요..
혹시 고객으로부터 데이터 날라갔다고 물어내라는 이야기는 없나요??
그래픽카드 4장 중 하나가 인식이 됐다 안됐다 했었고 안전모드로만 부팅이 되는 상황으로
많은 커널과 여러 버전의 드라이브가 설치된 것을 문제로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고객에게 데이터 백업하라고 해두고 다시 연락을 받아 저만 출동하여 우분투를 재설치 해준 것입니다.
말씀대로 각종 상황에 따른 리눅스 설치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서버버전, GUI 등 여러 버전의 리눅스를 VM에 깔아보고 SW도 깔아보고 하는데
특정 상황이 아닌 단순 리눅스 버전에 따른 설치에만 국한된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 모든 버젼의 리눅스는 설치되지 않습니다..
CPU 세대에 따라 설치 가능한 리눅스 종류와 리눅스 버젼의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https://www.supermicro.com/en/support/faqs/os
저는 보통 이곳의 자료를 참조합니다..
레이드 드라이버만 재대로 올리면 인식할 것으로 보입니다..
레이드 5에 참여한 디스크가 4개니까 레이드 5의 볼륨 용량(실제 사용용량)은 디스크 3개 용량입니다..
스트라이프 사이즈가 작아서 속도가 재대로 인나올수도 있겠네요..
고객사 말로는 총 디스크가 5개라고 했고 4개만 인식되는 상태라 저는 패리티 1개의 디스크가 목록에서 사라졌다고 생각했는데
선생님 말씀은 총 디스크는 4개가 맞고 결국 사용될 디스크는 3개라는 말씀이네요
RAID 5
볼륨 사이즈 10194.39GB
디스크 1개 3576.98GB
10194.39 / 3576.98 =2.98xxx
이 RAID 볼륨은 디스크 4개가 묶여 있고 OS보이는 실제 용량은 디스크 3개 용량입니다..
그리고 보통 OS 는 RAID 5에 설치 하지 않습니다.. 나중에 사용하다 보면 부팅영역이 깨질수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영역으로 보통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에서는 설치나 사용상 편의를 위해
단일 OS디스크 혹은 RAID 1 (디스크 2개 미러링) OS 볼륨 + RAID 5 데이터 볼륨 혹은 RAID 10 데이터 볼륨(DB용) 과 같은 조합을 사용합니다..
디스크가 5개 사용되었다면 그 디스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마 나머지 1개는 M.2 nvme 혹은 SATA/SAS 디스크겠죠..
사진의 상태는 마더보드 바이오스에서 레이드 잡힌게 아니고 (화면으로는 그렇게 보이지만) VROC RAID KEY 를 마더보드에 설치해서
활성화 한 것입니다..
VROC 레이드 드라이버를 보드나 시스템 제조사에서 찾아보세요..
GPU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되는 일인데 시스템 전체를 다 다루게 일이 커져 버렸네요..
그런데 RAID Volume Info에 4개밖에 안 뜨는데, 5개로 구성한거 맞나요?
그런데 제대로 호환되면 애초에 설치 목록에 디스크 1개밖에 안 뜨지 여러개로 안 뜹니다
어지간하면 VROC + Linux하지말고, mdadm이라도 쓰세요
2. 아뇨 (기본 꽉 채웁니다)
3. 최근 몇년간 그렇게 해본적이 없습니다만 문제는 없네요 (스왑을 전용 디스크 따로 두는겨우 제외)
고객이 다섯개라고 해서 1개가 패리티라서 안보이는 줄 알았는데
저도 모르니까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연습용 서버 구해서 레이드좀 해보고
말씀대로 mdadm구성도 해봐야겠네요 당장은 힘들지만요..
2. 꽉채운다고 저도 생각했었는데 박문형님 말씀들어보니 22.04 gui버전은 디폴트로 꽉채우지 않나봅니다
묶을떄 안 넣었거나, 인식이 아에 안 되고 있는겁니다
mdadm으로 묶는건 어려울꺼 없이 온보드 레이드 꺼버린후 설치할때 디스크 구성하면서 원하는대로 골라주면 자동으로 알아서 합니다
서버 없어도 가상에 10기가정도 준 디스크 5개쯤 추가후 해보면 됩니다
2. 기억엔 꽉 찼던것같은데.... (제가 수동으로 지정했을 가능성도 부정은 못합니다)
리눅스 파티션 잡는 것은 설치자 마음이긴 합니다..
설치자가 어떤 경험과 경력이 있느냐 그리고 어떠한 시스템에 어떤 패키지를 설치했느냐에 따라 파티션 잡는 법은 설치자마다 다 틀린다라고 생각합니다..
리눅스 스압 파티션에 대해서는 구글링하면 왜 필요한지 없어도 되는지에 대한 글들이 아마 있을 겁니다..
(고객이 돈들여가며 몇달간 고생해서 구축한 것을 한번에 날리라고 허락해줄까요??)
고객의 상황과 사정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작업할 서버의 상태와 상황도 잘 알아야 합니다..
우분투는 과감히 무시해 버리는 상황이네요..
저것이 계속 묵여 있으라면.. Linux용 VROC 드라이버가 필요해 보이네요..
않되믄 NVMe 을 리눅스 소프트레이드로 묶어주면 되겠네요.
mdadm
메모해두고... 서버 오면.. 연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buntu 22.04 데스트탑 버전에는 VROC 드라이버가 없는 것 같습니다.
ubuntu 22.04 서버 버전을 설치해주시면 잘 인식할 것 같습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95161/memory-and-storage/datacenter-storage-solutions.html
https://www.supermicro.com/support/faqs/faq.cfm?faq=36416
드라이버가 없으면 OS가 하드웨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드라이버들도 버젼이 있고 보통 드라이버 개발자들에 의해 개선되고 버젼이 올라갑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장치관리자에서 노란마크 뜬 것을 없애는 것이라고 봐야 합니다..
(노란마크는 장치가 충돌해도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