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설치 후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뉴진스   
   조회 2411   추천 0    

간결하게 작성하겠습니다 선배님들 ㅠㅠ


고객사에 방문하여 우분투 설치해줬습니다.

요구사항 : 우분투22.04GUI버전 / 파티션X / 엔비디아535 / 자동업데이트끄기

설치 완료 후 해당 요구부분 확인 시켜주고 집에 왔는데 

며칠이 지나고 어제 전화와서는, 현재 드라이브의 용량이 3테라 정도만 인식된다라고 합니다.

fdisk -l 안한게 제 실수입니다 ㅠㅠㅠ


1. 바이오스 레이드 확인해 보니 RAID5입니다. 총 디스크는 다섯개라고 들었는데, 바이오스와 lsblk 모두 4개의 디스크만 확인됩니다. 원래 이렇게 패리티 디스크는 목록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사진 첨부하였습니다)


2. 파티션잡지 말래서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 로 설치 완료했는데요, 이 경우 기본 최소 파티션인 3테라만 잡히고 나머지 용량은 할당되지 않은상태로 누락되는게 맞나요? 윈도우 설치시 파티션 안잡으면 OS깔리고 나머지 용량 자동 인식되는 걸로만 알고 있어서 실수한 것 같습니다.


3. 고객이 파티션을 잡지 말라고 하더라도 /boot /swap / 이 세개는 기본적으로 잡아야 하는걸까요? /boot/efi 는 자동으로 잡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4. 레이드 디스크에 OS설치시 가장 첫번째 디스크 선택하고 설치하면 되나요?


5. 새로운 파티션 생성 fdisk 명령어 나머지 용량을 루트 파티션으로 할당하면 현재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까요?








반갑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4-07
레이드가 안 잡힌거 같은데요?
     
뉴진스 2024-07
아? 그런가요 일단 모든 사진은 재설치 전 사진입니다.
     
Parabellum 2024-07
2222
박문형 2024-07
각종 상황에 따른 각종 리눅스 설치 공부부터 하셔야 하실 듯 합니다..

레이드 기초 이론 공부도 필요하고요..

혹시 고객으로부터 데이터 날라갔다고 물어내라는 이야기는 없나요??
     
뉴진스 2024-07
첫 방문에는 타사 엔지니어와 방문하였습니다.
그래픽카드 4장 중 하나가 인식이 됐다 안됐다 했었고 안전모드로만 부팅이 되는 상황으로
많은 커널과 여러 버전의 드라이브가 설치된 것을 문제로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고객에게 데이터 백업하라고 해두고 다시 연락을 받아 저만 출동하여 우분투를 재설치 해준 것입니다.

말씀대로 각종 상황에 따른 리눅스 설치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서버버전, GUI 등 여러 버전의 리눅스를 VM에 깔아보고 SW도 깔아보고 하는데
특정 상황이 아닌 단순 리눅스 버전에 따른 설치에만 국한된 공부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4-07
모든 상황에 맞추어 여러가지 리눅스를 여러가지 조건으로 설치해보고 검증하는 것은 돈도 많이 들고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 모든 버젼의 리눅스는 설치되지 않습니다..

CPU 세대에 따라 설치 가능한 리눅스 종류와 리눅스 버젼의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https://www.supermicro.com/en/support/faqs/os

저는 보통 이곳의 자료를 참조합니다..
박문형 2024-07
NVME ssd를 사용한 VROC로 묶여진 레이드네요..

레이드 드라이버만 재대로 올리면 인식할 것으로 보입니다..

레이드 5에 참여한 디스크가 4개니까 레이드 5의 볼륨 용량(실제 사용용량)은 디스크 3개 용량입니다..

스트라이프 사이즈가 작아서 속도가 재대로 인나올수도 있겠네요..
     
뉴진스 2024-07
드라이버를 올리라는 뜻이 무엇인가요? 바이오스상에서 레이드 된것인데 추가적으로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한가요?

고객사 말로는 총 디스크가 5개라고 했고 4개만 인식되는 상태라 저는 패리티 1개의 디스크가 목록에서 사라졌다고 생각했는데

선생님 말씀은 총 디스크는 4개가 맞고 결국 사용될 디스크는 3개라는 말씀이네요
박문형 2024-07
2번째 사진에서

RAID 5

볼륨 사이즈 10194.39GB

디스크 1개 3576.98GB

10194.39 / 3576.98  =2.98xxx

이 RAID 볼륨은 디스크 4개가 묶여 있고 OS보이는 실제 용량은 디스크 3개 용량입니다..



그리고 보통 OS 는 RAID 5에 설치 하지 않습니다.. 나중에 사용하다 보면 부팅영역이 깨질수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영역으로 보통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버에서는 설치나 사용상 편의를 위해

단일 OS디스크 혹은 RAID 1 (디스크 2개 미러링) OS 볼륨  + RAID 5 데이터 볼륨 혹은 RAID 10 데이터 볼륨(DB용)  과 같은 조합을 사용합니다..

디스크가 5개 사용되었다면 그 디스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마 나머지 1개는 M.2 nvme 혹은 SATA/SAS 디스크겠죠..


사진의 상태는 마더보드 바이오스에서 레이드 잡힌게 아니고 (화면으로는 그렇게 보이지만) VROC RAID KEY 를 마더보드에 설치해서

활성화 한 것입니다..

VROC 레이드 드라이버를 보드나 시스템 제조사에서 찾아보세요..


GPU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되는 일인데 시스템 전체를 다 다루게 일이 커져 버렸네요..
dateno1 2024-07
1. VROC + Linux는 안 해봤으니 패스

그런데 RAID  Volume  Info에 4개밖에 안 뜨는데, 5개로 구성한거 맞나요?

그런데 제대로 호환되면 애초에 설치 목록에 디스크 1개밖에 안 뜨지 여러개로 안 뜹니다

어지간하면 VROC + Linux하지말고, mdadm이라도 쓰세요

2. 아뇨 (기본 꽉 채웁니다)

3. 최근 몇년간 그렇게 해본적이 없습니다만 문제는 없네요 (스왑을 전용 디스크 따로 두는겨우 제외)
     
뉴진스 2024-07
쉽지 않네요 ㅠ
고객이 다섯개라고 해서 1개가 패리티라서 안보이는 줄 알았는데
저도 모르니까 그런가보다 했습니다. 연습용 서버 구해서 레이드좀 해보고
말씀대로 mdadm구성도 해봐야겠네요 당장은 힘들지만요..

2. 꽉채운다고 저도 생각했었는데 박문형님 말씀들어보니 22.04 gui버전은 디폴트로 꽉채우지 않나봅니다
          
dateno1 2024-07
페리티라도 레이드 목록에는 뜹니다

묶을떄 안 넣었거나, 인식이 아에 안 되고 있는겁니다

mdadm으로 묶는건 어려울꺼 없이 온보드 레이드 꺼버린후 설치할때 디스크 구성하면서 원하는대로 골라주면 자동으로 알아서 합니다

서버 없어도 가상에 10기가정도 준 디스크 5개쯤 추가후 해보면 됩니다

2. 기억엔 꽉 찼던것같은데.... (제가 수동으로 지정했을 가능성도 부정은 못합니다)
박문형 2024-07
리눅스 패키지에서 파티션 자동으로 잡는 것 (디폴트로 잡는 것)은 패키지 마다 틀리고 같은 패키지 (우분투 패키지, 수세 페키지등)라도 버젼마다 다를 겁니다..

리눅스 파티션 잡는 것은 설치자 마음이긴 합니다..

설치자가 어떤 경험과 경력이 있느냐 그리고 어떠한 시스템에 어떤 패키지를 설치했느냐에 따라 파티션 잡는 법은 설치자마다 다 틀린다라고 생각합니다..

리눅스 스압 파티션에 대해서는 구글링하면 왜 필요한지 없어도 되는지에 대한 글들이 아마 있을 겁니다..
     
뉴진스 2024-07
말씀 감사합니다 디폴트로 되는것도 있고 안되는것도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고객이 뭐라하던 기본 파티션은 잡아주는 것을 디폴트로 가져가겠습니다. / /boot 정도를요, 설치자의 경험과 경력이라는 것, 오늘도 좋은거 배웠습니다
          
박문형 2024-07
그렇게 고집하면 고객이 쫒아내고 물건 반품합니다..

(고객이 돈들여가며 몇달간 고생해서 구축한 것을 한번에 날리라고 허락해줄까요??)

고객의 상황과 사정을 잘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작업할 서버의 상태와 상황도 잘 알아야 합니다..
제온프로 2024-07
인텔 소프트 레이드 VROC 를 이용한 Raid 5을 잡았으나..

우분투는 과감히 무시해 버리는 상황이네요.. 
저것이 계속 묵여 있으라면.. Linux용 VROC 드라이버가 필요해 보이네요..

않되믄  NVMe 을 리눅스 소프트레이드로 묶어주면 되겠네요.
mdadm
     
뉴진스 2024-07
Linux용 VROC 드라이버, mdadm

메모해두고... 서버 오면.. 연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웃겨 2024-07
ubuntu 22.04 서버 버전에는 VROC 드라이버가 커널에 빌트인 되어 있고
ubuntu 22.04 데스트탑 버전에는 VROC 드라이버가 없는 것 같습니다.
ubuntu 22.04 서버 버전을 설치해주시면 잘 인식할 것 같습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95161/memory-and-storage/datacenter-storage-solutions.html
https://www.supermicro.com/support/faqs/faq.cfm?faq=36416
     
뉴진스 2024-07
VROC 드라이버 뭔지는 모르겠지만..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서버버전으로 바꿔서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박문형 2024-07
리눅스든 윈도우즈던 어떤 하드웨어를 어떤 OS에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그 OS용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드라이버가 없으면 OS가 하드웨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드라이버들도 버젼이 있고 보통 드라이버 개발자들에 의해 개선되고 버젼이 올라갑니다..

윈도우즈에서는 장치관리자에서 노란마크 뜬 것을 없애는 것이라고 봐야 합니다..
(노란마크는 장치가 충돌해도 나타납니다..)
수촌마을 2024-08
우분투 서버로 설치하면 vroc 레이드 정보를 받아와서 mdadm 으로 자동 볼륨1개가 보일겁니다.


QnA
제목Page 105/5730
2015-12   1792337   백메가
2014-05   5267350   정은준1
2022-03   1404   VSPress
2023-02   1404   뒷북소년
2022-09   1405   쌍cpu
2023-11   1405   yummy
2024-10   1405   hdsniper
2024-02   1406   어훕
2024-09   1406   엠브리오
2023-12   1406   Psychophysi…
2024-07   1406   냥더쿠
2024-03   1407   정무현
2022-07   1407   2CPU최주희
2024-07   1407   신은왜
2022-03   1407   영산회상
2024-02   1407   piedPiper
2024-01   1407   카프카
2024-02   1407   L2스위치
2024-02   1408   눈부신아침
2024-07   1408   파피푸페
2024-06   1408   박문형
2023-02   1409   pum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