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tic MX-6 워크스테이션 사용 시 이슈가 있나요?

   조회 1697   추천 0    

안녕하세요, 늘 Kryonaut 곰써멀 쓰다가, 이번에 작년 벤치마킹 결과를 보고

Arctic MX-6으로 바꾸어 보았는데, Z6G4 Gold 6248세팅에서 온도를 전혀 못 잡아줍니다. 99~100%로드로 2~3시간만 돌아가면 꺼져 버리네요.

새벽에 혹시나 하고 Kryonaut 으로 바꾸려고 다시 꺼내보니, 어제 도포했는데, cpu와 구리파이프 사이에 도포된 부분은 점성이 하나도 안 남아있고, 마치 물 마른 자국마냥 흔적만 남아있네요. CPU옆으로 조금 흘러나온 부분만 점성을 유지하고 있고...

곰써멀 변경 후는 아직 이슈가 없습니다.

HP정품 팬에 써멀 발라진 상태로 나오는 이유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일반 PC조립과는 아무래도 상황이 전혀 다를테니까요...

HP워크스테이션에 가장 잘 맞는 써멀이 혹시 있을까요? 10년동안 곰써멀로 문제없이 왔는데, (HP웍스만 주력으로 사용) 바꿔 보았다가 머리아픈 일이 생겼네요... 곰써멀 가품이슈가 너무 많아서 마침 벤치마크 결과도 더 낫고 해서 바꿔본건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sychophysi… 2024-08
Idle 온도도 10도 가까이 떨어졌네요...
MX-6이 가품이었나...ㅜㅠ 정품벤더에서 산건데...ㅜ
박문형 2024-08
리테일 시장에서 판매되는 써멀 구리스는 일종의 튜닝 영역인지라 종류도 여러가지이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며

유명하면 비쌉니다..



제 기억에는 옛날 인텔 CPU 쿨러 안에 써멀 구리스가 주사기 형태로 있었는데 이것이 신에츠 제품으로 생각됩니다..

신에츠 회색써멀구리스는 검색하면 나오기는 합니다만 시장에서 잘 유통되지는 않고 가격도 은근히 나갑니다..

 X-23-7783D,  X-23-7762,    X-23-7921 정도의 제품이 있는 듯하며 열전도율은 4~6W 정도인 듯합니다..

그리고 리테일 쿨러들 신품으로 구매해보면 회색 써멀구리스가 얇게 도포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제조사는 확실하게 알 수는 없지만

신에츠가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아틱 써멀 구리스는 MX-4 때 재일 유명했고 그 이후 모델들은 시들해졌다라고 생각합니다..

곰써멀 구리스는 성능은 확실한 듯한데 아마 판매되는 써멀구리스 중에서는 가장 비싸다고 생각합니다..

할른지에 써멀구리스도 여러가지 모델이 있고 국내 총판제품과 일종의 직수입품이 혼재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는 가성비가 괜찮다라고 생각합니다..





요근래 에이맥이라는 국산 써멀구리스가 있는데 저는 이것이 가성비가 상당히 좋다라고 생각하고 사용평도 무난합니다..

곰써멀의 성능이 거의 극강인지라 다른 써멀구리스가 만족하지 못하실 경우가 많을 듯합니다만 국산 에이맥 써멀구리스 한번 시도해보세요..

국산 에이맥 써멀구리스는 좀 뻑뻑하다고 하고 판매처 구글링해보면 일반 리테일시장에서 유통하는 것은 보기 힘들고 오픈마켓에서 직판하는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Psychophysi… 2024-08
늘 많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서버 OEM은 신에츠가 많을 가능성이 크군요. MX-6 괜히 실험정신을 발휘했다가 고생하네요... 역시 문제가 생기지 않으면 바꾸지 않는 게 답인것 같습니다.
2CPU풀로드로 개월 단위로 돌리다 보니, 비싸도 열전도율이 높은 곰써멀을 써왔는데... 괜히 건드려서.

곰써멀 지속력 관련 논란이 있는 모양인데, 쿨링되는 써버룸 안에 넣어두니 3년째 온도 이슈는 한 번도 없었네요...
MX-6 모르모트가 된 나 자신을 매우 치고 싶네요...ㅜ
데탑 구성할 때 할른지에와 에이맥도 테스트해보아야겠습니다. 계산하는데는 실험정신 발휘... 하지 말아야겠네요.ㅜ
     
임상현lsh 2024-08
신에츠 맞습니다.
dateno1 2024-08
곰 서멀 쓰신다면 그냥 그대로 쓰세요 (구매시 정품 여하만 신경 쓰면 되니까요)

오래 가게 할려면 그리스가 아니라 리퀴드나 패드 (흑연이나 금속제 흑은 허니웰이나 곰에서 나오는 PTM 있습니다)로 발라주세요 (애내들은 안 마름)

PTM 소량으로 싸면 비싼데, 미터단위로 롤 사면 거기까지 안 비쌉니다
     
Psychophysi… 2024-08
그냥 곰에 정착해야겠습니다. ㅜ PTM을 워크스테이션에도 많이 쓰나요?
          
dateno1 2024-08
아뇨

못 본거같습니다

산업용에선 꽤 봤습니다 (렙탑에서도 가끔 보임)

일단 저넘 특성상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어도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보장되고, 굳어서 재도포라는 개념이 없으니까요

나머지 흑연이나 금속도 당연히 굳는다는 개념은 없습니다 (100도정도론 열 변성도 없을꺼에요)

리퀴드도 그냥 액체 금속이니 동일하게 굳지 않습니다 (다만 애는 알루미늄의 천적이라 쿨러 차별함) (대신 저중에서 가장 뛰어난 전도율을 자랑합니다)
박문형 2024-08
다나와 다시 뒤져보니

써멀구리스 중에서 같은 모델이라도 정품이라고 파는 것이 있고 병행수입이라고 파는 것이 있는데 병행수입이 가격이 더 쌉니다..

할른지에 HY883 같은 경우 몇백원 짜리도 있습니다..(저도 3개인가 컴퓨존에서 구입하고 아직 사용은 못했습니다..)

병행수입품이 100% 정품이라고는 개인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직구 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국내에 수입되는 유명한 써멀구리스들은 보통 알리 같은 곳에서 다 검색되고 가격도 쌉니다..

그러나 정품인지 가품인지는 모른다고 봐야 할 듯합니다.. (개인적으로 직구도 안하지만 알리도 별로 안 좋아합니다..)


https://blog.naver.com/digiji1/221307863929

곰써멀 종류 소개입니다..
     
dateno1 2024-08
아에 중국이나 대만 회사제를 알리에서 산다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꽤 저렴하고, 나쁘지 않은 성능을 자랑합니다

물른 저런 내구성 측면까지 괜찮은지는 시험이 필요하겠지만, 한두대로 실험해보고 범위 넓혀서 정착하면 저렴한 모델 찾을 수 있을꺼에요


QnA
제목Page 104/5730
2014-05   5266967   정은준1
2015-12   1791890   백메가
2021-07   3150   막판대장
2016-09   4630   큐님
2020-03   4492   Balance
2015-10   3847   미라이
2009-06   6954   북극곰아들…
2020-03   3035   ArtsRommel
2015-10   4752   유정호샤콘느
2023-03   2083   나는안다
2015-10   6216   근육통
2019-02   4372   niecol
01-24   720   쭝2짱
2020-04   4697   김진영JK
2019-02   3052   미수맨
2017-11   4681   에이비시디
02-10   651   한중일
2015-11   8753   송진현
2023-03   2184   나우마크
2012-10   11178   이동관
2009-08   9811   씨형
2023-04   2219   AKA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