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048 |
25 |
2015-12
178904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105 |
0 |
2014-05
5264105
1 정은준1
|
112571 |
Dual WAN 방식에 대한 질문있습니다 (2) |
조스바 |
2015-06 |
3954 |
0 |
2015-06
3954
1 조스바
|
112570 |
DELL Precision 5820 OS Recovery 설치시 문의 (5) |
galaxyfamily |
2022-11 |
2768 |
0 |
2022-11
2768
1 galaxyfamily
|
112569 |
다수의 PC 컴퓨터 업데이트 (5) |
조병철 |
2015-06 |
4110 |
0 |
2015-06
4110
1 조병철
|
112568 |
dell 노트북 아답터 구매 (3) |
류류류 |
2018-10 |
3311 |
0 |
2018-10
3311
1 류류류
|
112567 |
기가바이트 ep45-ud3r 개조제온 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1) |
뉴클래식 |
2015-07 |
3783 |
0 |
2015-07
3783
1 뉴클래식
|
112566 |
윈도우 8은 어떻게 해야 완벽하게 관리자 로그인하나요? (1) |
윈도우10 |
2014-03 |
4411 |
0 |
2014-03
4411
1 윈도우10
|
112565 |
물리적 하드 디스크 장착 가능 갯수는 최대 몇개 인가요? (6) |
다롱이 |
2020-01 |
4805 |
0 |
2020-01
4805
1 다롱이
|
112564 |
스마트폰으로 보실때 화면 다 나오시는지요? (1) |
남경림 |
2021-04 |
2148 |
0 |
2021-04
2148
1 남경림
|
112563 |
이 기판 소생 가능할까요..? (6) |
Larry |
2022-12 |
2095 |
0 |
2022-12
2095
1 Larry
|
112562 |
일본방송 보는방법 아시는분 (1) |
BJH |
2017-08 |
4409 |
0 |
2017-08
4409
1 BJH
|
112561 |
안드로이드에서 특정 파일을 특정 어플에 실행 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
병맛폰 |
2020-01 |
3194 |
0 |
2020-01
3194
1 병맛폰
|
112560 |
시큐아이 NAT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7) |
Espial |
2018-11 |
6342 |
0 |
2018-11
6342
1 Espial
|
112559 |
국내 공유기에서 말하는 Twin IP나 SuperDMZ의 정식 기술 명칭이 있을까요? (17) |
민호양 |
2024-08 |
2287 |
0 |
2024-08
2287
1 민호양
|
112558 |
집에 유일한 TV가 고장났습니다.. AD보드 어떤녀석을 구매해봐야할까요.. ( 42LG50ED) (8) |
송진현 |
2018-11 |
5921 |
0 |
2018-11
5921
1 송진현
|
112557 |
그림 참고하세요 (5) |
박성만 |
2014-03 |
3580 |
0 |
2014-03
3580
1 박성만
|
112556 |
BitTorrent Sync 관련 질문... ^^ (3) |
딸기대장 |
2016-08 |
3869 |
0 |
2016-08
3869
1 딸기대장
|
112555 |
UPS와 node들의 전원 & 스토리지 (2) |
욕심쟁e |
2018-11 |
3186 |
0 |
2018-11
3186
1 욕심쟁e
|
112554 |
하드 어드밴스드 포맷의 장점? (6) |
Sikieiki |
2018-11 |
6271 |
0 |
2018-11
6271
1 Sikieiki
|
112553 |
AD를 배울 만한 곳 없을까요? (9) |
flexx |
2015-07 |
4287 |
0 |
2015-07
4287
1 flexx
|
112552 |
이러한 방화벽 설정이 가능할까요? (4) |
박준용 |
2014-03 |
6593 |
0 |
2014-03
6593
1 박준용
|
시스템을 묶는데에는 보통 소프트웨어가 중간에 필요한데 그 소프트웨어가 지원하는 연결방식이 어떠한가를 알아야 합니다..
물리적으로 연결해도 그것을 묶을수 있게 하는 방법이 없다면 물리적으로 연결하나 마나입니다..
여러대의 시스템을 연결하여 가상의 하나의 큰 시스템으로 만들어 그 성능을 이용하려고 할 때 ( 보통 클러스터링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LAN (이더넷) 방식보다 먼저 사용되었던 것은 인피니벤드입니다..
현재도 각 시스템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인피니벤드가 가장 빠른 연결 방법입니다..
연결하면 10G NIC 뜹니다
그리고 전송 프로토콜도 있어야 하고요
가장 익숙한 TCP/IP 체계로 하려고 많이 하죠
USB 4.0 등 요즘 세대 제품은 PCI-e 신호 출력 같은것도 되고 하니 훨씬 나을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아직 별로 써 보질 않아서 어느정돈진 잘 모르겠습니다만...
심지어 프린터포트를 서로 연결해서 통신하기도 했으니까요.
어떤 형태이든 지원하는 S/W 만 있다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근데 USB로 PC서로 연결하는 건 사실 생각하지도 못했네요.
AI한테 물어보니, 둘다 전기를 공급하는 호스트라 USB 일반 케이블로 연결하면 전기적 손상이 올 수도 있다고 합니다.
USB 케이블 중에 컨트롤러가 부착되서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이 가능한 케이블을 사용하라고 하는군요.
찾아보니 이런 제품이 있는 것 같습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2093092046
Type A는 말씀대로 호스트-디바이스 롤이 물리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Type A가 호스트고, Type B가 디바이스입니다. (이걸 안 지키는 제품은 사실 전부 비규격품입니다. Type A 달린 외장하드 케이스 같은 건 규격상 원래는 허용이 안 되는 물건..)
그래서 초기 mp3같은거 저걸로 붙였었죠
이것도 당시는 꽤 빠르고 신기했었습니다.
지금은 케이블 어디다 박아 두었는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가장 빠르게 하려면 PCIe to PCIe처럼 HCA형태로 가는게 좋기는 하겠죠. (이것도 단점이 일대일 연결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