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l PowerEdge R430 문의 드립니다.

caiser   
   조회 2237   추천 0    

저는 서버 관리자가 아닙니다. 행정 관리자 입니다.

업체에서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답변을 줘서 궁금함을 해결해 보고자 회원 가입 후 질문드립니다.


Dell PowerEdge R430 서버를 사용 주 입니다. 용도는 건물 에너지관리 데이터 저장용 서버 입니다. 7년 정도 사용했습니다. 

매월 데이터 사용량이 적산되지 않아서 업체에 문의해보니 저장 공간이 부족해서 적산이 시간대별로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용량을 증설하거나 서버를 교체해야 한다는데요. 행정관리자 입장에서 비용을 낮추는 쪽으로 해결을 하고 싶습니다.


1. Dell PowerEdge R430 는 1.6TB 2개, 1TB 2개 총 하드 4개로 구성된 제품으로 업체 말로는 레이드 0번 구성이라고 합니다. 0번 구성이면 OS가 설치된 하드 말고 나머지 하드도 용량에 포함되어 확인이 안되는거로 검색이 되는데요. 1테라 하드 용량이 확인되고 500기가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왜 공간이 부족해서 데이더 적산이 안된다고 한걸까요?

2. 서버랙이 공간이 많아서 Dell PowerEdge R430 서버 아래 1U 서버를 추가로 넣고 Dell PowerEdge R430와 연결해서 DB만 저장하는 서버를 붙일 수 있는지요? 이 방법이 가장 비용을 적게 들이고 저장 공간을 늘릴 수 있는 방법 같은데요. 


확인해 보니 레이드 구성은 0이 아니라 1로 되 있는 듯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4-08
일단 1테라라 뜬 시점에서 1일껍니다

용량 괜찮아보이는데요?

다른 볼름 있나요?
     
caiser 2024-08
이미지 첨부해서 수정해 드렸습니다.
          
dateno1 2024-08
둘 다 1같은데요?

С/D 양쪽 다 용량 여유 있다면 용량 부족이란거 구라고, 하나라도 차 있으면 그쪽이 모잘란겁니다
               
caiser 2024-08
제가 보기에도 레이드 1 같아 보이고요.
C 드라이브는 OS 설치된 곳인데 용량이 부족해 보기인 합니다.
D 드라이브는 44% 여유가 있어 보이고요. 업체가 거짓말을 한거 맞겠죠?
                    
dateno1 2024-08
하나라도 다 차가면 그게 원인일 수 있습니다
gmltj 2024-08
레이드 0 으로 할 필요가 있는지.... SSD 인것 같은데... 백업 받고 고용량 SSD 4테라 정도 1개로 넘어가는게 더 편할것 같습니다.... 1대 더 추가하려고 해도 그거 세팅을 하실줄 모르시면 업체에 맡겨야 되니....
     
caiser 2024-08
서버 전면부 왼쪽부터 1.6 SSD 2개, 1TB SATA 7200 2개가 꼽혀 있습니다. SSD가 레이드 구성이 되서 OS가 설치된 거 같은데요. .SATA 쪽 백업받고 용량 큰거로 세팅을 할 수 있는지요? OS가 윈도라서 DB도 SQL로 추정됩니다.
          
gmltj 2024-08
미리 백업 받은 상태에서.... 용량 큰 거를 장착하고 (hdclone 같은) 하드 클론 프로그램으로 레이드 0 에서 새 용량 큰 SSD 로 통째로 복사하면 될 것 같은데요....
     
dateno1 2024-08
서버니 1이 낫겠죠

저것도 아마 1이에요
          
gmltj 2024-08
용량을 보니 1이 맞네요.... 저 사진 올리시기 전에 글쓴이님은 레이드 0 이라고 하셔서....
박문형 2024-08
사용하기 나름이지만 보통 3년은 무상 AS 계약에 따라서는 5년까지 무상 AS가 되고 5년 정도 되면 대략 수명이 다 되어서 새로 서버를 바꾸는 것이 맞습니다..

기업용 HDD 수명도 대략 그렇게 됩니다..

4개의 HDD가 RAID 0 인지 2개의 HDD만 RAID 0인지 즉 전체적으로 어떻게 RAID가 셋팅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서버의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다른 서버나 시스템에 백업을 하시는지요??

데이터 날라가도 복구하려면 백업된 데이터가 필수 입니다..

문제인 결과가 안나온다는 것은 프로그램상으로 문제가 있거나 현재는 보이지 않지만 디스크 검사 같은 것을 하면 RAID가 깨지거나 배드 섹터가 나타날 소지가 있는데 그런 것 때문에 DB에 문제가 있거나 프로그램이 문제가 있어서 결과가 안나올수 있습니다..

RAID 0은 데이터 복구가 안됩니다.. 날라가면 끝 입니다..

DB가 저장되는 디스크가 1.6TB HDD 2개 라면 그리고 그것이 RAID 0이라면 그 디스크 볼륨은 3.2TB 일텐데 그 디스크 볼륨에 데이터가 꽉 차있다면 디스크 증설하는게 맞기는 합니다..

해당서버에 DELL에서 나온 외장 RAID 콘트롤러와 랙타입 외장 JBOD 디스크 박스를 설치하면 디스크 증설은 가능하나 비용이 꽤 나갈겁니다..
(아마 서버 새로 들이는 가격보다 더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SAS 12G 3.5인치 디스크 12개 들어가는 DELL에서 나온 랙타입 JBOD 박스와 거기에 맞는 4~8TB SAS디스크 4개 정도로 하드웨어 가격과 설치비 셋팅비 등을 견적내어 보시고 가격이 너무 비싸다면 3.5인치 디스크 12개 정도 들어가는 2U DELL 서버를 새로 알아보시고 프로그램 서버 이전 셋팅비 등과 함께 가격 알아보세요..
     
caiser 2024-08
상세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제 상식으로도 레이드0은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선생님 말씀대로 DB백업용 서버는 따로 없습니다. 이 부분고 고려하겠습니다.
서버 전면부 왼쪽부터 1.6 SSD 2개, 1TB SATA 7200 2개가 꼽혀 있습니다. 디스크 볼륨은 다시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현재 서버는 17년 10월 세팅되서 운영되는 서버 입니다.선생님 의견으로는 서버 신규로 용량 큰거 세팅해서 랙에 넣는게 지금으로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일까요?
          
박문형 2024-08
사용 연한도 그렇고

서버라는게 한번 셋팅해서 똑같은 것을 수십년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에

(보통 10년이 지나면 프로그램이 오래되어 못 사용하는 경우가 나옵니다.. 현재 PC에서 XP나 Win7 으로 업무하라고 하면 업무 못합니다..
최소 윈 10은 되어야죠..자체 제작된 프로그램이면 오래되면 개발자가 연락이 안되거나 만들어준 회사가 없어지거나 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 드린 2가지 방법중 디스크만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하던 오래된 서버가 고장나면 부품 수급이니 부터 해서 여러가지 골치 아프게 됩니다..

(서버 제조사가 제조한 서버의 부품을 수십년간 지원하지 않습니다.. 보통 단종후 5년 정도 중고라면 10년정도에서 구하면 다행입니다..)

따라서 2가지 방법의 견적을 내보시고 어느 것이 합리적인지 확인하고 그 쪽으로 가는 것이 맞습니다..

방향이 결정되고 작업을 할 때도 작업의 위험도가 있기에 (작업하는 업체에서 알아서 하지만 만의 하나 작업중 데이터 날려먹으면 짜증부터 납니다..)

데이터 백업부터 철저히 하시고 작업하세요..

데이터 백업을 하려고 해도 우선 그 데이터를 담을 디스크와 컴퓨터가 필요하게 됩니다..
          
박문형 2024-08
댓글로 보면 DELL R430 1U 3.5인치 디스크 4개까지 들어가는 서버에 디스크 4개가 설치되어 디스크 확장이 불가능한 상태로 보여집니다..

빈 디스크 베이가 있었다면 용량 큰 디스크를 2개 정도 더 넣어서 DB용 저장공간을 확보하고 그 쪽으로 데이터 복사나 이전 작업(마이그레이션 작업??)

을 하면 되는데 그렇게 할 수 있는 여유 자체가 없는 상태로 보여집니다..

서버 설치 및 구동 년수도 꽤 되어서 계속 사용하려한다면 오버홀 (전체 청소및 점검) 작업 같은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그리고 서버가 개인 것이 아니고 그런 작업을 본인이 못하시니 (사실 서버 관리자가 아니니 권한이나 책임도 없습니다..)

상황 채크 및 정리하여 기존 거래했던 업체를 불러서 각 상황에 따른 견적 내어보시고 어느 것이 합리적인지 검토해서 진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그냥 서버를 방치만 할 수도 없겠죠..
박문형 2024-08
만일 가능하시다면 그리고 서버의 OS가 윈도우즈라면 디스크 관리에 들어가셔서 어떤 디스크가 설치 되어 있는지 사진 캡춰해서 첨부해주세요..

그러면 대략 어떤 디스크가 설치 되고 어떻게 파티션이 되어 있는지 데이터는 얼마나 들어있는지 나옵니다..

https://blog.naver.com/vekio/220608631531

여기서 디스크 관리 와 내 PC 의 사진과 같은 것이면 됩니다..

디스크 관리 유틸리티는 파티션 제거, 포맷 같은 것이 가능하니 데이터 안날리게 조심해야 합니다..

아마 OS는 1TB HDD 2개로 DB 는 1.6TB HDD 2개로 해놓았지만 어떻게 RAID 가 구성되어 있는지는 모릅니다..
     
caiser 2024-08
이미지 첨부해서 수정해 드렸습니다.
박문형 2024-08
이미지 (사진) 확인하였습니다..

1.6TB DISK 2개 :  RAID 1 : 남은 용량 2% : 드라이브 C : 부팅 파티션과 C드라이브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OS와 DB 엔진 그리고 DB데이터까지 C드라이브에

                                                                              몰빵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1TB DISK 2개 : RAID 1 : 남은 용량 44% : 드라이브 D :  여기에 들어 있는 400GB 의 데이터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문제 발생시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백업일수 있고 아니면 DB 백업데이터일수도 있습니다..


납품/관리 업체에서 디스크 여유 용량이 없어서 데이터가 수집이 안된다고 하였다면 가장 적은 비용으로 재대로 돌아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 하고

역으로 문의해보세요... 아마 C드라이브를 용량 큰 것으로 바꿔야 한다느니 부터 시작할 겁니다..

그렇게 방안을 3가지 정도 마련하고 견적 받아보시고 합리적인 것으로 진행해보십시오..

그리고 속도 때문에 SSD를 사용한 것은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만 SSD가 고장나면 보통 전문 데이터 복구업체에서도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데이터 백업이 중요합니다.. 재대로 하려면 3차 백업까지 독립적인 장비에 하면 좋지만 비용도 만만하지 않고 관리도 쉽지 않습니다..
푸른소나무 2024-08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가 아니고 건물 데이터 저장용 서버라 dell r430이면 성능 충분하고, 레이드1 이면 안전성도 확보된 상태. 디스크 깨질까봐 레이드1로 묶는 거니까요. 디스크만 살아있으면 서버야 뭐.. 내구연한은 크게 걱정할 필요 없을 거 같고요.

다만, C드라이브에 full이 난게 의아한데.. 왜 D드라이브를 저장용 디스크로 안쓰고 C를 저장 디스크로 세팅했는가 하는 점. C에 데이터를 쌓는 것인지, 로그 같은 걸 쌓는 것인지 확인 필요할 것 같고요.

아무튼 가장 저렴한 해결 방법부터 나열해 드리겠습니다.
1. c드라이브의 데이터를 외부(외장) 디스크에 백업한 후 데이터 삭제하여 용량 확보하면 끝.

2. d드라이브용 디스크 4T 이상 되는 거 2개 사서 새로 레이드1로 구성해서 붙이고 c드라이브에 저장되던 것을 d에 저장되게 해달라고 변경요청 하면 끝.

3. c드라이브용 디스크 4T 이상 되는 거 새로 레이드1로 구성하고, 기존 c드라이브를 이미지 백업해서 그대로 새디스크에 복제. (이 경우 같은 용량이 아니면 복제하기가 어려운데 특정 Tool을 쓰면 가능.)

4. 새서버, 넉넉한 새디스크에 새로 프로그램 설치 및 세팅 후 사용.
     
caiser 2024-08
댓글 감사합니다.
R430 서비스택 번호와 서비스코드 번호로 델 기술지원 문의 결과 확장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기존 1TB 레이드 1번은 탈거 후 7TB 교체로 제한이 걸리지만요) 업체가 서버 팔려고 용량 증설 안된다고 한거 같은데... 뭐 본인도 델 서비스 문의하니 1TB 탈거하고 용량 증설이 안될거라 답변 받았다고 하니 더이상 뭐라 하기도 그렇네요.

내부 사용 데이터 정리라서 다른 업체에서 손 대기 모호한 부분이 있어서 그 업체에서만 진행해야 하는 특수성(신뢰기 이미 깨진 상태라서요 ^^)
1. 과거 데이터베이스 신규 서버 PC 이전 및 복원
2. 임시저장 데이터 베이스 신규 서버 PC 이전 및 복원
3. 과거 데이터와 신규 데이터의 결합, 복원 작업
4. 전체 복원후, BEMS 데이터 정상 동작 확인
5. 에너지 분석 주요 데이터 (가동시간, 지역난방) 데이터 정합성 검토
6. 이상 데이터에 대한 필터링 처리
7. 필터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재취합 처리
조건으로 1100만원 견적 들어왔는데(서버값은 제외)

서버 D를 빼서 용량 증설하는 조건이면 1번 ~ 7번 중 빼달라고 요청할만한 조건이 있을까요?
          
푸른소나무 2024-08
R430은 저도 사무실 땅바닥에 그냥 던져두고 쓰는 장비라 뭐 대단할 것도 없습니다. 물론 델에 문의하면 이러쿵저러쿵 하겠지만 솔직히 레이드카드와 디스크의 교체가 그렇게 까다롭진 않다는 말씀입니다. 물론 엔지니어가 아니면 좀 어려운 거고요.
1~7번은 db 마이그레이션 할 때 늘상 하는 거라 넣고 빼고 할 게 없습니다. 해야할 일의 스텝을 나열하면 저러니까요.
한가지 생각해 볼 것은 첫째 "전용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수집가공하여 db에 저장하는 시스템인가?" 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해당 프로그램은 제작한 업체 외엔 손을 댈 수가 없고 db도 당연히 업체에 종속성이 생깁니다.
다만 소프트웨어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저장소 개념으로만 디스크를 확장하는 것은 어렵지도 않고, 비용도 그렇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말씀이고 질문의 시작인 디스크 용량, 레이드 차원을 넘어 프로그램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면 보지 않고는 말하기 어려워지죠.

프로그램을 들여다봤을 때 단순한거면 db이관도 간단해지고
개발사 외에 어떤 것도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고차원(?)의 시스템이라면 울며겨자먹기로 달라는대로 지불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좋게 좋게 이야기해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caiser 2024-08
선생님 말씀대로 BEMS 업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수집한 DB를 수집해서 저장하고 있습니다. 잘 달래가면서 네고가 가능한지 협의를 해 봐야 겠습니다. 댓글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4-08
그 업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라고 봐야 하고 따라서 다른 업체가 손 댈수가 없다고 봅니다..

다른 업체가 들어온다는 것은 처음부터 새로 구축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시간과 여유가 있다면 다른 곳의 견적을 받고 검토가 가능하나 그럴 시간과 여유는 없어 보입니다..)

1~7번의 작업은 사용하던 서버가 증설되던지 새로 구축을 해도 어짜피 해야 할 작업으로 보여지고 하나라도 빠진다면 재대로 동작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caiser 2024-08
매번 자세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102/5731
2015-12   1792846   백메가
2014-05   5267830   정은준1
2023-12   1383   화란
2024-07   1383   song05
2023-09   1384   rlaalstjr203
2024-09   1384   Haizen
2023-03   1384   스쿱
2024-12   1386   osthek83
2024-03   1386   미담
2024-08   1386   항공모함
2023-12   1386   워니님
2024-08   1386   NGC
2023-12   1386   액체와컴퓨터
2024-06   1386   불멸의샌디…
2024-11   1386   새로운차원
2022-08   1386   EYESSHOT
2024-04   1389   신은왜
2024-09   1389   이승익
2022-05   1390   삐돌이슬픔이
2024-08   1390   무쏘뿔처럼
2024-07   1390   슬러그94
2023-12   1391   이매망량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