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 SSD 어떤가요?

무법자   
   조회 1974   추천 0    

SAS가  서버 전용이라서...  일반 유저가 쓸일은 없는데...

가끔씩 SAS를 써보고 싶긴 하거든요...


nvme 가 아니라  SATA SSD도 어느정도 만족하는 입장에선  SAS SSD도 은근히 땡기네요


근데 SAS SSD 성능은 얼마나 나올까요?  SATA SSD에 비해  벤치마크 속도는 얼마나 나올지

SAS 대역폭을 다 쓰는지가 궁금하더군요 


검색해보면 IO 수치로만 나와서 감은 잘 안잡히는데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같은걸로 돌리면 1000 MB/S 정도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4k 랜덤 성능도 궁금


일반 PC에서는 SAS 슬롯이 없어서 PCIE  SAS 컨트롤러인 9300-8i 를 사서 연결하면 충분히 쓸만한지 궁금해지네요 


ps

제품에 따라 성능은 달라질수 있으니

중고 장터에 나온 이 제품 성능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https://www.2cpu.co.kr/sell/604279?&sfl=wr_subject&stx=8TB&sop=and


(The 프로그래머)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8
SATA는 6G 까지 있지만 SAS는 12G 까지 있습니다..

이것은 순전히 대역폭이고요.. 실 성능은 제품마다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같은걸로 돌리면 1000 MB/S 정도 나오는지

=> 이것은 좀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속도는 개인적으로 NVME의 영역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성능이 이렇고 저렇고 하는 것보다 중고제품은 중고 시장에서 가끔 보이지만 리테일 시장에서 새 제품은 구하기가 힘들 겁니다..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SAS SSD도 U.2 NVME에 성능에 밀리고 최신 서버들은 SATA /SAS를 없애가는 추세이기에 시간이 지나면 잘 쓰이지 않는 아이템으로

둔갑할 수 있습니다..
     
무법자 2024-08
https://www.2cpu.co.kr/sell/604279?&sfl=wr_subject&stx=8TB&sop=and
이 제품 성능은 어느정도 될지 궁금하더라고요

U.2 제품이 더 좋은건 알지만.... U.2 컨트롤러가 좀 비싸더라고요... (여러개 달고 싶을때 )
          
박문형 2024-08
U.2 는 시스템이 받쳐주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최소 인텔 스케일러블 1세대 이상은 되어야 되죠..
               
무법자 2024-08
PCIE 및 sata 슬롯이 부족해서 SSD를 더 늘릴수가 없더라고요.
9300-8i 로 슬롯을 늘린후  SAS SSD를 써보면 어떨까 생각중이어서 질문 드린거였습니다.
박문형 2024-08
삼성 PM1633A네요..

https://www.anandtech.com/show/10533/samsung-expands-its-pm1633a-lineup-as-1536-tb-ssd-hits-retail-for-10k

기사는 2016년도에 만들어졌습니다..

성능에 대해서는 따로 검색해보세요..
     
무법자 2024-08
PM1633A 보니 읽고 쓰기가  1200 MB/S  900 MB/S  면 괜찬은거  같네요

1000 MB/S 되도 솔직히 만족할거 같았는데...

요즘 SATA 슬롯도 꽉차고 PCIE 슬롯도 꽉차서 ,  9300-8i 컨트롤러 구입해서 PCIE에 붙이고  SSD를 추가해볼까 생각중이었거든요
근데 기왕이면 SATA 보다 빠른게 써보고 싶어져서요...

링크건 1633A 제품이면  제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만한 제품 같습니다...
GEUN 2024-08
고속 NVME규격이 M2,U2 등으로 대중화된 지금의 상황에, 성능으로 따지고 들어간다면 SAS보다는 NVME 기반 드라이브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현시점 어느 플랫폼이나 다 들어맞고 드라이브꽂으려고 레이드카드등을 꽂을 필요가없습니다.

갖고있는 12G SAS카드가 있다면 집어볼법도하지만 12G SAS 드라이브를 위해서 12G SAS카드를 산다는건..
     
무법자 2024-08
알리를 보니 9300-8i가  8-9만원이고  이거 하나면  8개의  SAS/SATA 슬롯이 늘어나니까  나쁘지 않습니다

SATA 및 PCIE 슬롯이 가득차서요 

기존 PCIE X4 에 붙어 있는  삼성 U.2  4TB짜리를 PCIE X 1로 옮기고    9300-8i를 달아서 8개의 SSD 슬롯을 확보할까 생각중이었거든요
박문형 2024-08
만일 가능하시다면 9300-16i 카드도 괜찮습니다..

16CH 정도 되면 모든 SATA/SAS 디바이스들을 카드 하나에 몰아 버릴 수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freeboard_2011/1697181
     
무법자 2024-08
그리고보니 괜찬네요...

SATA도 6개쓰는데 부족하고  nvme 및 PCIE 슬롯도 X570 arous elite 쓰는데 부족하고....

SSD 확장하고 싶은데 방법을 찾지 못하다가... LSI 9300-8i 쓸거면 SAS SSD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알리에서 보니까 9300-16i가  10만원정도 하네요...

고질적인 nvme / PCIE / SATA 슬롯 부족으로 인해  확장에 너무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는데.....
9300-16i 면 오....  왜 이 생각을 지금까지 못했는지 후회할정도로... 괜찬은듯 싶네요
제온프로 2024-08
SAS SSD 12G 의 속도
읽기 1100MB/s
쓰기  800MB/S
대략 이정도 나옵니다.  SATA의 2배 정도 나옵니다.
     
무법자 2024-08
nvme 써도 어차피 체감은 잘안되고 슬롯이 부족해서.... 좀 그렇더군요

그래서 SATA쪽으로 SSD를 많이 늘렸습니다 (870 EVO로도 만족스러웠는데 ... 그래도 속도가 조금 아쉽긴 하더군요.. SATA  6개 슬롯도 가득참)

말씀하신것처럼 SAS SSD 쓰면 두배정도 나오니....  괜찬을거 같은 느낌이네요

혹시 4k랜덤 성능은 어느정도 나오는지 아시는지...
          
제온프로 2024-08
그렇죠... 체감.. 속도..

SAS SSD는 내구성이 가장 강점입니다 수명이 20 Peta (예:: 800GB)가 넘어서..
보통 SATA와 M.2의 20배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스토리지에 많이 사용하죠..

U.2 보다 수명이 길고.... Raid 전략을 세울 수 있어..
고속스토리지는 대안이 없죠... SAS SSD 말고는

빠르고 싼거 원하시는 분들은 M.2를 쓰죠..... 후회도 하고..
기업에서는 M.2 를 쓸 수는 없습니다 ..수명이 너무 짧으니...U.2 / U.3 를 쓰는거죠.
dateno1 2024-08
SATA보단 낫지만 가성비가 꽝입니다

거기다 성능만 따지면 PCIe로 직결되는 타입에 비해 많이 뒤쳐집니다
     
무법자 2024-08
솔직히 서버용이라 SAS 컨트롤러를 구입해야하는것부터  SAS는 매우 제한적인 선택지입니다
그걸 다 감안해서 선택하는것이죠...

NVME 및 PCIE 슬롯은 부족하고 SATA보단 빠르기 원한다면 SAS라는 선택지도 가지고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dateno1 2024-08
SAS 컨트롤러 박을자리에 AIC 대용량 1개 박은후 파티션 나누어서 다 때우는게 성능이랑 가성비 다 유리할 수 도 있습니다

단점 꼽으라면 RAID가 아닌 단일 디스크니 좀 취약해지긴하겠네요

보통 SAS x8이니까 U.2 2개나 AIC 2개, x8용 AIC 1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박문형 2024-08
U80 SCSI 부터 만져온 저로써는 SAS라는 것은 HDD부터 생각이 납니다..

지금은 SSD 때문에 거의 망했다라고 볼 수 있는 10K  2.5인치 SAS HDD를 아직 부팅디스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제 시스템에서는 HDD만 있고 SSD는 없습니다.. (간단한 테스트용으로는 있지만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머 그래서 부팅 시간은 좀 시간이 걸리고 하지만 제가 사용하는 환경내에서는 아직 충분합니다..

단지 시간이 지나면 용량이 좀 되는 HDD가 필요하다는게 어쩔수 없다는 것이네요..
     
무법자 2024-08
저도 저장용으로는  HDD를 쓰는중입니다 ^^; 
다만 작업용으로는 SSD하고 비교할순 없어서...
고장율도 삼성 SSD 자료를 보면 HDD에 비해 1/10 정도라고 소개하고 있더라고요
2민호 2024-08
제가 사용하고있는 HSUMM1680이 랜덤 4K R:480~500MB/s W:370~400MB/s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4대의 호스트에 4개씩 R5해서 사용중입니다.
요즘 중고 U.2 NVMe 디스크가 저렴해지고 있는데.. SAS SSD로도 제 기준에선 만족하고, HPE G10 NVMe 파츠가 비싼편이라 당분간 업그레이드 계획은 없습니다.

물론 화웨이(V5)나, 인스퍼(M5)를 사용하신다면 U.2 NVMe SSD도 괜찮은 선택지입니다. 파츠가 저렴합니다.
     
무법자 2024-08
검색은 안되는 제품이긴한데... 참고가 되었습니다.
          
2민호 2024-08
아 오타를 냈습니다........... HUSMM1680입니다. 생긴게 실버바같이 생겼습니다.
     
김현린 2024-08
혹시 말씀하신 랜덤 4k가 몇q에 몇t 인지 알수있을까요?
박문형 2024-08
HSUMM1680 은 HGST Ultrastar SSD1600MM 씨리즈 중 하나의 모델명으로 보시면 됩니다..

히타치 SSD가 옛날에는 기업용 SSD로 유명했던 제품입니다..
영산회상 2024-08
제가 레이드 카드로 일반 데탑에서 sas ssd 써봤는데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떤 메인보드에서는 인식하고 어디서는 인식 못하더군요...
왜 그런지 모르겠어서 결국 처분했습니다...
     
무법자 2024-08
그러면 안되는데... 살짝 불안하네요
미담 2024-08
제가 SAS SSD 레이드로 몇년 사용해 왔고 지금 U.2도 사용중인데요
저는 부하가 별로 안걸려 그런지 속도 차이를 못 느끼겠습니다.
가격도 고만고만하고요.
어떻게 이베이에서 구입한지 몇년이 지났는데 가격은 오히려 더 비싸지네요.
서버 부품들은 본래 그런건지....
발열은 SAS가 현저하게 적어 그 점은 좋네요.
프리모캐시 세팅을 하면 눈이 뒤집어 질 정도로 빨라지더군요. 벤치에서.
체감은....
     
무법자 2024-08
써보고 리뷰 한번 남겨 볼까 생각중입니다
술이 2024-08
SSD는 4K 속도가 좌지우지 해서 NVME가 대역폭 크고 빠르다고 한들 실제 체감은 레이드로 물렸을때는 거이 동일합니다.
한개 갖고는 당연 NVME가 낳겠지만 그래도 4K만 비교하면 고만고만 합니다. 서버 액세스 속도는 대용량 파일을 순식간에 넘기는 경우는 드물고 DB 같은 경우는 4K속도가 빠르면 액세스 속도도 많이 빠릅니다.

최근에 서버에 적용한게 SSD 미러로 구성하고 속도가 약간 아쉬우니 NVME를 캐쉬로 넣고 여기서 2프로 아쉬우니 메모리를 더 캐쉬로 넣어서 빠르게 쓰기는 합니다.


QnA
제목Page 337/5706
2015-12   1666804   백메가
2014-05   5132145   정은준1
2023-04   1865   RuBisCO
2024-07   1865   김황중
2022-11   1866   싱국날강도
2022-08   1866   씨엔
2023-06   1866   류승완
2022-08   1866   kino0924
2021-07   1866   Psychophysi…
2023-05   1866   stones
2022-08   1866   모어쿨
2021-06   1866   AMD빌런
2022-02   1867   Sakura24
2021-11   1867   수줍은망고
2022-11   1867   일론머스크
2023-02   1867   민사장
2024-07   1867   백룡
2022-11   1867   김놈주
2022-02   1867   langrisser
2024-06   1867   컴박
2024-04   1867   VSPress
2023-04   1867   김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