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8 |
알리나 중국 구매대행업체에사 파는 14TB 하드드라이브 믿을만한가요? (12) |
audacity |
2024-11 |
1680 |
0 |
2024-11
1680
1 audacity
|
1277 |
혹시 INSPUR NF5280M5에다가 SATA든 M.2든 SSD 증설해보신분 있으실까요? (9) |
항공모함 |
2024-11 |
1101 |
0 |
2024-11
1101
1 항공모함
|
1276 |
PC케이스 중에서 하드 많이 들어가는 케이스는 뭐가 있을까요? DAS랑 메인보드 직결 … (8) |
마나아 |
2024-11 |
2050 |
0 |
2024-11
2050
1 마나아
|
1275 |
LITEONIT LCS 256M6S 2.5 7MM 바꾸고싶은데요 (5) |
겉절이 |
2024-11 |
986 |
0 |
2024-11
986
1 겉절이
|
1274 |
오토 캐드 이지만 현존하는 컴퓨터 사양중에 구성을 한다고 하면 (14) |
신은왜 |
2024-11 |
1383 |
0 |
2024-11
1383
1 신은왜
|
1273 |
proxmox 에서 pfsense vm 생성후 + ubuntu vm or ct ?? (2) |
냐미냐미 |
2024-11 |
1535 |
0 |
2024-11
1535
1 냐미냐미
|
1272 |
Dell 7960 타워 하드드라이브 추가 질문입니다. (10) |
이푸우 |
2024-11 |
881 |
0 |
2024-11
881
1 이푸우
|
1271 |
SAS4 24G JBOD BOX (3) |
박문형 |
2024-11 |
924 |
0 |
2024-11
924
1 박문형
|
1270 |
인텔 울트라 285K 크리스탈 디스크 벤치마크 (6) |
뚜뚜김대원 |
2024-11 |
812 |
0 |
2024-11
812
1 뚜뚜김대원
|
1269 |
요즘에도 GPU 없는 완제서버가 좀 나오나요..?? (7) |
hyunsa |
2024-11 |
968 |
0 |
2024-11
968
1 hyunsa
|
1268 |
중국산 ssd 품질? 스펙? 문제 (9) |
김민수2 |
2024-11 |
1303 |
0 |
2024-11
1303
1 김민수2
|
1267 |
u2 사이즈가 얼마일까요? (15) |
나라사랑 |
2024-11 |
1067 |
0 |
2024-11
1067
1 나라사랑
|
1266 |
FAN 40mm 13000RPM 소음 감소 방법 문의 (9) |
흥마 |
2024-11 |
968 |
0 |
2024-11
968
1 흥마
|
1265 |
구형 amd 서버 sata 속도가 너무 안나옵니다. (7) |
김한국2 |
2024-11 |
1106 |
0 |
2024-11
1106
1 김한국2
|
1264 |
게시판이동) 사진 有: 서울 내 리눅스 유지보수 업체 있을까요 연구실 컴터가 고장낫… (21) |
transpose |
2024-11 |
1259 |
0 |
2024-11
1259
1 transpose
|
1263 |
뇌를 컴퓨터에 이식하려면 사양이 어느정도여야 할까요? (9) |
소이치로 |
2024-11 |
977 |
0 |
2024-11
977
1 소이치로
|
1262 |
pmr, epmr (5) |
미담 |
2024-11 |
1118 |
0 |
2024-11
1118
1 미담
|
1261 |
M/B Bios에서 연결된 S-ATA 순서를 확인할 수 없을 때 확인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3) |
신우섭 |
2024-11 |
1520 |
0 |
2024-11
1520
1 신우섭
|
1260 |
파워를 켜면 pcie ssd가 인식이 안됩니다. (3) |
YJ12 |
2024-11 |
1290 |
0 |
2024-11
1290
1 YJ12
|
1259 |
M.2 WLAN에 사용된 슬롯의 정확한 명칭 알려주세요. (19) |
신우섭 |
2024-11 |
1238 |
0 |
2024-11
1238
1 신우섭
|
이것은 순전히 대역폭이고요.. 실 성능은 제품마다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같은걸로 돌리면 1000 MB/S 정도 나오는지
=> 이것은 좀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속도는 개인적으로 NVME의 영역이라고 생각됩니다..
문제는 성능이 이렇고 저렇고 하는 것보다 중고제품은 중고 시장에서 가끔 보이지만 리테일 시장에서 새 제품은 구하기가 힘들 겁니다..
개인적으로 보기에는 SAS SSD도 U.2 NVME에 성능에 밀리고 최신 서버들은 SATA /SAS를 없애가는 추세이기에 시간이 지나면 잘 쓰이지 않는 아이템으로
둔갑할 수 있습니다..
이 제품 성능은 어느정도 될지 궁금하더라고요
U.2 제품이 더 좋은건 알지만.... U.2 컨트롤러가 좀 비싸더라고요... (여러개 달고 싶을때 )
최소 인텔 스케일러블 1세대 이상은 되어야 되죠..
9300-8i 로 슬롯을 늘린후 SAS SSD를 써보면 어떨까 생각중이어서 질문 드린거였습니다.
https://www.anandtech.com/show/10533/samsung-expands-its-pm1633a-lineup-as-1536-tb-ssd-hits-retail-for-10k
기사는 2016년도에 만들어졌습니다..
성능에 대해서는 따로 검색해보세요..
1000 MB/S 되도 솔직히 만족할거 같았는데...
요즘 SATA 슬롯도 꽉차고 PCIE 슬롯도 꽉차서 , 9300-8i 컨트롤러 구입해서 PCIE에 붙이고 SSD를 추가해볼까 생각중이었거든요
근데 기왕이면 SATA 보다 빠른게 써보고 싶어져서요...
링크건 1633A 제품이면 제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킬만한 제품 같습니다...
갖고있는 12G SAS카드가 있다면 집어볼법도하지만 12G SAS 드라이브를 위해서 12G SAS카드를 산다는건..
SATA 및 PCIE 슬롯이 가득차서요
기존 PCIE X4 에 붙어 있는 삼성 U.2 4TB짜리를 PCIE X 1로 옮기고 9300-8i를 달아서 8개의 SSD 슬롯을 확보할까 생각중이었거든요
16CH 정도 되면 모든 SATA/SAS 디바이스들을 카드 하나에 몰아 버릴 수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freeboard_2011/1697181
SATA도 6개쓰는데 부족하고 nvme 및 PCIE 슬롯도 X570 arous elite 쓰는데 부족하고....
SSD 확장하고 싶은데 방법을 찾지 못하다가... LSI 9300-8i 쓸거면 SAS SSD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알리에서 보니까 9300-16i가 10만원정도 하네요...
고질적인 nvme / PCIE / SATA 슬롯 부족으로 인해 확장에 너무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는데.....
9300-16i 면 오.... 왜 이 생각을 지금까지 못했는지 후회할정도로... 괜찬은듯 싶네요
읽기 1100MB/s
쓰기 800MB/S
대략 이정도 나옵니다. SATA의 2배 정도 나옵니다.
그래서 SATA쪽으로 SSD를 많이 늘렸습니다 (870 EVO로도 만족스러웠는데 ... 그래도 속도가 조금 아쉽긴 하더군요.. SATA 6개 슬롯도 가득참)
말씀하신것처럼 SAS SSD 쓰면 두배정도 나오니.... 괜찬을거 같은 느낌이네요
혹시 4k랜덤 성능은 어느정도 나오는지 아시는지...
SAS SSD는 내구성이 가장 강점입니다 수명이 20 Peta (예:: 800GB)가 넘어서..
보통 SATA와 M.2의 20배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스토리지에 많이 사용하죠..
U.2 보다 수명이 길고.... Raid 전략을 세울 수 있어..
고속스토리지는 대안이 없죠... SAS SSD 말고는
빠르고 싼거 원하시는 분들은 M.2를 쓰죠..... 후회도 하고..
기업에서는 M.2 를 쓸 수는 없습니다 ..수명이 너무 짧으니...U.2 / U.3 를 쓰는거죠.
거기다 성능만 따지면 PCIe로 직결되는 타입에 비해 많이 뒤쳐집니다
그걸 다 감안해서 선택하는것이죠...
NVME 및 PCIE 슬롯은 부족하고 SATA보단 빠르기 원한다면 SAS라는 선택지도 가지고 있으면 좋지 않을까요?
단점 꼽으라면 RAID가 아닌 단일 디스크니 좀 취약해지긴하겠네요
보통 SAS x8이니까 U.2 2개나 AIC 2개, x8용 AIC 1개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SSD 때문에 거의 망했다라고 볼 수 있는 10K 2.5인치 SAS HDD를 아직 부팅디스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제 시스템에서는 HDD만 있고 SSD는 없습니다.. (간단한 테스트용으로는 있지만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머 그래서 부팅 시간은 좀 시간이 걸리고 하지만 제가 사용하는 환경내에서는 아직 충분합니다..
단지 시간이 지나면 용량이 좀 되는 HDD가 필요하다는게 어쩔수 없다는 것이네요..
다만 작업용으로는 SSD하고 비교할순 없어서...
고장율도 삼성 SSD 자료를 보면 HDD에 비해 1/10 정도라고 소개하고 있더라고요
요즘 중고 U.2 NVMe 디스크가 저렴해지고 있는데.. SAS SSD로도 제 기준에선 만족하고, HPE G10 NVMe 파츠가 비싼편이라 당분간 업그레이드 계획은 없습니다.
물론 화웨이(V5)나, 인스퍼(M5)를 사용하신다면 U.2 NVMe SSD도 괜찮은 선택지입니다. 파츠가 저렴합니다.
히타치 SSD가 옛날에는 기업용 SSD로 유명했던 제품입니다..
왜 그런지 모르겠어서 결국 처분했습니다...
저는 부하가 별로 안걸려 그런지 속도 차이를 못 느끼겠습니다.
가격도 고만고만하고요.
어떻게 이베이에서 구입한지 몇년이 지났는데 가격은 오히려 더 비싸지네요.
서버 부품들은 본래 그런건지....
발열은 SAS가 현저하게 적어 그 점은 좋네요.
프리모캐시 세팅을 하면 눈이 뒤집어 질 정도로 빨라지더군요. 벤치에서.
체감은....
한개 갖고는 당연 NVME가 낳겠지만 그래도 4K만 비교하면 고만고만 합니다. 서버 액세스 속도는 대용량 파일을 순식간에 넘기는 경우는 드물고 DB 같은 경우는 4K속도가 빠르면 액세스 속도도 많이 빠릅니다.
최근에 서버에 적용한게 SSD 미러로 구성하고 속도가 약간 아쉬우니 NVME를 캐쉬로 넣고 여기서 2프로 아쉬우니 메모리를 더 캐쉬로 넣어서 빠르게 쓰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