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4581 |
25 |
2015-12
176458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166 |
0 |
2014-05
5239166
1 정은준1
|
107654 |
Xilinx 싱글보드 컴퓨터 펌웨어 업데이트 후 먹통 문제 (13) |
Psychophysi… |
2023-06 |
2017 |
0 |
2023-06
2017
1 Psychophysi…
|
107653 |
MSI H510M-A PRO 메인보드 메모리 호환 질문입니다. (5) |
galaxyfamily |
2023-11 |
2017 |
0 |
2023-11
2017
1 galaxyfamily
|
107652 |
가상머신을 구축하려 하는데 질문이 있어요. (7) |
푸르린 |
2023-02 |
2017 |
0 |
2023-02
2017
1 푸르린
|
107651 |
NVMe 장착 개수 질문 (4) |
궁그메 |
2022-05 |
2017 |
0 |
2022-05
2017
1 궁그메
|
107650 |
보드가 IPMI 진입은 되는데 부팅이 안됩니다. (5) |
정진호군 |
2024-08 |
2017 |
0 |
2024-08
2017
1 정진호군
|
107649 |
VPN WIREGUARD 세팅 질문 (2) |
정상억 |
2022-12 |
2017 |
0 |
2022-12
2017
1 정상억
|
107648 |
모바일 게임을 위한 가상화 질문드립니다. (4) |
치킨좋아요 |
2023-08 |
2017 |
0 |
2023-08
2017
1 치킨좋아요
|
107647 |
지금 아웃룩으로 gmail pop3 메일 받아지나요? (14) |
시도니 |
2022-06 |
2017 |
0 |
2022-06
2017
1 시도니
|
107646 |
오프라인 pc 윈도우 업데이트 및 드라이버 질문드려요 (11) |
르랏 |
2023-12 |
2018 |
0 |
2023-12
2018
1 르랏
|
107645 |
오래된 컴퓨터 파워가 뜰락날락하는 상황은 파워 노화+사망일까요? (11) |
VSPress |
2023-05 |
2018 |
0 |
2023-05
2018
1 VSPress
|
107644 |
헤놀로지에 쓰이는 grub 버전?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2) |
이천풍 |
2021-10 |
2018 |
0 |
2021-10
2018
1 이천풍
|
107643 |
맥북 크롬 북마크 폴더를 누르면 폴더안의 모든 북마크가 열립니다!! (2) |
공백기 |
2021-12 |
2019 |
0 |
2021-12
2019
1 공백기
|
107642 |
ssd 복구 가능성 경험치 질문 합니다. (6) |
Noman |
2023-07 |
2019 |
0 |
2023-07
2019
1 Noman
|
107641 |
가상 Fax프로그램 추천 요청(feat Tiff To PDF) (3) |
정의석 |
2023-11 |
2019 |
0 |
2023-11
2019
1 정의석
|
107640 |
노트북에 사용되는 CPU가 궁금해졌습니다 (12) |
NiteFlite9 |
2024-01 |
2019 |
0 |
2024-01
2019
1 NiteFlite9
|
107639 |
리눅스에 PPTP VPN설치 오류.... (7) |
라이카 |
2023-01 |
2019 |
1 |
2023-01
2019
1 라이카
|
107638 |
Pc에서 pcie x8 핀 10기가 랜 사용 (21) |
비익조 |
2024-07 |
2019 |
0 |
2024-07
2019
1 비익조
|
107637 |
NAS용 HDD 누가 더 나을까요? |
thdnice |
2019-12 |
2020 |
0 |
2019-12
2020
1 thdnice
|
107636 |
컴퓨터 수리점에서만 켜지는 컴퓨터 (17) |
foreverbeta |
2022-08 |
2020 |
0 |
2022-08
2020
1 foreverbeta
|
107635 |
zfs 질문드립니다 (10) |
fLog |
2022-11 |
2020 |
0 |
2022-11
2020
1 fLog
|
저 많은 선들이 전화선은 없고 다 인터넷 랜선이라면 스위치허브로 대처는 가능한데 포트수가 좀 많아서 저기에 맞는 사이즈의 스위치 허브는
좀 구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전압측정기로 다 측정해봐도 아직은 정상이더라구요..ㅠ
사진 보니 48V 1A제품인데 부하가 안걸린 상태에서 전압을 재어보는 것은 사실 의미가 없습니다..
실제 부하 걸어 보면 전압이 낮아지거나 장비가 전류를 더 먹어 아답터가 열이 나거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일 저라면 정격 48V 3A 정도 되는 아답터를 연결해 볼 것입니다.. (문제는 전압과 전류가 높은 아답터는 가격이 꽤 나간다는 것이죠..)
댁내에서 누전이 들어올수도 있을꺼구요. 하나씩 다 떼서 테스트 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주기적으로 고장나면 파워문제가 아니라 신호라인에 규정 이상의 전기가 계속 들어오는게 아닐까 합니다.
아니면 관리사무소에 문의 해 보시는것도 추천합니다.
다른 몇가지 회사제품 찾아봐도 10/100 밖에 스위치가 지원하지 않고 (통신 1등급이 10/100 인가 봅니다..)
기가비트 스위치 달린 제품은 저 회사 제품밖에 없어 보입니다..
정 안되면 국선만 사용하고 스위치는 네트워크 장비용으로 바꿔 버리는 방법 같은 것도 고민해보세요..
단자함이 통풍이 잘 안되어 열이 나면 기기가 빨리 죽을 수 밖에 없을 듯합니다만 매년 20여만원씩 투자하는 것은 아깝다라고 생각됩니다..
기존 멀티플렉스는 유선전화 회선으로 사용하고 광케이블을 UTP로 전환(광컨버터)해서 그 케이블을 공유기에 연결해서 사용하여 분리 사용합니다.
구글에서 광컨버터를 보시면 여러가지가 있으니 댁의 광커넥터에 맞는 장치를 설치하면 됩니다.
이런것만 수리하는 회사도 있더군요. 검색어 [아파트 멀티플렉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