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포트 SAS는 어떤걸까요?

무법자   
   조회 1659   추천 1    

SAS SSD인데  2100 MB/S 제품이 있더군요

울트라스터 SS300

http://www.it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83349


SAS 12G는 봤지만  1200 MB/S  정도일텐데   2100 MB/S 가  나올수가 없어서봤더니...

듀얼포트 SAS라고 하는거 같았습니다.


그래서 보니  Mini SAS HD 에   U.2 케이블을 쓴다고 본거 같은데 확실하지가 않네요


9300-8i는  NVME는 지원안하지만 SAS는 지원하기에  이것은 되지 않나 싶거든요

근데 이 u.2 케이블을 쓰는게 맞나 싶더군요


이 U.2 케이블을 써서 듀얼포트 SAS를 사용하는걸까요?



검색해보니  이런 인터페이스를 가진듯 보입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뭘까요? U.2? (울트라스터 SS300)

https://www.disctech.com/WDC-HGST-HUSTR7676ASS205-0B35333-Dell-5JF6T-7-68TB-SFF-SED-FIPS-SAS-12Gbps-Solid-State-Drive





참고로 제가 궁금증이 생긴건 

이 제품때문입니다...













(The 프로그래머)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4-08
SAS HDD 보면 데이터 포트가 2군데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2개의 데이터 포트중 1개만 사용하고

2개를 사용하려면 듀얼포트를 지원하는 케이블이나 백플레인을 이용하여 HA 솔류션 만들때 SAS HBA나 SAS RAID 카드를 2개 연결하여 한쪽 데이터 포트가 문제가 있어 죽어도 다른쪽 데이터 포트로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게 만들때 사용합니다..

조립으로 구축하기는 힘들고 전문 스토리지 장비에서나 필요합니다..

질문에 있는 U.2 케이블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나중에 몇가지 장비들 링크 남겨 드리겠습니다..
     
무법자 2024-08
http://www.2cpu.co.kr/QnA/722732
여길보면 U.2를 듀얼포트 사스로 쓴다고 봤는데..... 이건 또 뭔가 싶더라고요
          
dateno1 2024-08
트라이모드
               
무법자 2024-08
NVME가 아니라 SAS라서 트라이모드가 필요한건 아닌거 같은데요;;

SS300  제품의 인터페이스 사진을 찾아서  본문에 추가했습니다
                    
송주환 2024-08
듀얼포트 SAS는 데이터 전송 핀이 양면에 있는 제품입니다.
개별 드라이브에 대한 멀티패스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나, 거꾸로 스루풋을 늘리는 목적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dateno1 2024-08
U.2 어떻게 연결하신지 물으신거 아닌가요?
                         
무법자 2024-08
그게 질문 내용입니다
SS300 이 U.2  인터페이스를 가진거 같은데....  듀얼포트 SAS라고 하니까요
                         
dateno1 2024-08
해당 제품 정보 어디에도 U.2라고 적힌것 없습니다

저넘이 아니라 위의 덧글 애기 아니셨나요?
                         
무법자 2024-08
내용에  SS300의 인터페이스 사진 추가했습니다.  SAS지만 모양은  U.2 인터페이스로 보입니다.
궁금한건 더블포트 SAS는 U.2 인터페이스 및 케이블을 쓰는게 아니냐는것이죠
                         
dateno1 2024-08
물리적 커넥터가 문제가 아니라 SAS랑 U.2는 핀맵자체가 다릅니다
                         
무법자 2024-08
SS300 이제품을 쓰려면 어떤 케이블과 컨트롤러를 쓰면되는지  궁금합니다
                         
dateno1 2024-08
일단 듀얼을 지원할려면 12G 컨트롤러야 했을껍니다

거기다 지원할 수 있는 전용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U.3용 케이블 아닙니다)

이런 시점에서 이미 저렴하거나 가성비가 좋다는거랑 거리가 멉니다

만일 이런걸 추구하신다면 SAS는 HDD 중고 제외하고 안 거들떠보시는게 좋습니다
제온프로 2024-08
U.2 , SAS 인터페이스 플러그 단자는 같은 것을 사용하나.
핀 배열이 달라 같이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U.3 입니다.
U.3는 SAS와 핀배열과 단자가 같아 같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컨트롤러가 Tri Mode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문제가 U.2 드라이브를 U.3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수 없어
하위 호환이 되지 않습니다.

이 문제는 아마도 NVMe 컨트롤러가 너무 늦게 나오면서
이런 삽질이 된 것 같습니다.

U.3는 SAS 와 벡플레인을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U.2는 같이 못 사용합니다..

그래서 우리 불쌍한 U.2 드라이브가 따라지가 되었으며.. 가격또한 어찌 될지 모르겠습니다.
u.2는 u2 벡플레인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어..... 본체가 많이 나오면. 수요가 많아
u.2 드라이브의 가격이 비싸질 것이고.. 본제가 적게 나오면 u.2 드라이브가 많아 가격은 저렴할 것이고..

어찌 됬던 지금은 u.2 드라이브의 가격이 많이 올라가 버렸습니다.
     
무법자 2024-08
SS300 저 제품을 쓰려면    Mini SAS HD to  U.3 케이블과 9300-8i를 쓰면 가능한건가요?

글 사진에 있는 SS300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건지좀 알려주세요
제온프로 2024-08
u.2 x 24 bay 를 구성하려면..
PCie Lane이 24x 4 = 96 레인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제온, 스케일러블 2세대 까지는 지원할 할 수가 없는 것이죠..
PCIe 레인이 부족하여..
Epyc만 가능 했던 것입니다.

스케일러블 4세대 이상부터는 24 bay NVMe를 지원 할 수 있을 것으로..
All Flash SSD 스토리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EPYC은 그 전부터 지원 할 수 있었습니다.
죠슈아 2024-08
https://www.disctech.com/WDC-HGST-HUSTR7676ASS205-0B35333-Dell-5JF6T-7-68TB-SFF-SED-FIPS-SAS-12Gbps-Solid-State-Drive
스펙에서 아래 내용에 ... 
2100 / 2050 MB/s sequential R/W

Intel® SSD DC P4610 Series 7.68TB 를 사용중 입니다.  U.2 드라이브 이지요. PCIE 3.0 규격 입니다.
https://ark.intel.com/content/www/us/en/ark/products/140103/intel-ssd-dc-p4610-series-1-6tb-2-5in-pcie-3-1-x4-3d2-tlc.html
Sequential Bandwidth - 100% Read (up to) 3200 MB/s
Sequential Bandwidth - 100% Write (up to) 2080 MB/s

드리고 싶은 말은 ...
SAS 포트가 듀얼의 기본적인 목적은 위에서 설명 주신 것처럼
멀티패스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나, 거꾸로 스루풋을 늘리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는 있지만
앞서 보인 링크에서 처럼 U.2 속도 보다 낮습니다.

Intel® SSD DC P4610 Series 7.68TB 를 사용중 이지만
속도가 ..  ㅎㅎㅎ  벤치마크를 돌리면서 이 숫자에 감동 받지는 않습니다.
그냥 일반적인 SATA SSD 와 체감속도는 거의 비슷 합니다.

다수를  드라이브를사용해서 다중 사용사 접속에 최대 쓰루풋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개인용 PC나 워크스테이션에서는 이 속도는 그다지 환상적이지 않습니다.
대용량 파일 엑세스가 (시이퀀셜엑세스 조건을 만족하는) 아주 많지 않다면 ..  이 속도는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  빠릿하게 동작하지 않는 느낌도 있구요... ㅠㅠ

속도가 .. 정확하게 데이터 엑세스 대역폭이 큰 조건일때 SAS Dual Port 가 U.2 나 U.3 보다 더 나은 성능을 갖는다면 ,,,
서버 기종에서 이것을 계속 사용하겠죠.. 하지만  U.3 는 SAS Disk 호환성 때문에 적용하는 추세이지만 백프레이인에서 U.2 호환성에 문제가 있고
이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제품도 있기는 하지만 각겨이 사악하고 ..
U.2 , U.3 드라이브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3-4개월부터 가격이 2배 이상으로 점프하고 있어서 ㅎㅎ
그때 많이 사두었었어야 했는데 ..

SAS 처럼 오래된 규격이 더 최신 규격 보다 좋을 수 업습니다.
오래되고 ..  싸고 .. 좋은 것은 없다 ...는 생각 입니다.
     
제온프로 2024-08
죠수아님..

SAS의 가장 큰 특징은
RAID 구성을  할 수 있는 것이죠.. 이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U.2 NVME도 수명이 짧아요, 5년도 데이터 유지를 못해준다면
우리 운명. 우리 문명을 맞길 수 있겠나요..
RAID 50 이아 RAID 60을 잡을 수 있어야 하는데..

물론 우리에겐 ZFS 이 있어 이문제도 해결되고 있지만.
          
죠슈아 2024-08
U.2 또는 U.3는 RAID를 구성 하지 못한다고 생각 하시나요?
RAID으로 구성해서 사용중 입니다만 ... ㅎㅎ
          
dateno1 2024-08
그건 단순히 고내구성 모델 안 사서 그런겁니다

예를 들어 4T SSD가 존재한다면 일반적인 모델은 3.84T지만, 고 내구성 모델은 3.2T입니다

줄어든 0.64T는 전부 컨트롤러가 오버프로비저닝에 쓰고 있습니다

20%정도 용량이 줄어들긴하지만, 내구성이 몇배로 높습니다 (이런 제품군 하루에 2~30번씩 가득 채워도 5년은 버틸 수 있습니다)

정말 빡세게 굴릴려면 이런 제품군 쓰세요

그리고 맘만 먹으면 어떤 인터페이스든 RAID 구성 가능합니다
제온프로 2024-08
듀얼포트 SAS에 관하여..


우리가 2중화시스템을 생각해 보면..
-- 대부분의 중요한 시스템은 이중화 구성을 합니다.
HA
DB서버를 물리적으로 2대를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데이터는 1개여야죠..
Data가 2개면.. RealTime 실시간 반영이 어렵고. 분리된 DB를 Join 한다고 해도 딜레이가 생기고 관리가 어렵죠
그래서
DB Data는 하나여야 한다... 그럼
이 Data 스토리지는 이중화를 어떻게 하냐.. 파워도 죽을 것이고 메인보드도 죽을 것인데..
-- 컨트롤러를 2개로 하면 됩니다.
그래서 SSD 연결되는 포트가 2개여야 각각 컨트롤러를 연결하것죠.
이렇게 기술 문제를 풀어가고 있습니다..

이것이 네이버고.. 구글이고.. 클라우드 이며. 우리 IT 기술입니다.

좀 바보스럽죠.. 실망 마시고.... 후배들은 더 좋은 기술들을 만들 것입니다.
 SATA는 편하죠 이런 고민들 않해도 되니....


스토리지는 우리 문명을 저장합니다.
박문형 2024-08
https://pinoutguide.com/HD/SAS_connector_pinout.shtml

Dual Port SAS HDD와 커넥터 (SFF-8482) 사진 과 핀맵 입니다..

이 중에서 S8~S14 핀(두번째 SAS DATA 핀) 은 보통 생략되어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https://www.t10.org/ftp/t10/document.05/05-190r0.pdf

101페이지에 듀얼 SAS 드라이브 커넥터에 대해 나와 있습니다..



https://pcper.com/2015/06/the-connector-formerly-known-as-sff-8639-now-called-u-2/

U.2 드라이브 커넥터(SFF-8639)의 핀 맵입니다..

SFF-8482 와 SFF-8639 의 핀맵을 비교해 보면 SFF-8639에 SAS 디스크를 꼽아도 첫번째 SAS DATA는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기에 SAS 디스크가 인식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단  SFF-8639 에서는 Dual Port SAS 커넥션은 지원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https://www.supermicro.com/en/products/chassis/4u/847/sc847be2c-r1k23wb

슈퍼마이크로의 듀얼 포트 SAS 백플레인이 있는 스토리지 서버 모델입니다..

(모델명에서 E2 가 들어가면 듀얼포트 SAS EXPNDER 버젼 E1이 들어가면 싱글포트 SAS EXPANDER 버젼입니다..)

https://www.supermicro.com/manuals/chassis/4U/SC847BE1C-2C.pdf

이 샤시의 메뉴얼 보시면 듀얼포트 SAS 백플레인의 사용법이 잘 나와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QnA/879428

여기에도 대략 요구하시는 내용이 들어 있을 것입니다..
     
무법자 2024-08
댓글을 보다보니 내용이 좀 쉽지 않아서  어지럽네요...

울트라스터 SS300 의 인터페이스는 사진은 글에  올려놓았는데...

저걸 쓰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건지는 잘모르겠습니다...

!!!----- 어떤  컨트롤러와 케이블을 써야하는지....  댓글들을 봐도 잘 모르겠네요 ---------!!!!

U.3는 호환된다는거보면 U.3 케이블 써서 하면 되는건지... 컨트롤러는 SAS / SATA 컨트롤러 지원만하는걸 써도 되는건지....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박문형 2024-08
우선 울트라스터 SS300 사진에서 SAS 마크가 있으니까 NVME U.2는 아닙니다..

그런데 SAS 듀얼포트를 사용하려는 목적은 무엇인가요??

그 목적에 따라서 그 다음 문제는 SAS 듀얼포트를 지원하는 케이블과 콘트롤러를 구해야 합니다..



제조사마다 케이블이나 악세사리는 자기전용으로만 제공하려는 습성이 있기에 보통 저런 거의 솔류션 개념으로 가면 부품 하나하나 구해서

셋팅하는게 쉽지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포트 이중화나 레이드 콘트롤러 이중화, HA시스템 구성 같은 것을 꾸미는데 SAS 듀얼포트를 사용하는데 개인이 그런 것을 꼭 사용해야 할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
     
무법자 2024-08
목적이라기보단 SS300 이라는 SSD가  장터에 있길레 봤더니...

검색해봤는데 2050 MB/S 나온다길레  신기해서 좀더 조사해봤더니 듀얼포트 SAS라고 하네요

그래서  궁금해지더라고요  어떻게 하면 쓸수 있을지가요....

혹시 9300-8i 에서도 쓸수 있는지 궁금하더라는........

왜 저런게 궁금한지는  PM1633A SAS SSD도 구입해서 쓰고 있는  좀 메니악한 유저라서 그렇습니다....
SAS쪽은 왠지 흔치 않아서  개척하고 싶더라고요

SAS가  나름  매니악한쪽이라  물건이 싸게나올때도 있고요
          
제온프로 2024-09
LSi-9300-8i 는 컨트롤러 중에 가장 낮은 등급의 HBA 입니다.

족보를 예를 들면

LSi-9300-8i
LSi-9340-8i
LSi-9360-8i
LSi-9380-8i
LSi-9380-16i
LSi-9380-24i
박문형 2024-08
https://www.2cpu.co.kr/QnA/879428

여기 간장게장님 글에 wideport 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이것을 셋팅하고 싶으신 듯합니다만 저는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고 간장게장님은 요즘 보이시질 않네요.. (나이가 꽤 많으시기에..)

전에 간장게장님 글에는 아답텍 SAS EXPANDER 카드로 묶는다는 글을 여기 어디선가 본 듯한데 지금 그 글이 어디 있는지 찾지는 못하겠네요..

어쨋든 SAS 12G wide port 셋팅으로 검색해보셔야 할 듯합니다..
     
무법자 2024-08
아....  듀얼포트 SAS는  어려운 분야군요.....
싱글로 만족해야겠습니다 :)

성능이 2배로 나오길레 혹시나  그냥 SAS 포트 두개 연결하면 되는게 아닌가 싶었는데... 그런 간단한건 아닌가봐요

살짝 아쉽지만  single SAS 를 쓰는것만으로 만족해야겠습니다
          
박문형 2024-08
요즘은 잘 보이지 않지만 장롱짝만하고 HDD 100개쯤 들어가는 몇억에서 몇십억씩하는 비싼 스토리지를 만지게 되면

만지고 싶지 않아도 만지게 될지 모릅니다..

https://www.areca.com.tw/products/storage-9200.html

이런 좀 싸구려틱 한 것도 있습니다.. 그래도 꾸미면 최소 몇천만원 하겠지만요...
박문형 2024-08
https://serverfault.com/questions/1077561/how-to-ensure-sas-3-wide-port-configuration-is-enabled

보통 SAS EXPANDER와 SAS RAID CARD 혹은 SAS HBA 사이에는 MiniSAS 혹은 HD MiniSAS 케이블을 하나만 연결하는데

이것을 두 개 연결해서 와이드 셋팅을 하는가 봅니다..

9300-8i 에서도 첫번째 HD MiniSAS 커넥터는 각 SAS HDD 의 첫번째 SAS 포트에 연결하고

                      두번째 HD MiniSAS 커넥터는 각 SAS HDD 의 두번째 SAS 포트에 연결하면 될 듯한데

각 SAS HDD 의 두번째 SAS 포트에 연결할 케이블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QnA
제목Page 91/5731
2015-12   1792535   백메가
2014-05   5267549   정은준1
2024-03   1317   서울I김동수
2024-01   1319   한효석
2023-03   1319   나우마크
2023-12   1319   2CPU최주희
2024-09   1319   Sakura24
2024-09   1320   L2스위치
2023-01   1321   프랑
2023-03   1321   yummy
2024-08   1321   블루스맨
2024-08   1322   무법자
2022-09   1322   범이님
2024-12   1323   신은왜
2024-09   1323   이원재K
2023-03   1324   미담
2024-08   1325   박문형
2023-02   1325   효밍
01-16   1325   garocn
2024-08   1326   Sakura24
2023-12   1326   inquisitive
2024-10   1326   N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