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7 840qm vs i5 580m 노트북 성능 차이

   조회 1523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문의드립니다

구형노트북 시피유인데요


i7 840qm vs i5 580m

쿼드 대 듀얼

벤치마크 순위보니 580m이 약간 우위에 기재 되어 있는데요


무슨 이유 때문인가요? 벤치마크가 단일작업 테스트인가요? 

클럭차이로 인해서?


옛날 노트북이 생겼는데 어떤 시피유로 할지 고민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벤치마크가 어떤 것인가요?
씨네벤치 기준 4c/8t인 840qm이 20%정도 멀티성능이 우위입니다.
검색하다 시피유 성능 순위 보다가 질문드렸네요.
위에 올렸는데..어떤 기준으로 저렇게 순위를 매기는 걸까요
dateno1 2024-09
Q=Quad

M이 듀얼코어다보니 당연히 QM보다 벤치 낮을껀데 왜 저러는걸까요
이하나 2024-09
벤치마크가 이상하네요. 위에 다른 시피유들도 성능이 압도적으로 차이나는데 오히려 아래에 있고 제멋대로에요.
이선호 2024-09
매우 정상입니다.
1세대 i시리즈는 45nm라는 공정에 QPI도 2.5GT/s밖에 안되고, 발열 감당도 안되어 클럭 자체가 낮습니다.
샌디 기반인 2630qm도 게이밍 노트북에서 쓰로틀링이 걸릴 정도였는데 45nm는 더더욱이 답이 없죠..
더군다나 클락데일은 린필드와 달리 멤컨이 GPU쪽에 달려있기도 하구요.
그래서 1세대 i 시리즈 성능 자체가 처참했죠. 지금도 현역으로 일부 쓰이는 샌디와는 다르게 린필드와 클락데일은 찾아보기도 어려운 이유기도 합니다.

공정개선되고 발열도 어느정도 감당 가능해진 2세대 샌디 기반부터 성능이 2배 이상 올라갔습니다.
이마저도 배터리로 4C 어느정도 사용 가능한건 전력소모가 어느정도 감당 되는 5세대 넘어가서 부터고 14nm 들어와서야 배터리로도 4C 8T로 쓸만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1035G1, 1035G7)

2C 4T인 1005G1과 4C 8T인 1035G1간에 2배가량의 성능차이가 발생해야 맞겠지만, 실상은 전력소모와 발열 감당때문에 4C 8T의 최대 클럭이 많이 줄어들어서 실제 성능차이는 50%도 안나는 것처럼 데스크탑 기준으로 보시면 안됩니다.
4C 8T 하스웰 브로드웰 모바일 CPU와 2C 4T인 i3-1005G1의 절대성능이 비슷하고 체감성능은 i3가 훨씬 좋습니다...

물론 데스크탑에 들어가는 타워형 쿨러 달아버리면 훨씬 좋은 성능을 뽑아낼 수 있기는 한데..... 그럼 비싸기만한 모바일 CPU를 사용해야할 이유가 없겠죠.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gmltj 2024-09
발열이 심각해서... QM 은 비추입니다... 어지간한 하판 두께가 아니면 풀 로드시 발열이 감당이 안됩니다...


QnA
제목Page 88/5731
2014-05   5268227   정은준1
2015-12   1793252   백메가
2009-04   5641   정용관
2009-04   5393   하이퍼웍스
2023-02   2533   파간희
2012-07   6625   블루영상
2019-01   3512   전설속의미…
2015-10   20424   김건우
2017-10   3849   song05
2012-08   5762   방o효o문
2015-10   4601   아름다운노을
2019-02   4374   길가던뉴비
2020-03   5187   혼자가는길
2023-03   1344   TubeAmp
2017-11   4354   나라사랑
2009-06   18111   ging
2023-03   2145   전설속의미…
01-11   781   tuffguy7
2017-11   10805   gogo
2014-06   6433   황혼을향해
2016-10   9232   엠브리오
2014-06   12189   허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