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놀로지 초보 질문하나 드립니다.

osthek83   
   조회 1911   추천 0    

예전에 잠깐 썼다가 지웠는데, 요즘 다시 필요성이 있어서 기웃거리고 있습니다. 헤놀로지 두가지 방식으로 쓰시는거 같은데

1. 네이티브

2. proxmox 에 vm 

씨퓨 성능이 낮으면 네이티브가 낫겠지만, 그렇지 않다면(i3 8100 정도 생각중입니다) 가상화에 올리는게 낫나요? 해본적이 없어서, 어떤점이 네이티브에 비해서 장점인지 궁금합니다. 흔히 네이티브는 부품을 가린다고 하는데, 가상화로 올리면 이런 문제도 없는건지요?

주요 용도로는 사진백업이랑, 원드라이브 싱크, plex 서버정도입니다..(시놀이 유명한게 어플이 유용한게 많다고 하던데, 제가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일단 요정도만 ^^;;)

그리고 블로그 글들을 몇개보니, 어자피 큰 작업하지않고 idle 시에는 전력소모가 많지 않아서 굳이 저전력 씨퓨를 쓰지 않아도 된다고 하더라구요...근데 proxmox 올려놓으면 그래도 계속 씨퓨를 일정이상 사용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추천해주실 만한 다른 구형씨퓨 있으면 조언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션한맥주 2024-09
CPU 하나만 볼 것이 아니라, 메모리가 64기가 이상이라면 가상화에 올려서 사용하는 것이 나아 보입니다.
다만 가상화에 올릴 vm 들이 계획되어 있지 않다면 메모리를 줄이고 네이티브로 활용하는 것이 낫겠죠.
김강호 2024-09
추가로 vm을 돌릴건지, 아닌지가 분수령이겠죠
proxmox vm 형태로 사용해서 단 1개의 vm 을 사용하더래도 장점은 있습니다.

바로 백업과 복원이 요긴하다는 건데요.

헤놀 특징상 업데이트 하면 망가질 우려도 있어서 그럴때 쉽게 대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romxox 가 호스트로 debian 계열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게스트 VM 사용량이 없으면 호스트도 사용량이 같이 떨어져서 전력소모는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가상화+VM 은 설정하기가 까다로워서 솔직히 초보 영역은 아닐 것입니다.

관리 UI 에 접속하고, 헤놀에 접속하기 위해 랜포트 2개 이상이 필요할 수도 있고,

proxmox 내에서 network 설정과 raid 카드 패스스루 설정 등은 쉽지는 않은데다,

문제 발생시에 트러블 슈팅하는 것도 일정 이상의 리눅스 지식이 추가로 더 필요합니다.

구형CPU는 6~7세대 T(저전력) CPU 정도가 괜찮아 보입니다.
     
dateno1 2024-09
부트로더의 강제 재설치 옵션같은건 괜히 있는게 아닙니다

업데이트 하다가 꼬여도 최저한도로 데이터 날릴일은 없습니다

애초에 리눅 부트 디스크 1개만 있어도 백업은 껌으로 가능하다보니 이쪽 걱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결국은 적으신대로 데비안 기반이니 데비안 계열이면 얼마든지 똑같이 마운트되니까요

적으신 나머지 작업도 거기까지 어렵지않습니다

그런데 옛날에 5대 시절부터 변하지 않는게 시놀의 가상화는 부트로더 수준에서 추천되지 않습니다

또한 6~9세대 클럭 제외하면 그닥 차이도 없는 스카이 우리기 (10세대는 전성비 올라가긴했으니 같은 스카이라도 따로 뻅니다)라서 별 차이가 없습니다

그나마 커피 가면서 전성비 조금은 나아진거라 스카이나 카비보단 낫습니다

T라고 전력 적게 먹는다고 생각하시면 착각입니다

S라인업이랑 똑같은 코어 다이 쓰기땜에 결과적으로 아무 차이 없습니다 (S 라인업 달고 T랑 똑같은 클럭 + 전력 BIOS에서 설정하면 똑같아요)

그런 주제 비싸기만 한 물건 살바엔 차라리 바이오스 가서 성능 제약 거는게 이득입니다
          
VM 백업과 복원은 순식간이라

부트로더 업데이트하고 결함 해결하고 하는 것보다는
복구속도가 월등히 빠를 것입니다.

하지만 원글에서도 언급한대로 설정 자체가 이슈라
가상에서 제대로 셋팅하는 것은 쉬운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큐삼님 빨간약 배포 버전에 보면
ESXi 용 버전도 따로 있는 것으로 보아, 해당 가상화에서는 어느정도 지원이 보장된 것 같고요.

요지는 급할 때 빠르게 원복할 수 있는 대응시간 면에서 가상화가 유리하다고 봅니다.
단점은 셋팅이 어렵다 정도네요.

그리고 장단점 검토하는 거라서
반드시 가상화 하라고 이야기 하는 게 아닙니다.

참고로 헤놀은 저도 네이티브 머신만 가지고 있습니다.
가상화는 도전해봐야 됩니다.

그리고 CPU 관련해서는 특성상 클럭과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보드라면
T 버전에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클럭을 감소시키고 전압을 줄이는 것으로 전력 감소가 될 것입니다만,
제가 가진 6-7세대 BMC지원 서버 보드에서는 클럭/전압 조정 기능이 없어서
전력 감소를 시킬려면 CPU 자체를 T 로 써야 됩니다.
               
dateno1 2024-09
스냅샷을 너무 믿으시면 안 됩니다

그리고 VM이다보니 나중에 자료 백업하는게 더 피로해요

또한 가상이다보니 업데이트 적용시 애먹일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부트로더 유포판에서 이미지가 있다고 무조건 제대로 작동한다는 의미 아닙니다

과거 redpill 나오기전 시절부터 vmdk로 만들거나 유포되거나 했지만, 항상 비추되는 사항이 가상에서의 구동이었습니다

설정자첸 디스크 타입이라던가 주의사항만 지키면 어려울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하드웨어를 안 타니 바이오스 옵션등 안 만져도 되고, 조합 신경 안 써도 됨)

다만 설치는 쉬워도 언제 뭘로 애먹일지 모르는거라 추천을 안 한다는것뿐이죠

거기다 별도의 컨트롤러 달아서 그걸 통쨰로 패스하는게 아닌 이상 SMART같은것 연동 불가, SSD인 경우 TRIM 작동 안 함등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VM 입장에선 가상 디스크를 다루는것뿐이라 리얼 디스크 정보를 알 방법따위 없고, 반대로 호스트 입장에서는 게스트가 파일 시스템에서 뭘 어떻게 하는지 전달되지 않습니다)



그건 너무 특이한 보드를 쓰시니 그런거고, 일반적으로 쓰는 보드는 젤 저렴한 x10조차 클럭이랑 전력 제한은 가능합니다 (전압은 제약할 필요도 없고, 지원하는건 Z밖에 없습니다) (넘 특이한 케이스를 일반화하시면 안 됩니다)
dateno1 2024-09
제대로 할꺼 아니라면 storage를 가상화하는것 추천 안 하다보니 직접 올리시는걸 추천합니다

8100정도면 큰 문젠 없습니다

부품 차별 안 하는게 가상의 장점이지만, 애초에 가상이랑 호환성이 그닥 좋지 않은게 시놀입니다 (아마 애 더 먹을껍니다)

마지막으로 시퓨 전력따윈 디스크에 비하면 그닥 먹는것도 아니다보니 거기까지 큰 비중이 안 됩니다


QnA
제목Page 3147/5724
2014-05   5239574   정은준1
2015-12   1765031   백메가
2014-03   4068   박문형
2017-08   3279   AKA지니
2024-08   1885   Psychophysi…
2016-08   4362   하셀호프
2015-07   4026   진이닷
2016-08   4556   MLbioinfo
2022-12   4168   dateno1
2021-05   2374   나우마크
2012-03   5620   스카이
2024-08   1305   GPGPU
2024-09   1249   술이
2012-03   9539   김건우
2024-09   1912   osthek83
2012-03   6096   뚜뚜김대원
2015-08   4276   과거지사
2015-08   4540   세이용이
2017-09   4769   메모리님
2018-12   2905   김영기
2015-08   5296   전설속의미…
2016-09   4658   하셀호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