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864 |
0 |
2014-05
5266864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797 |
25 |
2015-12
1791797
1 백메가
|
113036 |
갤탭 울트라 + 크롬 원격데탑으로 노트북을 대치할 수 있을까요? (10) |
audacity |
2024-09 |
1676 |
0 |
2024-09
1676
1 audacity
|
113035 |
아랫글 보고 T7920 CPU 업그레이드 CPU 추천 부탁드립니다. (5) |
막판대장 |
2024-09 |
1258 |
0 |
2024-09
1258
1 막판대장
|
113034 |
제온 플래티넘 8124m 관련질문 (6) |
김민석salsal |
2024-09 |
839 |
0 |
2024-09
839
1 김민석salsal
|
113033 |
제주도에서 컴퓨터용 atx 파워 수리 가능한 전파사?? (10) |
냐미냐미 |
2024-09 |
1082 |
0 |
2024-09
1082
1 냐미냐미
|
113032 |
조립피씨 의견 부탁드립니다. (130) |
onuappa |
2024-09 |
1597 |
0 |
2024-09
1597
1 onuappa
|
113031 |
RUCKUS ZoneDirector 1200 문의 드립니다. (4) |
어드민플레이 |
2024-09 |
914 |
0 |
2024-09
914
1 어드민플레이
|
113030 |
테무주문물건이 오지않는데 어떻게 대처하여야하나요 (2) |
yummy |
2024-09 |
1104 |
0 |
2024-09
1104
1 yummy
|
113029 |
SATA 케이블 버전에 따른 속도차이? (7) |
gusoong |
2024-09 |
1787 |
0 |
2024-09
1787
1 gusoong
|
113028 |
RAID 카드 오류 질문 (9) |
아마데우쓰 |
2024-09 |
1508 |
0 |
2024-09
1508
1 아마데우쓰
|
113027 |
어댑터구입 (5) |
pumkin |
2024-09 |
942 |
0 |
2024-09
942
1 pumkin
|
113026 |
알리 드론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
Rich |
2024-09 |
1209 |
0 |
2024-09
1209
1 Rich
|
113025 |
초고속 테이타 c 타입 케이블이 있을까요 (6) |
휴식처 |
2024-09 |
926 |
0 |
2024-09
926
1 휴식처
|
113024 |
E5-2697A V4 / 700w 에 가장 높은 그래픽 카드는 무엇인가요??!! (13) |
슈퍼똘똘 |
2024-09 |
1241 |
0 |
2024-09
1241
1 슈퍼똘똘
|
113023 |
구로 드림마크원 IDC 홈페이지에 접속이 되시나요? (2) |
민호양 |
2024-09 |
915 |
0 |
2024-09
915
1 민호양
|
113022 |
HP T620 많이 답답한가요? (8) |
Sakura24 |
2024-09 |
1985 |
0 |
2024-09
1985
1 Sakura24
|
113021 |
[비컴] 소자 소량 구매 가능한 곳이 있을까요? (9) |
경박한시민 |
2024-09 |
1347 |
0 |
2024-09
1347
1 경박한시민
|
113020 |
인텔 Atom 라인 메인보드는 어떻게 구하나요? (6) |
전일장 |
2024-09 |
966 |
0 |
2024-09
966
1 전일장
|
113019 |
blower 그래픽카드 소음이 궁금합니다. (17) |
victor1 |
2024-09 |
1388 |
0 |
2024-09
1388
1 victor1
|
113018 |
HP서버 전원버튼 녹색 깜빡이고 부팅 안됨.. (3) |
찬이 |
2024-09 |
1094 |
0 |
2024-09
1094
1 찬이
|
113017 |
노트2014로 휴대용 모니터 만들고 싶은데...재료 구하기가 힘드네요.. (2) |
소주한병 |
2024-09 |
776 |
0 |
2024-09
776
1 소주한병
|
텐키리스도 괜찮으시면 독거미 키보드라고 불리는 AULA 제품이 인기있었습니다.
체리 정품 혹은 체리 키보드 스위치 축이 들어간 제품 가격이 비싼 건 어쩔 수 없습니다..
몇 년전에 체리 키보드 스위치의 특허가 풀려 중국쪽에서 많은 카피본들이 나왔지만 어짜피 카피본은 카피본일 뿐입니다..
저처럼 시끄러워서 기계식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꽤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펜타그래프 키감을 좋아해서 애플 유선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단종된 만큼 신품으로 몇개 가지고 있습니다)
키보드 추천을 남에게 맡기는 것은 자신의 패션을 남에게 맡기는 것과 같고, 그것도 자신의 취향을 전혀 알려주지도 않고 관심법으로 내 취향에 맞는 옷을 골라 바치라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즉 이건 직접 시행착오를 해가며 골라야지 그냥 '추천해주세요 끝'하고 말 일이 절대 아닙니다.
그런데 타이핑을 많이 하시면 사실 기계식은 별로 좋은 선택은 아니긴 합니다.
취향은 일단 빼고 상황 상 적축 계열 중 입력압이 최대한 낮은 걸로 쓰시면 될 것 같긴 합니다만, 너무 생소해서 '이게 뭐지???' 같은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j_cdhge57o
저도 체리 기계식 적축, 청축 정도 써봤는데 다 안맞더군요.
특히 사무실에서 청축썼다가 옆에 있는 경리 아가씨한테 '딸칵'소리 거슬린다고 한소리 들었습니다.ㅜㅜ
기계식은 꼭 집에서 쓰세요.
이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꺼는 N키 롤오버(무한동시입력) 되는지 여부인데, 싼 기계식 키보드는 이거 빠진거 많고, 지원 안되면 키가 씹히는 일이 자주 일어납니다.
사무실에서 쓰겠다면 클릭스위치는 절대금기입니다. 치는 소리가 벽을 울리게 할 정도로 큽니다.
답글감사합니다.많은도움이되었습니다
키종류 고르기 애매하다면 광축도 싸고 좋습니다.
제대로 입력이 않되고 오타가 많이 나서
지금은 그냥 일반 키보드 사용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