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컴] 우풍이 심한 아파트에서 필요한 장비 추천좀 해주세요

   조회 1115   추천 0    

안녕하세요 

30년넘은 구축 아파트에 살고있습니다 

구축에 외부창이 단창이라그런가 뽁뽁이 붙이고 바람안들어오게 막아도 춥네요..
도시가스 40만원을 때도 긴팔 긴바지 양말 신고 다녀도 손발이 시렵네요...
바로 옆이 산이여서 아침에 잠깐 해드는것 말고는 어두워서 그런것도 한 몫하는것 같구요...

거기에 층간 소음이 민원이 있어서 2센티정도의 매트가 집안에 다 깔려있습니다.....
그래서 보일러를 틀어도 바닥이 따듯한 느낌이 없습니다...
매트 안깔려있는 제 방만 따듯하네요...

그래서 뭔가 대비를 하고싶은데요

1. 열선풍기(바람 안나오고 선풍기 모양에 열만나는?)
 - 이거 괜찮을까요?? 아이가 어려서 손 넣지 않을까 걱정은 됩니다만
2. 히터(따듯한 바람 나오는)
 - 사실 작은게 하나 있는데요, 켜면 타는냄세 때문에 매우 안좋은것 같아서요, 냄새 없는 히터가 있다면 바꾸고 싶네요
 - 이런 히터들이 쉽고 빠르게 온도를 올려주는것 같긴한데 냄새에 민감해서요...

어떻게하면 겨울을 따듯하게 보낼수 있을까요?

좋은 장비? 알고계시는게 있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__)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민경열 2024-11
40년차 건물에서 단열재 시공 or 폼블럭 시공 or 창문을 방풍 비닐 or 창문 위에 방풍 커튼을  하더라구요.

그리고 오래된 아파트는 콘크리트가 약해져서 점점 더 추워 지실꺼예요.
그렇다고 집안 온도 올리시려고 가스 or 기름 을 태우면 잘못하면 결로 생깁니다.
     
천번둥개 2024-11
시공... 뭔가 돈들어가는 소리가 들리지만 한번 알아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ilsuni 2024-11
가스보일러시라면...

24시간 보일러를 켜는 방법은 어떠신가요? (온도 많이 올리지 않아도 되는 지금시점에 온도 적당히 설정해 보시면...)
실내온도가 유지 되어서 풀로드는 걸리지 않고, 주기적으로 계속 불을 지피기 때문에. 가스비가 않이 추가되지 않더라구요.
껐다 켰다 할때는 잠들기 직전 방바닥이 따뜻해지는데,
좀더 추워지면 퇴근후, 방문 열었을때 따뜻 하더라구요.
     
천번둥개 2024-11
낮은 온도로 24시간 한번 돌려봐야겠습니다
지금은 괜찮은데 더 추워지면 걱정입니다
감사합니다^^
하셀호프 2024-11
건식 온돌이 좋아보이던데요
사용해 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간단해 보이기두 하구요
한번 찾아보시지요
     
천번둥개 2024-11
오 이런것도 있네요!!  시공비가 제법 나가도 해볼법 하지만, 전세라서 힘들 것 같습니다ㅠ
박문형 2024-11
창에는 방풍비닐 (뽁뽁이) 최대한 해두시고 단시간내 바닥이라도 조금 따뜻하려면 전기장판 정도 입니다.. 그 외에는 옷을 여러겹 입는 정도랄까요..
     
천번둥개 2024-11
딱 그 정도입니다, 그래서 한 겨울에는 이불속에 못 벗어나고 있습니다 ...
레인보우7 2024-11
이도 저도 아니면, 사각 난방텐트를 거실에 치고, 바닥에 온수매트 까시면 좀 낳지 싶습니다.
어르신댁에 일월꺼 온수매트 사드렸는데 괜찮은것 같습니다.
     
천번둥개 2024-11
난방텐트!는 좋을 것 같네요, 아이가 좋아 하기도 하구요ㅎㅎ
감사합니다!!
이선호 2024-11
가장 현실적인 답을 드리면 벽걸이형 냉난방기 다시는걸 추천드리긴 합니다.건식과 습식난방 합쳐진게 최고에요.
샤오미나 히터 대비 전기를 1/3~1/4밖에 안먹으면서도 냄새 없이 좋습니다.

단, 보일러를 쓰든 냉난방기를 쓰든 가습기는 따로 틀어주셔야합니다.
     
천번둥개 2024-11
냉온풍기 겸용은 에어컨+히터 네요!! 집에 에어컨 장만하기 전에 알았다면 이걸로 할껄 그랬나 봅니다 ㅠㅠ
벽결이형 온풍기도 따로 있긴하던데 이것도 알아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이선호 2024-11
요즘 벽걸이형 온풍기는 PTC 방식이 대부분일텐데 전기를 많~~~~~~~~~~~이 먹습니다. 그나마 예전 열선 제품에 비해 (ex)드라이기) 탄내가 없다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만 히트펌프 방식 냉난방기보다 전기를 4배정도 먹는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트니아빠 2024-11
환기를 못 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두꺼운 방풍 비닐로 창틀에 타카 등으로 고정했습니다.
자가면 벽지를 우풍용으로 바꿔보세요. 일잔용이 아닌 두꺼운 벽지가 있습니다. 저는 전세여서 중문 설치 대신 겨울에 음식점 등지에서 사용하는 비닐 커버를 설치했습니다. 3m 양면 테이프로 고정 가능하고 자석형이어서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창문에는 뽁뽁이 붙이고 창틀에서 바람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접착용 틈새 매꾸는 걸로 바림을 막았습니다.(완벽하진 않습니다 만 집 온도가 2~3도 정도 올라갔습니다)
     
하셀호프 2024-11
아 저도 이거 압니다
단열 벽지라고도 하는데 벽지에 스트로폼이 붙어 있어서 벽지를 시공하면서 스티로폼을 한겹까는 효과가 있습니다
전에 어머니 생전에 추위를 많이 타셔서 어머니방에 시공해드린적이 있습니다
세로 살때였는데 사정을 이야기하고 안방만 단열시공하게 허락받고 했습니다
시공면이 스티커 형식으로 되어 있었던가... 기억이 가물가물합니다
어쩟든 차이는 확실히 있습니다
epowergate 2024-11
혹시 창고가 알루미늄인가요?.
저희집은 이번에 인테리어 하면서 창호를 알루미늄에서 PVC로 바꿨는데 차이가 많이 납니다
     
천번둥개 2024-11
네! 알미늄인것 같습니다 .. 창호 재질도 차이가 있군요, 이건 바꾸기 쉽진 않겠네요 감사합니다 !
헥사코어 2024-11
커텐 혹은 뽁뽁이
     
천번둥개 2024-11
기본이죠!! 감사합니다!
뭐없이 제일쉬운방법은 레인보우7님 말대로 사각난방텐트 치면 그안에 사람열로 따듯합니다.
장판하나 깔면 더 따듯할거에요.
다만 장기적으로 볼때는 뭔가 다른방법이 필요해 보입니다.
     
천번둥개 2024-11
넵 감사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역시 시공이 답인것 같습니다 ㅠㅠ
Rich 2024-11
아파트 방향이 북향인듯 싶습니다.
단열은 밀폐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거실환기창 한군데 빼고 나머지를  약간뚜거운 비닐 테이프로 틈새 다 막으세요. 샤시와 창 틈새 다 창문 안열리게 좀 과 하게 다 막으시면 됩니다.
비닐같은거 대지 않고도 전체적으로 비닐테이프로 바람 들어오는 곳 다 막으시면 됩니다. 방은 그냥 다막으세요(환기는거실쪽에서한다고 생각 하시고)
창호가 옛날 창호여도 상관 없습니다. 그냥 다 밀폐 시키세요. 거실중간 창호도 비닐 테이프로 다밀폐 시키세요
(구축은 창과 창사이 빈틈으로 열기다 빠져나갑니다.)
이렇게해도 우풍이 심하다면 천장 쪽으로 열기가 다 빠져나갈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사시는 곳이 젤 상위층이거나 윗층에서 난방을 안 하시거나 빈집 일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천장 뜯어서 단열 시공을 전체적으로 다 해야 합니다.
공사가 어마어마 하게...

제가 지금 사무실로 사용할곳 단열 공사를 손수하고 있는데 천장 안쪽에 단열재가 없습니다.
천장 다 뜯고 공사 할려니 공사가 너무 방대 하여 지금 열반사단열재로 천장전체를 다 밀폐시켰습니다.
훈훈 함은 있습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가 발생 하고 있네요...
     
천번둥개 2024-11
오 말씀하신것처럼 창문 전체를 덥는 방풍비닐?을 판매하고있네요!!  이걸로 막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래도 위아래로 보일러를 틀어주시는지 저녁~밤에는 그나마 따듯합니다^^;
          
Rich 2024-11
방풍 비닐 하시전에 약간 뚜거운 테이프로 밀폐 하시면 효과가 훨씬 좋습니다.
사식이 2024-11
일단 우풍이 제일 심한 벽을 찾으셔서 그쪽에 전기라디에터를 놓아 두시면 상당분 해결 됩니다
기타 열풍기나 열난로 아닙니다
 반드시 전기라디에터입니다


QnA
제목Page 56/5731
2015-12   1792524   백메가
2014-05   5267533   정은준1
2024-12   1009   오후
2024-10   1009   lovemiai
02-09   1009   Sakura24
2024-10   1010   Rich
2024-09   1012   정의석
03-10   1012   파이브스타
01-16   1013   안토니오김
2024-10   1014   전일장
2024-10   1015   무쏘뿔처럼
02-23   1015   전설속의미…
2024-11   1015   Software1995
2024-10   1016   langrisser
2024-09   1016   Sakura24
2024-12   1017   신은왜
2024-11   1017   신은왜
2024-12   1017   블라블라
2024-12   1017   신은왜
2024-12   1017   원탱이방굴이
2024-10   1018   호박고구마
2024-11   1018   뉴비엔지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