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G 연결이 정상인지 문의드립니다.

LSoap   
   조회 1216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문의 드리려 합니다.

1Gbps로 사용중이던 네트워크에 10Gbps SFP+(om3 aoc)를 추가로 구성후 아래와 같이 연결했습니다.




윈도우 서버1과 윈도우 서버2는 같은 백본에 1Gbps로 묶여 있으며 

낮은 Latency를 위해 Broadcom 57414 10Gbps sfp+로 두 서버를 직결했습니다.


단순히 네트워크 경로를 분리하고 라우팅에서 매트릭이 더 높은걸 확인했는데도 ping값은 1Gbps나 10Gbps나 동일합니다.

(hrping으로 점검시 1Gbps 10Gbps 모두 0.3 ~ 0.4ms)


네트워크속성은 모두 10Gbps로 연결된걸 확인해봤으며 오토네고시에이션, 점보패킷 값을 조정해도 모두 동일합니다.

라우팅 매트릭 순서나 경로를 봐도 직결된것처럼 보입니다.


서버2대만 연결하면 되서 별도 스위치없이 해보려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1Gbps(RJ-45)나 10Gbps(SFP+)의 레이턴시값이 같은게 이상한데 뭔가 잘못 설정한게 있을까요?

(Bitrate는 10Gbps로 나옵니다. 당연히 경로가 맞으니... Latency가 spf+(om3 aoc)인데도 RJ45랑 같은게 이상해요!)

추운날씨에 건강 유의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강호 2024-11
애초에 레이턴시가 높을 수가 없는 구조죠
LSoap 2024-11
맞습니다. 다만 사내 프로그램상 두개의 서버간 통신양이 많아 nvme 저장소를 갖은 서버 들입니다.
한놈은 외부에서 명령어를 받고
한놈은 내부에서 다른놈과 RDB와 비정형 DB를 바쁘게 통신하는 구조라 레이턴시를 낮추는 구성을 시도해봤습니다.
같은 값이 나오는게 이상하네요.

1Gbps 스위치(Cisco Catalyst 2960-L)를 통하는것보다 NIC끼리 통신하는게 더 빠를거 같은데 말이죠...
     
송주환 2024-11
일반적인 L2 스위치의 Port to Port latency는 1-3us 이내입니다. 저지연 스위치의 경우 수십~250ns로 떨어지구요.
송주환 2024-11
왜 낮은 레이턴시가 필요하신 건지, 레이턴시 요구사항은 어떠한지, 왜 직결을 통해 레이턴시를 낮출 수 있다고 판단하신 건지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LSoap 2024-11
말씀감사합니다.
1. 낮은 레이턴시 필요
  가. 별도의 tap장비 없이 TDS Stream분석
  나. 가끔 분석을 위한 CDC사용
2. 레이턴시 요구사항
  "가"항에서 파이샤크를 사용하는데 부하시 bypass로 약 80%정도만 캡쳐됩니다.
  CDC사용시 RDB응답이 느려집니다.
3. 직결을 통한 낮은 레이턴시 기대 
  단순히 스위치까지 갔다 오는시간보다 직결시 경로가 짧기때문에 기대했습니다.
  (스위치간의 Link-Trunk나 서버1과 서버2의 물리적 스위치가 틀립니다)
  NIC1대역의 arp 갯수보다 직결이면 경로가 적어 혹시나 빠를까 행복회로를 돌려봤습니다.

2대 서버만 직결하면 인피니밴드같은거 없이 비슷한 효과를기대했는데 실망했습니다 ㅠㅠ.
답변 감사합니다!
     
송주환 2024-11
레이턴시가 문제인 것 같지는 않고, pyshark를 DPDK 등의 고성능 패킷 처리 라이브러리로 대체하면 drop은 사라질 것입니다.

CDC 사용 시 응답이 느려지는 것도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술이 2024-11
레인턴시를 줄일려면 메모리기반에 올려야죠.


QnA
제목Page 54/5730
2014-05   5265353   정은준1
2015-12   1790329   백메가
2024-09   982   Landa
2024-09   983   lvn1
01-16   984   안토니오김
2024-09   985   영산회상
2024-09   985   미수맨
2024-11   986   아마데우쓰
2024-11   986   항공모함
2024-12   986   chotws
01-24   986   victor
2024-09   986   song05
2024-12   988   쌍cpu
01-24   988   GPGPU
01-01   988   pumkin
2024-10   989   grzlr
2024-11   990   쌍cpu
2024-08   992   제에발
2024-12   993   카뮬
2024-11   993   sdlfkjwer
2024-11   994   용새
2024-12   99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