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모니터 태워먹었는데 원인이 뭘까요?

마나아   
   조회 1232   추천 0    










백라이트나 어댑터 둘중하나가 나간걸로 추정된 모니터에

전압 가변 어댑터를 구해서 19v로 전압 조절후 변환 잭들중 맞는 것을 사용하여 연결했습니다.

연결 후 어댑터의 전압표시가 갑자기 4.5v까지 떨어집니다.


좀더 두니까 무언가 불길하면서 익숙한 연기가납니다...


조졌구나 싶어서 후다닥 때고 분해해보니까 기판쪽이 아예 녹은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수리가 가능할까요?


제가 어떤부분에서 실수했는지 좀 알고 싶읍니다.

잭만 맞는지 확인하고 꽂았는데. 역시 테스터기로 - + 까지 확인하고 꽂았어야 될까요?

어댑터 잭의 전압이 아니라 - + 를 잘못 연결해서 태워먹은걸까요?


아니면 뭔가 다른 잘못한게 있을까요


상당히 치명적인 실수 같아서 원인을 알고 싶읍니다.


글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따땃한 주말 보내십시오.

고맙읍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고무마또 2024-12
테스터기로 - + 까지 확인하고 꽂았어야 될까요?
예,
     
마나아 2024-12
그렇군요. 항상 진실은 그곳에 있지만 외면하고 싶지요...
박문형 2024-12
탄 곳은 PCB까지 타버려서 수리가 불가능합니다..

왜 타버렸는지는 모릅니다..

+ - 를 꺼꿀로 꼽아 탔을수도 있고 10년 넘은 오래된 기기라 타 버렸을수도 있습니다..
SiCMOS 2024-12
12년도 생산 제품이라... 새로 사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펜듀얼 2024-12
역전압이면 꼽자마자 뭔가 소자가 퍽하고 터졌을거 같은데 좀 더 있다가라는 표현이 얼마나 버티다가 터진건진  모르겠지만 길었다면 4.5v까지 전압 떨어졌다는게  핵심인거 같습니다. 과전압이 아니라면 과전류밖에 없을듯.
     
마나아 2024-12
아 설마 암페어도 너무 높으면 안되는건가요?
          
펜듀얼 2024-12
아뇨. 전류는 전압만 맞다면 기기가 쓰는 만큼만 가져가기 때문에 전류용량이 더 큰 어댑터를 쓰는건 오히려 권장하는 일입니다.
문제는 잭 꼽았을때 전압 드롭이 4.5v까지 갔다는건 모니터가 필요한 전류량을 어댑터가 제대로 공급하지 못할때 생기는 흔한 증상이라서 테스트 환경에서 의심해봐야 하는건 그 가변어댑터가 아닐까 싶다는겁니다.
               
마나아 2024-12
상세한 설명 고맙읍니다.
제온프로 2024-12
백라이트나 어댑터 둘중하나가 나간걸로 추정된 모니터

내부의 습기.

외부 온도가 실내로 들어오면 금속 표면에 응결이 생김 -- 온도차이.

이때 전원을 넣으면 습기에 의한 쑈트가 발생.
매운꽁치 2024-12
고장난 모델 당근에서 고장난거 구매해서 교체
저 보드만 알리에서 팔꺼에요. 근데
백라이트 불량입니다. 많이 고쳐 봤죠.
Rich 2024-12
해당 모델 전용이나 호환 아답타 아니면 종종 발생 하더라구요. 저도 태워 먹은 적이 많아서.
마나아 2024-12
모두 답변 고맙습니다. 덕분에 궁금한 게 해결됐읍니다.,


QnA
제목Page 45/5725
2014-05   5242866   정은준1
2015-12   1768203   백메가
2024-12   1322   Rich
2024-12   1016   inquisitive
2024-12   775   서버꿈나무
2024-12   966   검은콩
2024-12   822   새내기
2024-12   982   회원
2024-12   1174   홀릭0o0
2024-12   1017   반가워요우
2024-12   703   무쏘뿔처럼
2024-12   1022   Nicoffeine
2024-12   964   반가워요우
2024-12   907   맴맴
2024-12   937   겉절이
2024-12   851   맹곰
2024-12   1383   찍자
2024-12   1142   stones
2024-12   1208   반가워요우
2024-12   862   박문형
2024-12   1048   cneots100
2024-12   1426   isilent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