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드 프로그램이 cpu 빨도 있지만 그래픽 메모리도 영향이 큰가요.

신은왜   
   조회 1330   추천 0    

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cpu는 클럭이 높아아 한다고 하지만 

그래픽카드도 1080ti 처럼 저렴하면서 메모리가 높은것이 좋을까요?


컴 조립과 부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직업은 3D 그래픽을 이용한 설계 및 SE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4-12
2D CAD 는 2GB VRAM 정도면 충분합니다.

모니터를 4K 듀얼모니터 써야 한다면 좋은거 써야죠.
VRAM 4GB 이상 써야죠.
박문형 2024-12
오토캐드학원에서 교습용 컴퓨터는 온보드 VGA로도 충분히 교육할 것 다 할 수 있습니다..

아마 뷰포트 가속이 필요하면 전용 그래픽카드가 필요해진다라고 볼 수 있으며 캐드 프로그램에서 많이 인증된 카드가 쿼드로이고 일반적으로 쿼드로보다 빠른 그래픽카드는 게임용 고사양 그래픽카드 입니다.. 그러나 게임용 고사양 그래픽 카드는 본래 게임용으로 봐야 하기에 작업시 화면이 깨지거나 할 수 있으며 (요즘은 거의 그런 일 없지만 그리고 보통 이런 문제는 다른 드라이버 버젼으로 해결하지만) 캐드용으로 인증된 안정적인 그래픽카드는 쿼드로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쿼드로 카드도 세대에 따라 여러 모델이 존재 합니다.. 그리고 쿼드로 카드도 만능은 아니기에 상황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기는 합니다..

그리고 이런 것은 절대적인 것이 없기에 실제 사용해보고 자기에게 맞는 것으로 가는 것이 맞습니다..
늘 자식 놈 엔비디아 그래픽 달린 노트북 사줬는데 실상 그냥 시퓨 내장 그래픽으로
돌리는 것만 봤지 엔비디아 그래픽 활성화 시켜 돌리는 걸 못보았습니다.......흠?
이전에 델 XPS 전문가용 노트북 지금은 삼성 울트라 노트북....
dateno1 2024-12
vram 2~4G로도 잘만 돌던데요?

하위 쿼드로 비됴램 특히 구형은 정말 쥐꼬리입니다
개미늘보 2024-12
여기에는 실제 캐드를 업으로 하시는 분은 아닌 것 같습니다.
캐드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또 하시는 업무도 다양합니다.
단순히 도면 검토용, 간단한 2D용, 3D 캐드용, 단순기계의 작도용, 플랜트 엔지니어링용, 또 화면에 몇개의 도면을 띄워 놓고 사용하는지, 캐드를 하면서 해석도 간간히 하는지, 캐드와 다른 프로그램을 동시에 열어보니 놓고 하는지에 따라 컴퓨터의 성능과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달라집니다.
최근에 경향은 CPU뿐만 아니라 GPU의 성능에 매우 민감합니다.
또 캐드의 엔진을 어떤 것을 사용하는지와, 같은 회사 제품이라도 2D를 주력으로 하는지, 3D를 주력으로 하는지에 따라 하드웨어의 성능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의 업무와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캐드와 엑셀 등을 병행해서 업무를 보는지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
수Mb, 수십Mb, 많게는 도면 1장에 수백Mb도 있습니다 매우 드물지만 말입니다. 오토캐드에서도 가상의 소프트웨어 가속기로 작업하는것과 하드웨어의 가속기를 켜는 것은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캐드를 하신다면 기본적으로 온보드 그래픽카드는 절대 비추입니다. 차라리 캐드를 하지 마세요. 물론 초기에 과도한 성능이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페라리를 타고 마트를 가는 것처럼 어울리지 않지만,
저는 컴퓨터를 살때에 지금의 사용환경을 기준으로 사라고 하지 않습니다.
보통 3년이 지나면 현재의 능력이나 업무의 크기가 확 달라져 있기에 2년쯤 지나면 하드웨어의 한계를 느낌니다. 아니면 1년도 안되서 느낄 수도 있어요. 그러므로 3년후에는 어느정도일까를 생각하고 약간의 과잉 투자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3년후에도 교체나 업그레이드가 어려운 부품은 좋은 제품으로 사고,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것은 그때가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택하세요.

여튼 온보드용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 하는 그런 컴퓨터는 사지마세요. 그런 것은 단순업무를 하는 분에게 사주시면 됩니다.
piloteer 2024-12
캐드도 캐드 나름이라.. 예를 들어 EDA에 쓰는 전자회로 그리는 프로그램도 캐드라고 부릅니다. 그런 건 GPU 필요 없습죠. 그래서 정확히 무슨 캐드인지도 중요합니다.

3D 캐드의 경우 프로그램에 따라 지포스 쓰면 되는 것도 있고, 메모리고 성능이고 이전에 그냥 무조건 쿼드로 등을 써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실행은 보통 지포스에서도 가능은 하나, 성능이 조금 차이나는 수준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지멘스 NX 같은 경우 지포스가 인텔 내장보다 느린 상황도 발생합니다. 쿼드로 팔려고 일부러 저런다는 썰이 있습니다. https://techgage.com/viewimg/?img=https://techgage.com/wp-content/uploads/2021/02/Siemens-NX-1080p-Viewport-Performance-February-2021.jpg&desc=Siemens%20NX%201080p%20Viewport%20Performance%20(February%202021) )
김제연 2024-12
저도 그런줄 알았는데 그냥 4350 라이젠 끼워줬더니 2d 도면 케드 인데도 버벅거린다고 합니다.. 이번에 가서 1060 하나 달아줄 생각입니다. 어느정도 성능은 필요한듯 싶어요..
     
임상현lsh 2024-12
오래전부터 사실상 2D가속에 쓰는 고정로직이  없어졌죠.
쉐이더엔진으로 합니다. 그래서 중간정도 급은 필요해요
술이 2024-12
한국사람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캐드는 오토캐드와 그나마 대안캐드인데...

공학용 캐드는 별개로 3D 소프트웨어 빼버리는게...

오토캐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면 위의 댓글들이 맞습니다. 대부분의 건축설계용이지 특수분야의 공학이나 연구용 설계는 오토캐드를 쓸리가 없죠.

그리고 한국에서 개발된 플러그인을 설치했을 경우는 버벅이는건 기본으로 따라올수밖에 없습니다. 동기식 처리때문에 그런것들이 성능에 발목을 잡아요. 설계용 소프트웨어를 전부다 바꾸지 않는한 최고성능의 하드웨어를 갖다 붙여도 체감성능 1도 없을겁니다.


QnA
제목Page 43/5732
2014-05   5269006   정은준1
2015-12   1794073   백메가
01-06   861   L2스위치
01-06   888   3D서포터즈
01-06   660   행복한제주…
01-06   673   dateno1
01-05   631   소음기
01-05   1344   오이꼭지
01-04   913   GPGPU
01-04   1276   시도니
01-04   1723   김파쿨
01-04   672   Rich
01-03   1197   lico98
01-03   1159   울과기펩시충
01-03   976   미래1
01-02   1674   듀얼cpu
01-02   1094   gusoong
01-02   937   song05
01-02   1212   keiminem
01-01   1051   이하나
01-01   1050   osthek83
01-01   1258   전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