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7189 |
25 |
2015-12
175718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0406 |
0 |
2014-05
5230406
1 정은준1
|
113709 |
반대의 경우는 이해하지만 어떻게 전원선을 꽂으면 작동이 안되고 배터리만 연결하면 (1) |
신은왜 |
2024-12 |
786 |
0 |
2024-12
786
1 신은왜
|
113708 |
M2 와 PCIe슬롯 레인 문의 (6) |
무쏘뿔처럼 |
2024-12 |
930 |
0 |
2024-12
930
1 무쏘뿔처럼
|
113707 |
옵트인 알람 동의해도 되는 건가요?? (3) |
헥사코어 |
2024-12 |
546 |
0 |
2024-12
546
1 헥사코어
|
113706 |
진짜 몰라서 문의 드려요. 만약에 보드에 내장 그래픽ㅇ 있어도 .cpuㄱ가 (6) |
신은왜 |
2024-12 |
841 |
0 |
2024-12
841
1 신은왜
|
113705 |
(해결됨)HP 노트북 UEFI 부팅시 화면 깨짐 현상... (4) |
NaHS |
2024-12 |
825 |
1 |
2024-12
825
1 NaHS
|
113704 |
AWS나 OpenStack 는 하드웨어 장애에도 서비스 중단이 없다는데 사실일까요? (24) |
dragoune |
2024-12 |
1117 |
0 |
2024-12
1117
1 dragoune
|
113703 |
프로메테우스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feat : pushgateway) (7) |
osthek83 |
2024-12 |
1253 |
0 |
2024-12
1253
1 osthek83
|
113702 |
게임(포켓몬고) 계정 관련 문의 드립니다. (3) |
송진홍 |
2024-12 |
540 |
0 |
2024-12
540
1 송진홍
|
113701 |
NF5280M5 500W 파워 제품에 GOLD 6138 CPU 2개 장착 가능할까요? (12) |
맨홀홍 |
2024-12 |
757 |
0 |
2024-12
757
1 맨홀홍
|
113700 |
로드밸런싱 (21) |
카뮬 |
2024-12 |
888 |
0 |
2024-12
888
1 카뮬
|
113699 |
저용량 메모리(2~4gb) 미니PC에서 pfsense 파일 시스템?? (9) |
냐미냐미 |
2024-12 |
1177 |
0 |
2024-12
1177
1 냐미냐미
|
113698 |
VGA 수직장착 전용케이스가 아닌경우에도 VGA 수직장착이 가능할까요? (5) |
화정큐삼 |
2024-12 |
1162 |
0 |
2024-12
1162
1 화정큐삼
|
113697 |
문제가 있는건가요? (2) |
Papi |
2024-12 |
694 |
0 |
2024-12
694
1 Papi
|
113696 |
레이드카드 배터리 상태 좀 봐주세요 (6) |
haniy |
2024-12 |
698 |
0 |
2024-12
698
1 haniy
|
113695 |
혹시 잠긴 안드로이드폰에 카톡내용도 뽑아낼수 있나요 ? (포렌직?) (4) |
삐돌이슬픔이 |
2024-12 |
1030 |
0 |
2024-12
1030
1 삐돌이슬픔이
|
113694 |
벤더사 서버 공식지원하는 패키지 변환 및 설치 (리눅스 계열) (5) |
chotws |
2024-12 |
860 |
0 |
2024-12
860
1 chotws
|
113693 |
CPU 사용량이 100%라고 다 같은 것은 아닌 지에 대한 질문 (24) |
풀로드시스템 |
2024-12 |
1216 |
0 |
2024-12
1216
1 풀로드시스템
|
113692 |
서버 부팅 단계 중 화면 출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8) |
풀로드시스템 |
2024-12 |
1165 |
0 |
2024-12
1165
1 풀로드시스템
|
113691 |
수퍼마이크로 서버 보드 화면 출력 (2) |
박문형 |
2024-12 |
853 |
0 |
2024-12
853
1 박문형
|
113690 |
메인보드 고장 수리 가능한 곳 (7) |
소주병 |
2024-12 |
1150 |
0 |
2024-12
1150
1 소주병
|
파일질라는 액티브 안붙으면 패시브로 전송하게끔 자동입니다.
원격지가 DMZ면 이슈가 없을건데 원격지도 NAT하단이거나 클라이언트도 NAT 하단이면 패시브를 선택해줘야 합니다.
그리고 ftp 프로세스가 방화벽에서 파일전송프로그램 허용되어 있는지도 확인해보세요. 거기서 차단되었으면 접속만 되고 파일 송수신은 자체 방화벽에서 걸렸을수도 있습니다.
파일질라는 자동으로 되지만 CMD에서는 수동 설정으로 기억합니다.
ftp 기본 포트인 21번으로 되어 있으며, 수 년 동안 패시브 모드 설정 없이 문제의 파일들을 전송했었는데 꼭 설정해야 하는지요?
패시브 모드를 설정하려면 포트번호를 지정해야 하는거 같은데 위 게시글의 추가 그림처럼 데이터 채널 포트 번호 입력란이 활성화 되지 않아 입력이 안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커맨드창을 관리자권한으로 열어서 시도해보시거나 파일권한에서 모든권한으로 줘보세요
FTP 서버를 재시작 해보면 어떨까요?
명령 프롬프트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이 만든 프로그램에서 전송이 안됩니다.
24H2 버전에서 23H2 롤백하면 큰 파일도 잘 됩니다.
이상한건 파일질라는 윈도우 버전 상관없이 잘 되지만,
개인이 만든 프로그램에서 매일 전송해야해서 지금 롤백이 안되는 PC는 윈도우10 으로 설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