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457 |
25 |
2015-12
178945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458 |
0 |
2014-05
5264458
1 정은준1
|
113694 |
외장하드케이스에 나스어뎁터라는거 붙이면..나스되나요? (5) |
김건우 |
2018-03 |
4551 |
0 |
2018-03
4551
1 김건우
|
113693 |
델 T5810 블루스크린 (2) |
hater |
2020-07 |
5015 |
0 |
2020-07
5015
1 hater
|
113692 |
모니터 전원 (9) |
AplPEC |
2017-01 |
4704 |
0 |
2017-01
4704
1 AplPEC
|
113691 |
E5 하스웰은 아직 소매점에 안풀린건가요? (4) |
장현재 |
2014-11 |
3893 |
0 |
2014-11
3893
1 장현재
|
113690 |
요즘 고양시 스타필드 주말에 어때요? (6) |
무아 |
2018-03 |
3456 |
0 |
2018-03
3456
1 무아
|
113689 |
고사양 노트북 질문(추천) 좀 드립니다. (6) |
주황별 |
2014-11 |
4832 |
0 |
2014-11
4832
1 주황별
|
113688 |
OS 복구 파티션은 어떻게 만드나요? (2) |
천외천oo노… |
2014-11 |
4631 |
0 |
2014-11
4631
1 천외천oo노…
|
113687 |
구형 LCD 모니터용 AD보드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11) |
김우진 |
2017-01 |
7653 |
0 |
2017-01
7653
1 김우진
|
113686 |
이 지름신은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요 (6) |
이동원CH |
2018-03 |
3570 |
0 |
2018-03
3570
1 이동원CH
|
113685 |
cctv 외부망 내부망 비번이 틀릴수있나요?? (1) |
행복하세 |
2020-08 |
2956 |
0 |
2020-08
2956
1 행복하세
|
113684 |
원격 프로그램 (윈도우 , 윈도우 서버 GUI 한정) 어떤게 좋을가요 (13) |
김주현 |
2018-04 |
4823 |
0 |
2018-04
4823
1 김주현
|
113683 |
쉘 스크립트 두 가지만 더요 (2) |
정영철 |
2018-04 |
4308 |
0 |
2018-04
4308
1 정영철
|
113682 |
메인보드에 Flash_override 핀은 리셋이 아니라 지우는 핀일까요? (6) |
노가리강추 |
2022-01 |
5683 |
0 |
2022-01
5683
1 노가리강추
|
113681 |
헤놀 6버전인대 ffmpeg 설치 하는법 하시나요~ (2) |
마법사오즈 |
2023-08 |
1787 |
0 |
2023-08
1787
1 마법사오즈
|
113680 |
GA-EP45T-UD3LR rev 1.0 제온 개조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2) |
인생막장 |
2018-04 |
4455 |
0 |
2018-04
4455
1 인생막장
|
113679 |
[긴급질문] 지금울릉도인대요 (12) |
방o효o문 |
2014-11 |
5950 |
0 |
2014-11
5950
1 방o효o문
|
113678 |
LSI 9211-8i LT 모드로 ssd 여러개 연결해도 되나요? (9) |
영산회상 |
2019-05 |
3696 |
0 |
2019-05
3696
1 영산회상
|
113677 |
아래 ML10 V2 키관련 |
지존 |
2023-09 |
1904 |
0 |
2023-09
1904
1 지존
|
113676 |
Z400 바이오스 칩셋 어떻게 구하나요? (3) |
석호 |
2018-04 |
4452 |
0 |
2018-04
4452
1 석호
|
113675 |
체감 성능 질문입니다.. (3) |
lovemiai |
2014-12 |
4124 |
0 |
2014-12
4124
1 lovemiai
|
100자라 하셨는데 100자 대소특숫 다 넣은거 브루탈 걸면 대체 얼마나 걸린다고 생각하시는건지? (저라면 지구 멸망하는게 더 빠를테니 포기하고 다른 수단 찾겠습니다) (그 절반의 자리수라도 GG칠꺼에요)
애초에 저런게 나온 이유가 익명성을 보장하고, 탈중앙화를 하기 위한겁니다
암호화폐 문제점은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내재가치가 없다는 겁니다. 뭐 이건 어디까지나 제 의견입니다. 내재가치가 꼭 필요한가하는데는 동의하지 않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요즘 금본위같은것 쓰는 국가 있나요?
그런게 아닌 이상 다 그냥 종이조각이자 숫자에요
결국 담보가 되는 국가나 기관의 신뢰성의 유무밖에 차이 없음
암호화폐가 화폐인가요? 자산인가요?
암호화폐가 화폐라면 내재가치는 없어도, 말씀하신대로 거래의 수단으로 쓸 수 있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가치(?)가 안정되야 할 겁니다. 거기에서 국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거구요.
암호화폐가 자산이라면, 내재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가격 변동은 있겠지만요.
하지만 자산도 내재가치가 필요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위에 말씀드렸듯.. 이건 어디까지나 그냥 제 의견입니다.
담보되는 신뢰가 없으니 출렁이는거고, 보급이 잘 안 되는거죠
거래의 수단으로는 이미 꽤 써먹을 수 있고, 다른 화폐로 교환이 되는 시점에서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요즘 시대 화폐에 내재가치를 찾아도 곤란합니다 (그럼 인플레 몇백%는 예사인 짐바브 화폐는 내재 가치 있어보이나요?)
1. 탈중앙화
블럭체인은 누군가의 소유가 아닌 모두가 공유하는 장부입니다. 중앙 정부나 특정 국가에 의해서 거래중단이나 통제당할 일이 없습니다.
다만, 모든 거래장부를 모든 노드들이 공유하고 갱신되어야 하므로 개인적으로는 DB에 의한 중앙집중화 보다 느리고, 관리 책임의 소재가 불분명하고
중복 저장에 의한 데이터의 리던던시 비용, 네트워크 전송 비용 등을 고려하면 비용 효율적이라고 보긴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로 트랜잭션 등도 느려서 거래가 승인되려면 은행처럼 바로바로 되는게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
2. 블럭체인
chain은 random access가 아니라 sequnece 죠. 순차적으로 줄줄이 비엔나 식으로 물고 물고 물어서 어떠한 변화를 기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정 시점의 무언가를 보는건 아무래도 linked list를 순회해야 하니 random access가 가능한 방식보단 느릴거라고 예상됩니다.
3. 채굴
PoC니 PoW니 이런건 잘 모르겠지만 간단하게 내가 가장 먼저 새로운 발견을 하면 채굴 네트워크에서 유일성을 검증하고 채굴로 승인되는 구조로 알고 있습니다.
단지 그 채굴이라는게 현재로는 엄청난 계산 부하가 걸리는 소인수나 해시를 기반으로 하다 보니 cpu나 gpu fpga asic 등을 써서 하고 있는데
이 연산들이 중복적으로 발생하고 인류에게 어떠한 도움을 주는 연산이 아닌 단순(?) 소모성이 되다 보니 컴퓨팅 파워와 전기가 참 아깝다는 생각을 합니다.
아무튼 요즘 화두(?)가 양자컴퓨터 인데
양자컴퓨터의 경우 중첩계산이 가능해서 기존의 NP 문제들을 Polynominal time에 해결해줄 수 있을걸로 기대되고 있고
기존의 소인수분해 기반의 암호기법들은 분쇄될 가능성이 높아 새로운 양자알고리즘 기반의 암호화가 대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이부분이 기존 슈퍼 컴퓨터로 몇만년 걸릴 것 몇 시간만에.. 라고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물론 양자컴퓨터가 기존의 컴퓨터 알고리즘을 변환없이 사용할 수 있지도 않고 양자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야 제 성능을 발휘한다고 하는데
아직까진 일반인으로서는 지켜봐야 할 영역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보내는 이와 받는 이 간의 완벽한 암호화를 통신해 중간에 패킷을 덤프 뜬다고 해도 이를 암호화를 풀어서 원문을 읽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게 핵심입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전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보내는 이의 장치 와 받는 이의 장치가 과연 완벽한가...
혹은, 보이스 피싱 처럼 보내는 이는 결국 암호화된 전문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암호화폐 내용이라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은행권이나 게임 업체측에서는 보안어플을 강제 설치해 이를 감시하고는 있습니다만,
이 보안 어플도 사람이 만든 어플인 만큼 보안홀이 완전히 없다.라고 할 수 없죠.
보이스 피싱 업체측에서 은행을 해킹하는 것보다 은행 예금자를 공격하는 게 훨씬 수월하고 비용적으로 적게 들기 때문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결과적으로 보안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라고 은행이나, 신용보증사나 ... 게임사나... 등등이.. 그렇게 강조하죠... ㅡ,.ㅡ)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안을 안 지켰거나,,,,, 각 접점 간의 보안 공백이 있거나,,, 혹은 보안 어플 자체가 문제가 있거나.. 죠....
(ahnlab safe transaction,nprotect ... etc .. 개객끼....)
비트코인이 대중화가 돼서, 아이폰에 월렛 어플로 지불이 가능한다고 할게요.
해커가 해킹해서 제 아이폰의 비트코인을 사용할 때 결국 필요한건....
여전히 전통적인 기술인 <24자 미만 난수 and/or 생체인증 and/or 이중인증(메일, 전화)> 인거죠?
그렇다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사실 창끝이자 최종관문인 지불 과정에서의 인증수단에서 혁신적인 보안이 없다면...
철저히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다지 새로울게 없는 것으로 느껴져서요.
신뢰성, 보안 측면에서 말씀입니다.
걔네들 공통점이 무엇인지 보시면 답 나오실 듯 합니다.
물론 불법으로 물건들을 살 때도 교환수단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아뭏든 미국에서 비트코인으로 직접 밥 못사먹습니다
즉 투기수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거죠. 대박친 사람들이 있습니만 그래서 따라하실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