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첫 AMD 시스템을 노트북으로 구매하려고 하는데...
뭘 구매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여튼 TDP 28 W 급 CPU 종류 뽑아놓고
- AMD Ryzen 8000 시리즈
> AMD Ryzen™ 7 8840U (8C / 16T / 8MB / 16MB / 3.3Ghz / 5.1Ghz / GPU 12C / 780M)
> AMD Ryzen™ 7 8840HS (8C / 16T / 8MB / 16MB / 3.3Ghz / 5.1Ghz / GPU 12C / 780M)
> AMD Ryzen™ 5 8640HS (6C /12T / 6MB / 16MB / 3.5Ghz / 4.9Ghz / GPU 8C / 760M)
- AMD Ryzen 7000 시리즈
> AMD Ryzen™ 7 7840U (8C / 16T / 8MB / 16MB / 3.3Ghz / 5.1Ghz /GPU 12C / 780M)
> AMD Ryzen™ 5 7640U (6C /12T / 6MB / 16MB / 3.5Ghz / 4.9Ghz / GPU 8C / 760M)
아래 옵션으로 구매하려고 보다보니 현재 마음이 레노버로 반쯤 넘어갔습니다;
"NPU 탑재 / 1.7kg 미만 / 메모리 32GB 이상 교체가능 / 보조기억장치 2개 이상 / RJ45 포트 내장"
레노버 씽크패드 P14s Gen5
--> 보조기억장치 2개 이상 포기
HP Z북 Firefly 14 G11
--> 보조기억장치 2개 이상 포기
--> RJ45 포기
HP 엘리트북 865 G11
--> 보조기억장치 2개 이상 포기
--> RJ45 포기
7열 배열 X220T 이후로 첫 레노버 노트북일 듯 싶은데...
다른 AMD 노트북 사용자분들은 어떤 제조사 제품을 사용하시나요?
amd 노트북은 선택폭이 좁습니다. a/s 잘되는거 원한다면 hp로 가야 할꺼고 그거 아니라면 a/s가 매우 불편한 대만산(acer, asus, msi) 에서 골라야 할겁니다.
노트북 AS경험이 한번도 없습니다;,
뭐 파트 이베이에서 수입해서 교체해가면서 사용했고...
회사 지급품인 국내 기업 제품만 사용해서 더 그런듯 싶긴합니다만;
lenovo hp는 mini pcie 슬롯 사용시기에는
PID&VID 화이트 리스트 때문에 개조바이오스 찾아다니며 고생했어서
요즘도 그런가 싶기도하여 dell 라인업도 고민중인데...
AMD 노트북은 라인업이 참 애매합니다ㅠ
PS. 백도어는... 주업무가 IPS 방화벽쪽 관련
네트워크 구성 기획/설계/POC/관리/운영 업무라서
1달간 로그 보면 나오겠죠^^;
이번에 처음으로 HP ZBook Power G11 AMD 8845HS pro 가 달린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개인적으로 매우 실망입니다.
아무것도 손대지 않고, 고장이 안난다면 모르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HP 노트북은 비추천합니다.
참고로, 무게를 제외하고, 아마 요구하는 사양은 맞을듯하네요
8845HS PRO , 64기가 메모리(교체가능) , SSD 2개 , RJ45 랜 내장 , NPU 탑재(TOP가 10인가 12인가 할겁니다.)
무게는 2.1kg 정도하고, 아답터는 슬림형(?) 150w 입니다.
여기 장터에 있는 HP USB DOCK G5 버전과 호환 잘됩니다.
이유 1
SSD 2개 슬롯이 있고, 주문당시 HP 홈페이지에서만 주문이 되고,
SSD는 1개만 설치된것만 판매되서, 뭐 SSD 야 하판 뜯어서 설치하면 되겠거니 했지만,
타사 노트북은 여분의 SSD 에 방열판과 m.2 ssd 고정용 나사가 있었지만, HP 노트북은 없더군요
부랴부랴, m.2 나사 구하고, 그냥 사용 했더니만, 발열로 시스템이 죽더군요
참고, 이때 설치한건 저발열로 유명한 하이닉스 p31 2테라 였습니다.
결국, 서비스 센터에 전화해서, ssd 용 방열판은 구매할려고 했더니, 전화를 돌리더니, 하청업체로 연결되고, 본인들도 모른다라고 해서
서비스 메뉴얼 뒤져서, ssd 추가시 파츠 번호를 찾아서 주문했건만, 쓸데없고, 맞지도 않는 써멀패드 쪼가리가 와서
그냥 집에 있는 써멀패드를 잘라서 사용중입니다.
--> 자기네 부품 재고관리가 안됨
--> 하청업체는 위탁해서 하는거라 잘 모른다고 하더군요
이유 2
레노버는 통합된 드라이버 관리 프로그램이 있으나, HP 것은 너무 별로 더군요
별도의 앱들이 있긴하나 다들 각개격파하는 수준이고, 통합도 안되어져 있더군요
레노버의 관리 앱을 보다보니, 이건 뭐지? 하게 되는 수준이더군요
과연, 이게 고가의 업무용 노트북 라인업에 맞는 프로그램인가? 라는 의문이 듭니다.
대신, 울프독인가 뭔가하는 보안 툴은 좋아보이긴하나, 리소스를 너무 많이 먹어서 제거하고 사용중이지만요
이유 3
CPU가 8845HS PRO 인데, 내장 그래픽은 AMD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한 , 공용 드라이버가 안됩니다.
외장 VGA 은 A2000은 NVIDIA 의 쿼드로 드라이버는 먹습니다.
결국, 내장 VGA 드라이버는 HP 홈페이지에 있는 드라이버만 가능해서, 사용중입니다.
이게 AMD 문제인지? HP 에서 뭔가 수정해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지만, 왠지 기분이 좋지는 않네요
과연, HP 에서 지속적으로 드라이버 업그레이드를 해줄지도 모르겠구요
이유 4
윈도우 11 PRO 가 기본제공이라서 24H2 를 사용중인데
크롬과 충돌일어나서, 깜박임이 발생하며(특히 유튜브 사용중), 이유는 악명높은 무슨 권한 부족이라고 나오며,
구글링은 윈도우 재설치하라고 하나, 재설치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뭐 윈도우 문제라고도 할수 있겠지만, 다른 데탑과 노트북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이 사용중입니다.
물론, MS 홈페이지에서 받은 순정 이미지고, 이상한 시스템 건드는 프로그램은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윈도우 11 문제일수도 있으나, 과연 윈도우 11의 문제일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이유 5
ssd 추가를 위해서 하판 분리를 할려는데, 드라이버가 특정한 규격이 필요하더군요
일반적인 드라이버는 안먹더군요
샤오미 정밀 드라이버에는 있긴하나, 초반에 토크가 많이 필요해서, 그냥 서비스 센터에 맞길려고,
사무실 근처에 있는 용산 hp 서비스 센터에 전화해서, ssd 추가할려고 한다니, 2만원인가 3만원 부르고, 당일날 안된다고 하더군요
결국은 나사를 풀었지만, 나사가 거덜나서(나사가 빠가났다고 하죠), 주문할려고 해도, 서비스 센터는 모르겠다라고 배째고, SSD 써멀패드 주문한곳(하청 업체)에 물어보니, 파츠 번호를 몰라서 안된다고 하더군요
300만원 초반대의 노트북이라고 말하기엔 뭔가 나사가 여러개 빠진 느낌이라,
다음에는 다시 레노버로 가지 않을까하네요
개인용 노트북도 아니고, zbook 시리즈는 기업용인데, 저렇게 파츠관리도 안되는 회사 제품을 사용해야 되나 하더군요
가끔 원치 않는 작업을 맘대로 해되고, 리소스도 먹는지라 차라리 수동으로 하는게 낫더군요
3경우 다른 제조사도 문제 격는 경우 있습니다
제경우 레노버제가 최신 버전을 쓸 수 가 없었습니다 (공식보단 조금 더 높은 버전 성공했지만, 결국 최신은 안 됨)
버전을 넘 올리면 절전에서 깨우면 엉뚱한 장치가 죽어버리는 문제가 생기는데 보고해도 고쳐줄맘도 없어보여서 수정된 바이오스가 안 나오네요
4경우 24h2 특정 하드웨어랑 상성 나쁘거나 아에 작동 안 하는경우 간간히 보입니다
요즘 마소 윈도만이 아니라 여러가지 측면에서 완성도가 엉망이란 느낌이...
IT일이 주 사용목적이면 말리고 싶습니다
delete키 왼쪽 버튼은 전원키
insert오른쪽 버튼은 비행기모드 입니다.
키배열... 가장 중요한것을 깜박했네요!
상기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14인치 삼성 LG 는 익숙히고...
외부 10키리스 체리키보드에만 익숙해져있는데
라인업별로 키배열 신경써서 골라야겠습니다^^
생각보다 주로 사용하는게... 방향 관련 특수키 + Insert + Delete 키라서요;;
코어 개수가 늘다보니 베이스랑 부스트의 차이가 매우 커졌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넘들만 봐도 심지어는 45W인 H조차 3.5G입니다
그 첫번째는 베터리 아닐까요
그 다음은 Screen (IPS패널이 색이 좋고 베터리도 적당한 것 같애요.
그 다음은 확장성 usb, 선더폴트4, ethernet, Wifi,블루투스등 다양하고 조화로운 인터페이스
그 다음은 내구성.. 너무 중요하죠.
그 다음은 매모리
그 다음은 SSD 저장장치
그 다음은 디자인
그 다음은 CPU
CPU야 아톰코어 펜터엄만 아니면 쓸만하지요..
i7과 i9 은 노트북이 소화를 못하므로.. i5 계열이 최적
예를 들어 드라이버 버전 못 올린다라던가 사후 지원이 없다라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