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백스페이스 사용하는법?

osthek83   
   조회 1454   추천 0    

가끔 리눅스 사용하다 보면 일반 커맨드 명령사용시나 vi 상태에서 백스페이스를 누르면 이전 텍스트들을 지우는게 아니라 이상한 특수문자들이 추가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게 왜 이런건지, 백스페이스를 이전 문자 지울때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특수문자가 추가될때 지금 정확히 기억은 아나는데 한개가 아니라 두개가 추가되는데 이상한 꺾쇠표시 같은거였던 걸로 기억합니다...여튼 몇번 겪고 나니, 왜 이런건지 찾아봐야지 하고 잊어버리고, 다음에 또 사용할때 은근 짜증나고 -_-;; 구글링해도 딱히 뭐가 나오지도 않고 원인을 알고 싶어서요.. 리눅스는 친해지기 참 힘든아이입니다 ;;

참고로 프로그램은 securecrt 사용중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4-12
아마 vim 을 설치해야 되는걸로...

편집기 내맘데로 안되서 헤매다가 별도로 뭘더 설치해야 그런 증상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vi 최근엔 안쓰다보니 이게 안될때만 구글 찾다가 다시 할라니 또 까묵고 그랬습니다.
vim 이 없으면 콘트롤 X 로 지웠던가 그런거 같던데...
piloteer 2024-12
옛날 컴퓨터는 모니터가 없고 텔레타이프를 통해 직접 내용을 타자기같은 걸로 인쇄하는 구조였습니다. 당연히 지금과 같은 "뒤로 돌아가면서 지운다"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정확히는 있긴 한데, 지금과는 좀 달랐습니다..)

거기서 발전한 형태인 비디오 터미널은 브라운관에 문자를 출력하기 때문에 백스페이스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으나, 초기에는 터미널마다 구현이 달라 구현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터미널마다 키보드 구성도 다르고 명령 체계도 좀 다르고 해서..

vi의 경우 ADM-3A  터미널에서 개발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 터미널도 지금 쓰는 컴퓨터와는 다른 구성의 키보드를 씁니다.  vi 특유의 명령 체계는 이 터미널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참고: http://xahlee.info/kbd/history_of_vi_keys.html )

이러한 아주 오래된 (~70년대 설계 사상의) 프로그램 말고, 요즘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대체로 요즘 컴퓨터 환경을 상정하고 만들어서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구닥다리 vi가 아닌, vim같은 경우 보통 레거시 호환성모드를 꺼두면 insert 모드에서는 백스페이스도 잘 되지요.

다만 아직 가끔 그런 문제가 있는 경우는.. 터미널 에뮬레이터의 모드가 잘못 설정되어 있거나 (그래서 엉뚱한 터미널 규격으로 동작해서 글자 지우는 게 똑바로 처리가 되지 않거나), 아니면 모종의 이유로 키 입력을 별도의 처리 없이 그냥 그대로 화면에 출력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한 경우에 그런 상황이 여전히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백스페이스를 눌렀을 때 지워지는 효과 대신 그냥 백스페이스의 내부 코드가 그대로 터미널에 출력되어 버리는 것이지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라고 만들어 둔 프로그램은 보통 그렇지는 않습니다.
천마건빵 2024-12
securecrt, putty 에서 vi 편집기를 오래 사용해왔지만, 백스페이스가 특수문자로 바뀌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편집모드에서는 백스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며,
명령모드에서는 x 키로 삭제를 합니다.

윈도우에서 작성된 문서를 리눅스 vi 에서 열어봤을때 가끔 ^M 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명령모드에서 x 키로 삭제를 하거나
치환하여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
%s/^M//g
^M 은 1글자 이며, Ctrl+V누르면 ^가 표시된 후 엔터키를 누르면 됩니다.

간혹 리눅스에서 외부의 서버에 FTP 접속할때 백스페이스가 먹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H 표시가 되면서 삭제가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Ctrl 와 백스페이스키를 누르면 삭제가 됩니다.
dateno1 2024-12
터미널 설정때문 아닌가요?

터미널 타입에 따라 특수키 취급이 좀 다릅니다
트니아빠 2024-12
가끔 백스페이스 누르먄 ^? 같은게 나오던데 그래서 stty erase ^? 아니면 Ctrl+H로 지웠습니다
osthek83 2024-12
조언 감사합니다. 해당 증상이 나타나면 알려주신대로 한번 해보겠습니다!
모어쿨 2024-12
백스페이스로 안될땐 컨트롤 + 백스페이스 하시면 됩니다.
     
이게 맞음
레인보우7 2024-12
.vimrc에 환경설정 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vimrc 구성을 통해서 유려하게 만드는 세팅값들이 많이 돌아다니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vimrc

" Allow backspace everything"
set backspace=indent,eol,start

indent: 들여쓰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예: 자동 들여쓰기된 공백이나 탭 문자를 삭제할 수 있음.

eol (end of line): 줄의 끝에서 이전 줄로 이동하며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예: 줄을 이어붙일 때 백스페이스로 줄바꿈을 삭제 가능.

start: 삽입 모드에서 입력한 텍스트뿐만 아니라, 삽입 모드에 들어가기 전에 존재하던 텍스트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esca 2024-12
https://jungit.tistory.com/116
stty erase ^H
  ^H 입력방법은 ctrl+V ctrl+H 누르면 됩니다.


QnA
제목Page 43/5731
2014-05   5267787   정은준1
2015-12   1792811   백메가
2024-10   877   네오네모
03-05   877   뉴진스
2024-12   877   무쏘뿔처럼
2024-11   877   쿠쟝
03-17   879   불멸의샌디…
2024-09   879   딥마인드
02-13   880   화란
02-08   880   Rich
02-10   881   민욱님
03-24   883   creativehan
03-19   883   구차니
2024-08   884   혼자가는길
2024-11   885   이창준
2024-10   885   종운몬
2024-12   885   신은왜
01-06   885   3D서포터즈
2024-09   886   항공모함
02-06   886   마츄
2024-10   887   MikroTik이진
2024-11   887   허밍버드